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138Y1 - 암반 발파 장치 - Google Patents

암반 발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138Y1
KR200171138Y1 KR2019990019634U KR19990019634U KR200171138Y1 KR 200171138 Y1 KR200171138 Y1 KR 200171138Y1 KR 2019990019634 U KR2019990019634 U KR 2019990019634U KR 19990019634 U KR19990019634 U KR 19990019634U KR 200171138 Y1 KR200171138 Y1 KR 200171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rock
gunpowder
explosive force
bl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지산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1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5Arrangements for electric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암반 발파를 위한 암반 발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암반 발파 장치는 폭발력 생성을 위한 화약과 뇌관 및,폭발력을 암반으로 전달하는 폭발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되는 암반 발파 장치에 있어서, 이 폭발력 전달 수단이 화약과 뇌관을 덮는 토사층과, 암반에 직접 장력을 가하는 쐐기뭉치와, 이 쐐기뭉치를 상단에서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쐐기뭉치는 화약의 폭발력을 전달받아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암반에 직접 장력을 전달하는 암쐐기부와 화약의 폭발력을 다른 쐐기의 암쐐기부에 전달하는 숫쐐기부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쐐기와, 숫쐐기부만을 가지고 상기 쐐기에 폭발력을 전달하는 하단쐐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암반 발파 장치는 패쇄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발파시 진동과 소음 및 비산을 줄일 수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암반 파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암반 발파 장치{Blasting Set}
본 고안은 암반 발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약을 사용하여 암반이나 지하 장애물을 발파할 때 특수 쐐기뭉치를 함께 사용하는 암반 발파 장치 에 관한 것이다.
건설 및 토목 공사는 국가의 기간 산업으로서,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공사의 규모나 횟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건설 및 토목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공사로서 발파 작업은 공사 현장에서 가장 빈번히 행해지는 작업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암반을 제거하거나 지하 터널을 뚫는 등의 발파 작업에는 암반 파쇄기나 발파 폭약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화약을 사용하여 암반을 파쇄하는 종래의 장치들은 화약의 폭발력이 파쇄된 암반에 전달되어 토석과 함께 주변의 상당한 거리에까지 비산하게 되어 주변의 물체에 큰 해를 끼침은 물론, 인근 작업자 또는 행인이나 가축까지 손상을 입히는 등의 큰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발파 작업시 암반 또는 토사의 내부로 전달된 폭발력이 굉음과 진동을 발생시켜 주변 건물이나 주거자의 안전을 해치고 나아가 커다란 환경 문제를 야기시키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파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반 문제들 때문에 발파시의 소음과 진동을 규제하는 법령이 제정되기에 이른 바, 예컨대 1990년 8월 1일 이후 시행된 소음진동규제법과 동법 시행령에 따르면 건설 소음 규제 기준은 주거 지역의 경우, 주간에는 70 Leq dB (A)이하, 야간에는 55 Leq dB (A)이하로 규제되고 있으며, 건설 진동 규제 기준은 주거지역의 경우, 주간에는 65Leq dB (V) 이하로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발파시의 폭발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발파 장치가 개발 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은 소음 및 진동의 규제로 인하여, 도심의 건설 및 토목 현장에서는 이용할 수 없게 되어 무용지물이 될 수 있어, 발파시의 소음 및 진동을 최대한으로 줄이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지금까지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었는데, 예컨대 화학적 반응에 의한 무진동 화약을 사용하는 방법은 진동이 적다는 이점이 있기는 하나 암반 파쇄 효율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다.
한편, 국내 특허출원 제 89-19294 호의 액화 압축가스를 사용하여 발파하는 방법과 국내 특허출원 제 90-13179 호의 충격 흡수 유니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 바, 이러한 방법들의 경우는 모두 각 단계의 공정마다 공기 주머니, 충격 흡수제, 충격 흡수 유니트 및 밀봉제 등을 차례로 삽입해야 하여 매우 번거롭고, 여러 재료들을 사용해야 하는 한편 사용된 재료들은 재활용을 할 수 없어 원가가 상승되어 경제성이 없기 때문에 발파 공정에 실제로 적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상기 고안의 내용에는 진동 방지 효과에 대해서만 제시되어 있을 뿐,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나 소음 방지 효과에 대해서는 제시되어 있지가 않아 상기한 제반 문제점들을 완전하게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고안자도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취지로 1995년 특허출원 제 048081 호의 무소음 무진동 암반 발파 공법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 바, 이 공법은 경화성 수지액을 천공된 삽입구에 주입하여 액체 상태에서 화학 반응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단단하게 굳어진 수지층으로 변환되게 하고, 이렇게 굳어진 수지층이 천공된 구멍 부위를 밀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의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천공된 삽입구 속에 설치된 화약이 어떠한 이유로 불발된 경우, 안전을 위해 불발된 화약을 제거하고자 할 때, 삽입구의 상단을 상기한 바와 같이 단단한 수지층이 밀폐시키고 있는 상태이므로, 암반 천공용 드릴등을 사용하여 다시 수지층을 제거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암반 천공용 드릴 등을 사용하여 수지층을 제거 하면, 그 충격이 화약까지 전달되어 폭발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며, 또한 한번 사용된 수지는 굳어버리기 때문에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고,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암반 파쇄의 목적은 암반 자체를 피괴시키는 것이 아니라 암반을 중장비 등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암반 자체에 적당한 크기로 균열을 일으켜 주는 것인 바, 지금까지의 공법은 요구되는 절단면으로 발파력을 집중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에 절단면으로 발파력을 집중시킬 때에 비하여 과다한 폭발력이 필요하고 그 때문에 화약의 과다 장약에 따르는 경비는 물론 폭발에 따르는 안전사고의 위험까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암반 파쇄의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발파시의 비산과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불발시에도 화약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암반 발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암반 발파 장치는 폭발력 생성을 위한 화약과, 상기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뇌관과, 상기 화약에 의한 폭발력을 암반으로 전달하는 폭발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되는 암반 발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폭발력 전달 수단이 상기 화약과 뇌관을 덮는 토사층과, 상기 토사층 위에 설치되며 암반에 직접 장력을 가하는 쐐기뭉치와, 상기 쐐기뭉치를 상단에서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쐐기뭉치는 하나 이상의 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화약의 폭발력을 전달받아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암반에 직접 장력을 전달하는 암쐐기부와 화약의 폭발력을 다른 쐐기의 암쐐기부에 전달하는 숫쐐기부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쐐기와 숫쐐기부만을 가지고 상기 쐐기에 폭발력을 전달하는 하단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토사층은 상기 암반 발파 장치 높이의 약 20-70% 로 하고, 상기 고정구는 숫나사 구조로 되고, 그 내측에는 암쐐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암반 발파 장치는 화약의 폭발력이 토사와 하단 쐐기에 전달되고 이 하단쐐기가 이러한 폭발력을 상단에 설치되는 쐐기들에 차례로 전달되는데, 각각 쐐기의 숫쐐기부가 암쐐기부를 밀어 외측으로 벌려줌으로써 이 암쐐기부가 벌어질 때 발생하는 장력이 암반에 전달되어 암반을 증폭된 힘으로 파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발파효율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화약과 쐐기뭉치가 삽입설치된 삽입구의 선단이 고정구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므로 파편의 비산과 소음의 유출 및 진동의 전파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구에 장입된 화약이 불발되는 경우에도 삽입구의 선단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고정구를 간단하게 분리시킴으로써 화약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고, 발파에 사용된 쐐기뭉치는 근본적으로 큰 변형을 수반하지 않게 되므로 수차례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과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대상 암반에 설치된 본 고안에 의한 암반 발파 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암반 2 : 삽입구
3 : 화약 4 : 뇌관
5 : 토사층 6 : 하단쐐기
7 : 고정구 8 : 전선
9 : 전원 10, 20, 30 : 쐐기
6a, 10a, 20a, 30a : 숫쐐기부 7b, 10b, 20b, 30b : 암쐐기부
40 : 쐐기뭉치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대상 암반에 본 고안에 따른 암반 발파 장치를 설치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암반 발파 장치는 대상 암반(1)에 형성된 삽입구(2)에 삽입된 폭발력 생성을 위한 화약(3)과, 전류를 전달받아 상기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뇌관(4)과, 상기 화약(3)과 뇌관(4)을 덮는 토사(5)와, 토사(5)위에 설치되고 숫쐐기부와(10a,20a,30a)와 암쐐기부(10b,20b,30b)를 갖는 쐐기(10,20,30)와 숫쐐기부(6a)만을 갖는 하단쐐기(6)로 구성되는 쐐기뭉치(40)와, 상기 삽입구(2)의 선단에 나사 결합되어 이 삽입구(2)의 선단을 밀폐차단시키는 고정구(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뇌관(4)에는 전선(8)을 통하여 외부의 전원(9)이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장치를 사용하여 암반을 파쇄하고자 할 때는 먼저 대상 암반(1)에 착암기(도시되지 않음)로 소정의 직경(D)과 깊이(H)를 갖는 삽입구(2)를 뚫는다. 여기서 대상 암반(1)은 주로 삽입구(2)의 크기에 비하여 상당히 큰 것으로서 대개 크기가 수십 m 에 이르는 것을 칭한다. 따라서, 암반(1)의 크기에 따라 주로 삽입구(2)의 깊이(H) 정도의 간격으로 다수의 삽입구를 형성하여 다수의 발파 장치를 구비하게 되는데, 여기서는 단일의 발파 장치를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삽입구(2)의 최하단에는 화약(3)과 뇌관(4)을 설치하고, 상기 폭약의 상부에 삽입구(2) 깊이(H)의 약 20∼70%의 두께로 토사(5)를 채우게 되는데, 이는 폭발력의 일부를 완충시키고 화약의 파편이 직접 쐐기뭉치(40)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토사층(5)의 상부에는 쐐기뭉치(40)가 설치되는데, 이 쐐기뭉치(40)는 직접 힘을 전달하는 숫쐐기부(10a,20a,30a)와 힘을 전달 받아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암반에 직접 장력을 전달하는 암쐐기부(10b,20b,30b)를 갖는 하나 이상의 쐐기(10,20,30)와, 숫쐐기부(6a)만을 갖는 하단쐐기(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구(2)의 상단에는 이 삽입구(2)를 밀폐차단시켜 주는 고정구(7)가 나사식으로 삽입설치된다. 이 고정구는 최상부에 위치한 쐐기(10)의 숫쐐기부(10a)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암쐐기부(7b)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쐐기(10,20,30)에 구비되는 암쐐기부(10b,20b,30b)는 좌우로 균일하게 분할된 2개의 날개를 갖춘 것을 기본으로 하되, 이 날개가 3개 또는 4개 그 이상 분할된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며, 각 날개사이의 각도(θ1)는 극대의 쐐기의 효과를 위하여 60°이하인 것으로 하되, 보편적으로는 30°∼ 15°사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쐐기의 분할 구조로 하였으나 쐐기의 재질에 따라 분할되지 않은 일체형 구조로 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하나 이상의 쐐기(10,20,30)가 상하로 겹쳐져서 설치됨에 의하여 쐐기의 암쐐기부(10b,20b,30b) 하단에 위치되는 다른 쐐기의 숫쐐기부(20a,30a,6a)는 암쐐기부의 하단 내부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숫쐐기부의 상부 전단면의 구성 각도(θ2)는 쐐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암쐐기부의 내부 각도(θ1)보다 커야 한다.
한편, 상기 삽입구(2)의 선단에 설치되는 고정구(7)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앵카볼트형 고정구로서 삽입구(2)의 선단에 간단하게 나사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삽입구(2)의 선단에 끼운 상태에서 나사를 조이면, 최상부의 숫쐐기부(10a)에 의해 고정구(7)의 암쐐기부(7b)가 좌우로 팽창되어 삽입구(2)의 내벽변에 긴밀하게 밀착결합되게 되므로 삽입구(2)를 상부에서 차단시킴과 더불어 아래쪽의 쐐기뭉치(40)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구(7)는 화약(3) 폭발시 암쐐기부의 외부측 암반 접합면이 암반 삽입구의 면과 접착되기전 초기 이탈을 방지하는 부분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숫쐐기부와 암쐐기부로 구성되는 쐐기(10, 20, 30)와 숫쐐기부(6a)만을 갖는 하단쐐기(6)를 포함하는 쐐기뭉치(40)는 본 고안의 기본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즉, 대상 암반의 크기에 따라 쐐기뭉치에 구비되는 쐐기의 갯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쐐기뭉치의 최하단에 설치되는 숫쐐기부만을 구비한 하단쐐기는 생략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쐐기뭉치 하단의 토사층이 가장 아래에 위치한 쐐기의 암쐐기부에 대하여 숫쐐기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암반 발파 장치에 구비되는 쐐기뭉치의 쐐기를 제작함에 있어, 그 재질은 화약의 폭발력을 견딜 수 있는 것이면 금속, 플라스틱 등 어떠한 재질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본 고안에 따른 암반 발파 장치에서는 뇌관(4)에 전류가 인가되어 화약(3)이 폭발하게 되면, 화약의 폭발력이 토사(5)로 전달되어 이 토사의 압력으로 인해 상기 쐐기뭉치의 하단쐐기(6)가 강한 힘으로 위쪽으로 밀려올라가게 된다. 이렇게 하단쐐기가 위쪽으로 밀려져 올라가면서 하단쐐기 상단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쐐기(10, 20, 30)를 밀어올리게 되고, 이때 각 쐐기의 숫쐐기부가 암쐐기부 의 날개 사이로 파고 들어가게 되고, 이때 암쐐기부 몸통 날개에는 숫쐐기부의 쐐기 효과에 의해 삽입구(2) 상부 방향으로 가해진 폭발력보다 몇배 더 증폭된 힘이 삽입구의 측면 방향 즉, 암반(1)의 절단면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암반 발파 장치에 의해 암반을 파쇄할 경우, 암반 절단면으로 파쇄력을 집중시킬 수 있어 과다한 화약의 장약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산과 진동이 방지되어 안정성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으며, 쐐기뭉치가 폭발력과 굉음이 외부로 직접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발파지역 부근에서의 진동과 소음 및 비산은 현저하게 감소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화약 폭발이 불발된 때에는 쐐기뭉치를 제거한 후 화약을 제거하게 되는데, 쐐기뭉치는 고정구(7)를 나사식으로 제거한 후에 쉽고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어서 화약 제거 작업 또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쐐기뭉치는 계속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암반 발파 장치는 기존의 발파 장치에 숫쐐기부와 암쐐기부를 갖는 쐐기와 하단쐐기로 이루어지는 쐐기뭉치와 고정구만을 추가 구비하게 되므로 매우 단순하면서도, 암반 및 기존 건물 등의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지하 터널을 뚫는 등의 발파 작업 뿐만 아니라 도심지 내에 있는 고층의 건물 등을 폭파시켜 제거하는 파괴공학적 발파에도 사용할 수 있는 등 어떠한 발파 작업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발파 대상 암반(1)에 착암기를 사용하여 직경이 45mm이고, 깊이가 2.5m 내지 2.7m인 삽입구(2)를 뚫은 후 삽입구의 바닥에 화약(3)과 뇌관(4)을 설치한다. 화약과 뇌관의 상부에 약 1.3m의 두께로 토사(5)를 덮어 화약의 파편등이 쐐기뭉치(40)에 직접 작용하여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고 일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 강철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날개 2개로 된 암쐐기(10b, 20b, 30b)부를 갖는 쐐기(10, 20, 30)로 구성된 쐐기뭉치(40)를 직경 43.5mm, 길이 1m로 만들어 삽입하고, 삽입구(2) 상부를 나사 앵커형 고정구(7)로 조여 밀폐 고정시킨 후 전원(9)으로부터 뇌관에 전류를 인가해 주어 폭약을 폭파시켜 암반을 파쇄한다.
이때, 소음 및 진동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발파지점으로부터 후방 약 20m지점에 소음 측정기와 진동 측정기를 각각 설치하게 되는데, 그 측정 결과 소음은 35 Leq dB (A) 이었고, 진동은 45 Leq dB (V)로서 규제치 이하가 되었고 비산되는 파편등이 없었다.
<실시예 2>
발파 대상 암반에 착암기를 사용하여 직영이 45mm 이고 깊이가 3.5 m 내지 4m인 삽입구를 뚫은 후 삽입구의 바닥에 화약과 뇌관을 설치한다. 화약과 뇌관의 상부에 약 1m의 두께로 토사를 덮어 화약의 파편등이 쐐기뭉치에 직접 사용하여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고 일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 P.V.C재질의 날개 3개로 된 암쐐기부를 갖는 직경 42mm 길이 1m의 쐐기 2개를 구비한 쐐기뭉치를 삽입하고, 상부를 나사 앵커형 고정구로 조여 일체 고정시킨 다음 전원으로부터 뇌관에 전류를 인가해 주어 폭약을 폭파시켜 암반을 파쇄한다.
이때, 소음 및 진동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발파지점으로부터 후방 약 20m지점에 소음 측정기와 진동 측정기를 각각 설치하게 되는데, 그 측정 결과 소음은 35 Leq dB (A)이었고, 진동은 40 Leq dB (V)로서 규제치 이하가 되었고, 비산되는 파편등이 없었다.
<실시예 3 >
발파 대상 암반에 착암기를 사용하여 직경이 45mm이고 깊이가 2.5m 내지 2.7m인 삽입구을 뚫은 후 삽입구의 바닥에 화약과 뇌관을 설치한다. 화약과 뇌관의 상부에 약 1.3m의 두께로 토사를 덮어 화약의 파편등이 쐐기뭉치에 직접 작용하여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고 일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 P.V.C재질의 날개 3개로 된 암쐐기부를 갖는 쐐기로 구성된 쐐기뭉치를 직경 42mm 길이 1m로 만들어 삽입하고, 상부를 나사 앵커형 고정구를 조여 일체 고정시킨 다음 전원으로부터 뇌관에 전류를 인가해 주어 폭약을 폭파시켜 암반을 파쇄한다.
이때, 소음 및 진동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발파지점으로부터 후방 약 20m지점에 소음 측정기와 진동 측정기를 각각 설치하게 되는데, 그 측정 결과 소음은 45 Leq dB (A)이었고, 진동은 50 Leq dB (V)로서 규제치 이하가 되었고 비산되는 파편등이 없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하여 발파작업을 할 경우 발파력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발파시의 소음이 규제치인 55 Leq dB (A)보다 낮고, 진동 또한 규제치인 60 Leq dB (V) 이하이며 비산되는 파편 등이 없어 토목 및 건설 공사시 그 효과가 종래의 기술보다 매우 탁월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암반 발파 장치는 대상 암반에 뚫은 삽입구속에 화약과 뇌관 및 토사를 설치하고, 이 토사위에 숫쐐기부와 암쐐기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쐐기와 숫쐐기부만을 갖는 하단쐐기로 이루어지는 쐐기뭉치를 설치하는 한편, 삽입구의 상단에 고정구를 설치하여 폭발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화약의 폭발력이 쐐기뭉치에 의해 증폭되어 암반의 절단면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암반 파쇄 효율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파시의 폭발력이 쐐기뭉치에 의해 차단되어 소음과 진동 및 비산이 현저하게 적으므로 소음진동규제법을 비롯한 관련 법규에 의한 제약을 받지 않고 도심지 및 어디서나 발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쐐기뭉치는 화약 폭발이 불발되어 화약을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도 쐐기뭉치와 화약의 제거가 간편하고 안전할 뿐만 아니라, 폭발 후에도 수차례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향상되며, 환경오염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폭발력 생성을 위한 화약과, 상기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뇌관과, 상기 화약에 의한 폭발력을 암반으로 전달하는 폭발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되는 암반 발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폭발력 전달 수단이
    상기 화약과 뇌관을 덮는 토사층과;
    상기 토사층 위에 설치되며, 암반에 직접 장력을 가하는 쐐기뭉치와;
    상기 쐐기뭉치를 상단에서 고정하는 고정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발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뭉치는 상기 화약의 폭발력을 전달받아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암반에 직접 장력을 전달하는 암쐐기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쐐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발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화약의 폭발력을 다른 쐐기의 암쐐기부에 전달하는 숫쐐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발파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뭉치는 숫쐐기부만을 가지고 상기 쐐기에 폭발력을 전달하는 하단쐐기를 최하단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발파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의 암쐐기부는 하나 이상의 날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발파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층은 상기 암반 발파 장치 높이의 2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발파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숫나사 구조로 되어 있고, 그 내측에는 암쐐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발파 장치
KR2019990019634U 1999-09-14 1999-09-14 암반 발파 장치 KR20017113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188A KR20010027442A (ko) 1999-09-14 1999-09-14 암반 발파 장치 및 공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188A Division KR20010027442A (ko) 1999-09-14 1999-09-14 암반 발파 장치 및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138Y1 true KR200171138Y1 (ko) 2000-03-15

Family

ID=196113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188A KR20010027442A (ko) 1999-09-14 1999-09-14 암반 발파 장치 및 공법
KR2019990019634U KR200171138Y1 (ko) 1999-09-14 1999-09-14 암반 발파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188A KR20010027442A (ko) 1999-09-14 1999-09-14 암반 발파 장치 및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2744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442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9287B2 (en) Explosive tube having air gap and method of blasting bedrock using same
KR102162731B1 (ko) 지관을 이용한 친환경 장약 튜브관과 이를 포함하는 분산 장약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파 공법
KR101995174B1 (ko) 미진동 암반파쇄구조
US5233926A (en) Adhesive secondary blasting cone
US11692442B2 (en)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gainst a hazard of drill rod failure in a drilled rock bore
GB2468133A (en) Directional gas pressure device
KR200171138Y1 (ko) 암반 발파 장치
RU2688996C1 (ru) Фиксатор заряда при буровзрывных работах
KR100885925B1 (ko) 대단면 원통형 구조물인 사일로의 발파해체 방법
KR20040011893A (ko) 폭약 발파장치 및 방법
KR910006768B1 (ko) 무진동암반발파공법
US20040237826A1 (en) Protection of blast holes
US20160231091A1 (en) Improved directional gas pressure device
KR100460753B1 (ko) 수압을 이용한 구조물의 발파해체 방법
EP2609392B1 (en) Directional gas pressure device
KR200241783Y1 (ko) 안전마개를 갖는 락-볼트
KR20040086617A (ko) 수압파쇄를 이용한 암발파 방법
CN219328376U (zh) 深孔定向爆破装药结构
AU2010359793B2 (en) Directional gas pressure device
KR200385534Y1 (ko) 미진동 암반 폭발체
CN108871116B (zh) 一种爆破方法
KR102417586B1 (ko) 지관과 도폭선을 이용한 터널 외곽공 발파 방법, 도로법면 발파 방법 및 도심지 암반 발파 방법
RU2713833C1 (ru) Подвесная скважинная забойка
KR101898646B1 (ko) 급랭에 의한 암반 파쇄공법 및 그 장치
JP7061853B2 (ja) 岩盤類の掘削部位からの掘削物を資材として採取することにより資材を製造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