KR200171236Y1 - 음료병 - Google Patents

음료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236Y1
KR200171236Y1 KR2019990015734U KR19990015734U KR200171236Y1 KR 200171236 Y1 KR200171236 Y1 KR 200171236Y1 KR 2019990015734 U KR2019990015734 U KR 2019990015734U KR 19990015734 U KR19990015734 U KR 19990015734U KR 200171236 Y1 KR200171236 Y1 KR 200171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body
space
beverage bottle
swi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수
한미숙
최원희
Original Assignee
조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봉수 filed Critical 조봉수
Priority to KR2019990015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2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리가 나는 음료병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음료수용공간과 별도로 구획된 용기몸체의 일측에 요동공간이 형성되고, 이 요동공간의 내부에는 용기몸체를 흔들 때 그 내벽과 부딪쳐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하나이상의 요동체가 구비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음료를 마신 후에 경기장 등에서 응원의 소도구로 사용하거나 어린이의 놀이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병{BEVERAGE BOTTLE}
본 고안은 물이나 탄산음료 등이 담기는 음료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를 마신 후 빈 용기를 흔들면 소리가 나도록 하여 경기장 등에서 응원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료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물이나 탄산음료 등이 담겨 판매되는 음료병은 통상 내부가 보이는 투명소재의 플라스틱용기로 제작되는데, 그 형상은 내부에 음료가 담길 수 있도록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이러한 음료병은 일단부에 용기의 몸통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입구가 형성되며, 이 입구에는 마개가 결합되어서 밀폐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음료병은 사용자가 음료를 구매하여 내용물을 마신 후에, 경우에 따라 물 등을 담아서 보관하는 음료용기로 이용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쓰레기로 취급되어 폐기처분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종래의 음료병은 용기의 내부에 음료를 담아 보관하는 기능 외에 별다른 부가기능이 없기 때문에 제품의 효용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음료병에 채워진 음료를 마신 후 빈 용기를 흔들면 소리가 나도륵 함으로써, 경기장 등에서 음료를 마신 후에 응원용으로 사용하거나 어린이의 놀이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병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병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용기몸체, 11: 음료수용공간,
12: 입구, 13: 마개,
20: 받침부재, 21: 요동공간,
22: 요동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료병은, 내부에 음료가 담기는 음료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일단에 형성된 입구와,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구비한 음료병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음료수용공간과 별도로 구획된 요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요동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용기몸체를 흔들 때 그 내벽과 부딪쳐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하나이상의 요동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동공간은 상기 용기몸체의 하단에 부착되는 컵 형상의 받침부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외부에서 상기 요동체의 움직임이 보이도록 투명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병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구조를 이루는 원통형상의 용기몸체(10)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용기몸체(10)의 상단에는 내부에 음료를 채우거나, 채워진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개방된 입구(12)가 형성된다. 이때, 입구(12)는 용기몸체(1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입구(12)의 주위에는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착탈이 가능한 마개(13)가 결합된다. 그리고 용기몸체(10)는 음료수용공간(11) 내부에 채워진 음료를 따르기 용이하도록 입구(12)쪽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몸체(10)는 외부에서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어야 하며, 입구(12)에 결합되는 마개(13)는 이를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는 것이 좋다.
용기몸체(10)의 하단(입구의 반대편)에는 음료병의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본 고안에 따른 요동공간(21)을 형성할 수 있도록 대체로 컵 형상으로 제작된 받침부재(20)가 결합된다. 이 받침부재(20)는 용기몸체(10)의 하단과 결합되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용기몸체(10)의 하단에 결합시 음료수용공간(11)과 구획되는 별도의 요동공간(21)을 이룬다.
그리고 요동공간(21)의 내부에는 음료병을 흔들 때 그 내벽과 부딪혀 소리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요동체(22)가 수용된다. 이때 요동체(22)는 요동공간(21)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대체로 둥근 구슬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좋으며, 다양한 색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요동공간(21)을 형성하는 받침부재(20)는 용기몸체(10)와 마찬가지로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어, 내부에 수용된 요동체(22)의 움직임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요동공간(21)의 내벽(받침부재의 내벽)은 내측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돌출부(23)가 마련됨으로써, 요동체(22)와 부딪치는 소리가 커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술한 본 실시 예에서는 요동체(22)를 수용하는 요동공간(21)이 별도의 받침부재(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지만, 다소 실시를 변경하여 받침부재(20)와 용기몸체(10)가 일체를 이루도록 하거나, 용기몸체(10)의 내부에 별도의 요동공간을 형성할 수 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는 요동공간의 위치가 일측에 한정된 것이지만, 용기몸체(10)의 외면이나 상단 입구(12)측 등 다양하게 위치를 변경하여 실시할 수 도 있고, 용기몸체(10)의 형상을 어린이가 선호하는 동물의 형상이나 인형의 모습으로도 제작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실시들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주에 속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음료병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경기장에 입장하는 관중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병을 휴대했을 경우에는 내부에 채워진 음료를 마시면서 경기를 관전할 수 있고, 또한 음료를 마신 후에는 빈 음료병을 흔들면서 자기편 선수를 응원할 수 있다. 즉, 음료병을 흔들면 요동공간(21)의 내부에 수용된 요동체(22)가 그 내벽과 부딪치면서 소리를 유발한다. 따라서 다수의 관중이 이 음료병을 들고 주기적으로 강약을 조절하면서 함께 흔들면, 일정한 리듬을 얻을 수 있어 이 소리를 통해 경기에 임하는 자기편 선수를 격려하여 선수들의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에는 요동체(22)가 가진 색상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다양한 색을 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병은 사용자가 용기몸체를 흔들면 요동공간에 수용된 요동체가 내벽에 부디쳐 소리를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경기장 등에서 응원의 소도구로 사용하거나 어린이의 놀이기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에 음료가 담기는 음료수용공간(11)이 형성된 용기몸체(10)와, 상기 용기몸체의 일단에 형성된 입구(12)와,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13)를 구비한 음료병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음료수용공간(11)과 별도로 구획된 요동공간(21)이 형성되고, 상기 요동공간(21)의 내부에는 상기 용기몸체(10)를 흔들 때 그 내벽과 부딪쳐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하나이상의 요동체(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공간(21)은 상기 용기몸체(10)의 하단에 부착되는 컵 형상의 받침부재(20)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는 외부에서 상기 요동체(22)의 움직임이 보이도록 투명 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
KR2019990015734U 1999-08-02 1999-08-02 음료병 KR200171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734U KR200171236Y1 (ko) 1999-08-02 1999-08-02 음료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734U KR200171236Y1 (ko) 1999-08-02 1999-08-02 음료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236Y1 true KR200171236Y1 (ko) 2000-03-15

Family

ID=1958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734U KR200171236Y1 (ko) 1999-08-02 1999-08-02 음료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2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815B1 (ko) * 2002-05-01 2004-10-14 황영호 다기능병
KR101873437B1 (ko) 2016-12-16 2018-07-02 박기성 산패방지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815B1 (ko) * 2002-05-01 2004-10-14 황영호 다기능병
KR101873437B1 (ko) 2016-12-16 2018-07-02 박기성 산패방지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9982A (en) Canteen for children
US4932542A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a dynamic ornament mounted thereto
US5156283A (en) Wooden stein with responsive emblem
EP0917705A1 (en) Blow-molded shaker
US4953725A (en) Children's drinking vessel
KR200171236Y1 (ko) 음료병
US5540353A (en) Candy container and dispenser
US7029360B1 (en) Bobble head fluid container
US5388718A (en) Beverage container with pull ring
CN208248866U (zh) 多功能儿童沐浴用品包装瓶
KR20090008895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100360035B1 (ko)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US20090175987A1 (en) Candy baby rattle
US10717020B2 (en) Spill resistant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342357Y1 (ko) 음료용기
KR200240861Y1 (ko) 윷놀이 기구
KR200342890Y1 (ko) 음료용기
KR200342891Y1 (ko) 음료용기
CN209360282U (zh) 一种趣味多分隔饮品杯
KR200187212Y1 (ko) 지압구를 갖는 포장용기
JP2580906Y2 (ja) 飲料用びん
KR200308371Y1 (ko) 숨겨진 빨대와 캐릭터
JP4817221B2 (ja) 蓋体付き容器
US4440390A (en) Novelty cup for forcibly ejecting liquid
JPS5943257Y2 (ja) 円筒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