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828Y1 - 낙수방지용 우산 - Google Patents

낙수방지용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828Y1
KR200170828Y1 KR2019990018917U KR19990018917U KR200170828Y1 KR 200170828 Y1 KR200170828 Y1 KR 200170828Y1 KR 2019990018917 U KR2019990018917 U KR 2019990018917U KR 19990018917 U KR19990018917 U KR 19990018917U KR 200170828 Y1 KR200170828 Y1 KR 200170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drip tray
cloth
rainwater
hold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청용
Original Assignee
김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원 filed Critical 김이원
Priority to KR2019990018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8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8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을 세울 때 빗물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낙수방지용 우산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우산대(10)에 우산천(20)을 펼치거나 접도록 된 우산에서, 상기 우산대(10)의 홀더캡(12)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천(20)을 따라 내려오는 빗물을 내부에 저장하도록 된 물받이(30)와, 상기 물받이(30)의 원주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우산천(20)을 덮으면서 빗물을 안내하는 자바라(32) 및, 상기 물받이(30)의 하단에 삽입설치된 패킹부재(3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우산을 세웠을 때 우산천(20)에서 내려오는 빗물이 물받이(30)에 저장됨으로써 실내바닥에 물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낙수방지용 우산 { A antidrop umbrella }
본 고안은 낙수방지용 우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산을 사용한 후에 바닥에 세울 때 우산천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바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낙수방지용 우산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우산은 사용한 후 세워서 보관하게 되는데, 이를 경우 우산에 묻어 있는 물방울이 바닥면에 떨어지게 되었다. 이렇게 발생된 물방울은 실내를 지저분하게 하므로 건물내에서는 우산을 보관하기 위한 비닐커버나 우산보관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비닐커버는 우산을 씌우거나 벗기는 과정에서 빗물이 튀겨져 나와 사용자의 옷을 적시는 단점이 있고, 1회용 비닐의 사용을 줄이는데 부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우산보관대는 설치비가 많이 들고, 통행인이 많은 건물내에서 많은 우산을 보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기존의 우산을 보관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반우산의 홀더캡에 장착하여 우산에서 떨어지는 물기를 차단하기 위한 비닐커버나 우산보관대를 사용하지 않고도 물기를 차단할 수 있는 낙수방지용 우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우산대의 홀더캡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천을 따라 내려오는 빗물을 내부에 저장하도록 된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의 원주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우산천을 덮으면서 빗물을 안내하는 자바라 및, 상기 물받이의 하단에 삽입설치된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낙수방지용 우산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물받이는 홀더캡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연통된 다수의 플랜지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낙수방지용 우산에 의하면, 우산대의 홀더캡에 물받이를 간단한 조작을 통해 장착하여 우산을 세웠을 때 우산천에서 내려오는 빗물이 자바라에 통해서 물받이에 저장되며, 반대로 우산을 펼쳤을 때 물받이에 저장된 빗물은 들어온 경로의 역방향으로 따라 우산천으로 흘러나오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펼친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우산 상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의 상부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우산의 상부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우산대 12 : 홀더캡
20 : 우산천 30 : 물받이
30a : 결합부 30b : 빗물입출홈
30c : 고정부재 30d : 고정홀
30e : 플랜지부 32 : 자바라
32a : 확장부 32b : 결합부
34 : 패킹부재 34a : 콕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펼친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의 우산 상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낙수방지용 우산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대(10)의 홀더캡(12)에서 물받이(3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물받이(30) 상부원주면을 따라 자바라(32)가 결합되어 있는 한편, 상기 물받이(30)의 바닥면에 패킹부재(34)가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우산천(20)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을 물받이(30)에서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물받이(30)는 중앙에 홀더캡(12)과 결합되는 결합부(30a)와, 상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빗물입출홈(30b), 자바라(3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0c) 및, 패킹부재(34)가 끼워지는 배수홀(30d)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물받이(30)는 홀더캡(12)과 결합방식이 용이하고 빗물에 녹슬지 않는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30a)와 홀더캡(12)은 나사결합방식으로 되어 있고, 이들부재는 후크결합방식 등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물론, 물받이(30)는 우산의 크기에 따라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늘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바라(32)는 우산천(20)에서 내려오는 빗물이 유입되는 확장부(32a)와 고정부재(30c)에 의해 물받이(30)의 상단 원주면을 따라 압착되게 고정되는 결합부(32b)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자바라(32)는 우산을 접었을 때 확방부(32a)쪽으로 우산천(20)에서 내려오는 빗물을 상기 물받이(3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자바라(32)는 우산을 펼쳤을 때 우산천(20)을 밀착되게 덮도록 신축성이 있는 고무 등의 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자바라(32)의 확장부(32a) 선단을 파형 등의 모양으로 만들거나 전체가 특정 캐릭터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킹부재(34)는 위쪽면에 물받이(30)의 배수홀(30d)에 압착되게 끼워지는 콕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패킹부재(34)는 고무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부재(34)는 물받이(30) 내부의 빗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우산을 세웠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우산의 상부 결합단면도로서, 긴 홀더캡(12)에 물받이(30)를 설치한 상태의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받이(30)가 홀더캡(12)의 길이와 비례하게 길이가 연장형성되어 있고, 제1실시예서와 달리 외측에 별도의 플랜지부(30e)를 형성하여 물받이(30)나 자바라(32)의 외측에 묻어 있는 빗물을 아래쪽에서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30e)는 물받이(30)의 원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물론, 플랜지부(30e)는 위쪽면에 그루브가 형성되고, 그루브에 연통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우산대(10)의 홀더캡(12)에 물받이(30)를 간단히 연결하여 우산을 세웠을 때, 우산천(20)에서 자바라(32)를 통해서 빗물이 안내되어 내려와 물받이(30)에 저장되며, 반대로 우산을 펼쳤을 때 물받이(30)에 저장된 빗물은 들어온 경로의 역방향으로 따라 우산천(20)으로 흘러나가게 되므로 빗물을 실내바닥에 떨어뜨리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물받이(30) 상부에 자바라(32)를 특정모양의 캐릭터로 만들어 설치하면 우산천(20) 상부를 장식할 수 있으며, 물받이(30)의 하부에 패킹부재(34)를 설치하여 우산이 바닥면에 미끄러지지 않고 지지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낙수방지용 우산에 의하면, 일반우산의 홀더캡만을 간단히 변형하여 물받이부를 설치하여 사용가능하므로 우산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닐커버를 사용하지 않므므로써 1회용 비닐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우산에서 물기가 떨어지지 않으므로 학교, 관공소, 회사 등의 실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들이 이용하는 버스나 교실바닥에서 미끄러져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우산대(10)에 우산천(20)을 펼치거나 접도록 된 우산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10)의 홀더캡(12)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천(20)을 따라 내려오는 빗물을 내부에 저장하도록 된 물받이(30);
    상기 물받이(30)의 원주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우산천(20)을 덮으면서 빗물을 안내하는 자바라(32); 및
    상기 물받이(30)의 하단에 삽입설치된 패킹부재(3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수방지용 우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30)는 홀더캡(12)과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수방지용 우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30)는 외주면에 연통된 다수의 플랜지부(30e)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수방지용 우산.
KR2019990018917U 1999-09-07 1999-09-07 낙수방지용 우산 KR200170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917U KR200170828Y1 (ko) 1999-09-07 1999-09-07 낙수방지용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917U KR200170828Y1 (ko) 1999-09-07 1999-09-07 낙수방지용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828Y1 true KR200170828Y1 (ko) 2000-03-15

Family

ID=19587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917U KR200170828Y1 (ko) 1999-09-07 1999-09-07 낙수방지용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8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866B1 (ko) * 2018-07-24 2019-11-29 박경범 우산 장착용 빗물받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866B1 (ko) * 2018-07-24 2019-11-29 박경범 우산 장착용 빗물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0828Y1 (ko) 낙수방지용 우산
KR200464196Y1 (ko) 우산용 빗물캡
CN209489603U (zh) 伞套
KR101002625B1 (ko) 우산용 빗물받이 캡
CN109700145A (zh) 一种可压缩的雨伞沥水套
KR102306617B1 (ko) 우산캡
KR200268389Y1 (ko) 우산 가방
KR200194902Y1 (ko) 물받이 우산
KR200284023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우산받이 겸용 휴지통
KR200199664Y1 (ko) 휴대용 우산 보관 케이스
KR200321302Y1 (ko) 내접식우산
KR20030041925A (ko) 내접식우산 및 그 사용방법
CN108703455A (zh) 伞套
KR200236561Y1 (ko) 우산집이 구비된 우산
KR200165481Y1 (ko) 신축식 우산 케이스
KR200343721Y1 (ko) 수납통이 형성된 절첩식 우산
KR200311890Y1 (ko) 빗물받이용 우산캡
CN208610496U (zh) 雨伞架
KR200285368Y1 (ko) 절첩식 상다리
KR200244327Y1 (ko) 우산주머니 보관집이 구비된 우산
KR200409880Y1 (ko) 공기 충전식 광고탑용 설치대 구조
KR200376154Y1 (ko) 통이 결합된 우산손잡이
KR200291252Y1 (ko) 다단 절첩식 빗물캡이 부착된 우산
KR19980059592U (ko) 고무를 부착한 물 받이를 겸비한 우산
KR200294223Y1 (ko) 자동차용 우산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