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761Y1 -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 - Google Patents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761Y1
KR200170761Y1 KR2019990020488U KR19990020488U KR200170761Y1 KR 200170761 Y1 KR200170761 Y1 KR 200170761Y1 KR 2019990020488 U KR2019990020488 U KR 2019990020488U KR 19990020488 U KR19990020488 U KR 19990020488U KR 200170761 Y1 KR200170761 Y1 KR 200170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
paper
separator
trim paper
separ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교
Original Assignee
정영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교 filed Critical 정영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7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2Pretreatment of the raw material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D21B1/026Separating fibrous materials from waste
    • D21B1/028Separating fibrous materials from waste by dry metho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38Conserving the finely-divided cellulos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Abstract

구조가 간단하며, 트림종이를 원활히 배출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르면, 이송덕트가 연결되며 이 이송덕트에 공급된 공기와 트림종이를 분리하여 펄퍼로 트림종이를 투입하는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그 내부에는 상기 이송덕트에 비해 확대된 분리쳄버(18)가 형성되며 그 전면에는 이송덕트가 연결되는 유입구(26)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배기구(30)가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상기 분리쳄버(18)로 이송된 트림종이를 배출하는 배출구(32)가 형성된 본체(20)와, 이 본체(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리쳄버(18)로 공급된 트림종이를 상기 배출구(32)로 안내하는 분리망(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리쳄버(18)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분리망(22)의 관통공(34)을 통해 상기 배기구(30)로 배출되는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SEPARATOR}
본 고안은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며, 트림종이를 원활히 배출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본공장 등에서는 두루밀이로 된 원지를 와인더로 리와인드하면서 와인더에 장착된 커터로 원지의 가장자리를 직선적으로 잘라내어, 원지를 일정한 폭으로 제작하는 트림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잘라진 원지의 양측 가장자리의 종이를 지칭하는 트림종이가 발생된다.
이러한 트림종이는 종이를 다시 펄프로 분해하는 펄퍼로 회수하여 재활용하게 되는데, 이때, 트림종이를 펄퍼로 운반하는 트림종이 처리장치는 와인더에서 발생되는 트림종이와 분진을 이송덕트를 통해 이송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이송덕트를 통해 이송된 트림종이를 펄퍼로 투입하는 세퍼레이터를 기본구성으로 한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본체(2)의 내부에 역시 원통형의 분리망(4)을 장착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리방은 그 일측에 전술한 이송덕트(6)가 연결되어, 이 이송덕트(6)를 통해 이송된 트림종이가 상기 분리망(4)내부에서 그 하측에 형성된 배출공(8)을 통해 펄퍼로 투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세퍼레이터는 상기 이송덕트(6)를 통해 공급된 트림종이를 직접 펄퍼에 투입할 경우, 상기 송풍기에 의해 이송덕트(6)로 공급된 공기에 의해 트림종이와 분진이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덕트(6)를 통해 트림종이와 공기가 분리망(4)의 내부로 공급되면, 트림종이는 분리망(4)의 내측면을 따라 선회하다가 그 하측에 형성된 배출공(8)으로 배출되어 펄퍼로 투입되고, 트림종이와 같이 공급된 공기는 본체(2)의 일측에 형성된 도시안된 배기공으로 배출되므로, 공기에 의해 트림종이와 분진이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퍼레이터는 상기 본체(2)와 분리망(4)이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그 부피가 커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분리망(4)에 여러방향에서 연장된 이송덕트(6)를 연결할 경우, 각 이송덕트(6)를 절곡시켜 동일한 방향으로 연결하여햐 하기 때문에, 이송덕트(6)의 길이가 길어질 뿐 아니라 이송덕트(6)의 절곡에 따라 풍압손실이 많아지며,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분리망(4)의 내부에서 선회하는 트림종이는 다른 트림종이와 서로 얽혀서 일정한 무게가 되어야 상기 배출공(8)으로 배출되는데, 경우에 따라 트림종이가 너무 많이 뭉쳐서 배출시 배출공(8)을 막거나 하중에 의해 급속히 배출되어 펄퍼에 담긴 물이 펄퍼의 외부로 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급된 트림종이가 다른 트림종이와 서로 얽히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작업개시 및 작업중지에 딜레이가 발생될 뿐 아니라, 내부에서 선회하는 트림종이가 공간을 차지하여 세퍼레이터의 처리용량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트림종이를 원활히 배출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성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2는본 고안에 따른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면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이송덕트 18. 분리쳄버
20. 본체 22. 분리망
26. 유입구 30. 배기구
30. 에어챔버 32. 배기구
32. 배출구 34. 관통공
본 고안에 따르면, 이송덕트(16)가 연결되며 이 이송덕트(16)에 공급된 공기와 트림종이를 분리하여 펄퍼로 트림종이를 투입하는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그 내부에는 상기 이송덕트(16)에 비해 확대된 분리쳄버(18)가 형성되며 그 전면에는 이송덕트(16)가 연결되는 유입구(26)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배기구(30)가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상기 분리쳄버(18)로 이송된 트림종이를 배출하는 배출구(32)가 형성된 본체(20)와, 이 본체(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리쳄버(18)로 공급된 트림종이를 상기 배출구(32)로 안내하는 분리망(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리쳄버(18)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분리망(22)의 관통공(34)을 통해 상기 배기구(30)로 배출되는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20)의 일측에는 별도의 흡기공(40)이 더 형성된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퍼레에터를 도시한 것으로, 원지의 측면을 잘라내어 발생된 트림종이와 분진을 이송시키는 송풍기(14)가 장착된 이송덕트(16)에 세퍼레이터(12)가 연결된다.
이 세퍼레이터(12)는 그 내부에 분리쳄버(18)가 형성된 본체(20)와, 이 본체(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덕트(16)를 통해 공급된 트림종이와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망(22)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20)는 그 전며낭단이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연장부(24)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24)의 전면에 상기 이송덕트(16)가 연결되는 유입구(26)가 형성되며, 이 연장부(24)의 하측면과 본체(20)의 전면을 만곡면(28)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20)의 배면 상단에는 상기 유입구(26)로 트림종이와 함께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30)가 유입구(26)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그 져면에는 상기 유입구(26)로 유입된 트림종이를 배출하는 배출구(32)가 형성된다.
상기 분리망(22)은 만공형성되고 그 상단과 하단이 본체(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분리쳄버(18)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상기 유입구(26)를 통해 유입된 트림종이를 상기 배출구(32)로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26)를 통해 유입된 트림종이는 이 분리망(22)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배출구(32)로 배출되며, 이 트림종이와 함께 유입된 공기와 분진은 이 분리망(22)의 관통공(34)을 통해 상기 배기구(30)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기구(30)에는 별도의 배기관(36)을 장착하고, 이 배기관(36)에 배기팬(38)을 장착하여 상기 분리쳄버(18)로 공급된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송풍기(14)로 공기를 불어내어 트림작업시 발생되는 트림종이와 분진을 이송덕트(16)를 통해 분리쳄버(18)로 공급하면, 상기 이송덕트(16)에 비해 확대형성된 분리쳄버(18)에 공급된 공기는 그 단면적의 변화에 따라 속도가 급격히 줄어들게 된다. 이때, 공기와 함께 공급된 트림종이는 관성에 의해 이동하며 상기 분리망(22)과 본체(20) 전면에 형성된 연장부(24)의 만곡면(28)에 안내되어 배출구(32)로 배출되므로써, 세퍼레이터(12)의 하측에 구비된 도시안된 펄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와 분진은 상기 배기팬(38)에 의해 배기구(30)로 강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32)로는 트림종이만이 배출되므로, 상기 송풍기(14)에 의해 공급된 공기 때문에 펄퍼로 공급되는 트림종이가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36)에 별도의 집진기나 정화장치를 장착하면 공기와 함게 배기관(36)으로 배출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장부(24)를 본체(20)의 전면에 전방으로 연장형성하였으나, 이러한 연장부(24)를 형성하지 않고, 상자형으로 구성된 본체(20)의 전면상단에 직접 유입구(26)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출구(32)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0)의 배면에 흡입구와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 이외에, 본체(20)의 측면등과 같이,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44, 46은 세퍼레이터(12)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된 관찰창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세퍼레이터(12)는 원통형으로 제작된 종래의 세퍼레이터(12)에 비해 그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분리망(22)을 따라 이동된 트림종이가 곧바로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되므로, 배출이 원활하며, 트림종이가 서로 뭉칠 때까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역시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같은 사이즈의 세퍼레이터(12)로 더 많은 양의 트림종이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다수개의 세퍼레이터(12)를 병렬로 배치하여 구성되며, 이 세퍼레이터(12)의 배기구(30)에 연결된 배기관(36)은 하나로 통합되어 하나의 배기관(36)만으로도 각각의 분리쳄버(18)에 공급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퍼레이터(12)의 전면상측에는 별도의 흡기공(40)이 더 형성되고, 이 흡기공(40)의 내측에는 그레비티단판(42)이 장착된다. 이 그레비티단판(42)은 그 상단이 본체(20)의 내측면에 힌지결합되어 분리쳄버(18)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흡기공(40)은 다수개의 세퍼레이터(12)중 일부의 작동을 중지시켜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 경우, 항상 일정량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38)에 의해 분리쳄버(18) 내부에 진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세퍼레이터(12)중 일부의 작동을 중지시켜 분리쳄버(18) 내부에 진공이 발생될 경우, 상기 흡기공(40)을 통해 공기가 더 공급된다. 따라서, 진공의 발생에 의해 상기 배출구(32)로 공기가 역류하여 트림종이가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공(40)으로 공기가 흡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그레비티단판(42)이 흡기공(40)을 막아 분리쳄버(18) 내부의 공기가 흡기공(40)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이 흡기공(40)을 통해 공기와 같이 공급된 분진이 배출되어 공기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세퍼레이터(12)를 배치할 경우, 그 배치형태는 일직선으로 배치하는 것 이외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구성된 세퍼레이터(12)는 여러 방향에서 연장된 이송덕트(16)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이송덕트(16)를 세퍼레이터(12)의 유입구(26) 쪽으로 연장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이송덕트(16)의 길이를 줄여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이송덕트(16)의 절곡에 따라 풍압손실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세퍼레이터(12)에 결합된 배기관(36)은 하나로 통합하여 세퍼레이터(12)의 상측으로 연장하거나, 세퍼레이터(12)의 사이로 연장하여 분리쳄버(18)로 공급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입구와 배기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의 내부에 트림종이를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는 분리망을 장착하므로써, 구조가 간단하며 트림종이를 원활히 배출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이송덕트(16)가 연결되며 이 이송덕트(16)에 공급된 공기와 트림종이를 분리하여 펄퍼로 트림종이를 투입하는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그 내부에는 상기 이송덕트(16)에 비해 확대된 분리쳄버(18)가 형성되며 그 전면에는 이송덕트(16)가 연결되는 유입구(26)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배기구(30)가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상기 분리쳄버(18)로 이송된 트림종이를 배출하는 배출구(32)가 형성된 본체(20)와, 이 본체(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리쳄버(18)로 공급된 트림종이를 상기 배출구(32)로 안내하는 분리망(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리쳄버(18)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분리망(22)의 관통공(34)을 통해 상기 배기구(3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
  2. 상기 본체(20)의 일측에는 별도의 흡기공(4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
KR2019990020488U 1998-07-03 1999-09-22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 KR20017076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46U KR19980059284U (ko) 1998-07-03 1998-07-03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146U Division KR19980059284U (ko) 1998-07-03 1998-07-03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761Y1 true KR200170761Y1 (ko) 2000-02-15

Family

ID=195359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146U KR19980059284U (ko) 1998-07-03 1998-07-03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
KR2019990020488U KR200170761Y1 (ko) 1998-07-03 1999-09-22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146U KR19980059284U (ko) 1998-07-03 1998-07-03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59284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284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6500B1 (en) Cyclone dust collector
JP4833297B2 (ja) 乾燥装置
EP1793943B1 (en) Dust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KR20020008119A (ko) 진공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장치
EP1199970A1 (en) Multi-cyclone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CA1155695A (en) Apparatus for reprocessing old paper
US10794391B2 (en) Centrifugal impeller, electric blower, electric vacuum cleaner, and hand dryer
KR200170761Y1 (ko)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
JP2002089380A (ja) 建設機械
US5878462A (en) Dust removal apparatus
CN111801040B (zh) 集尘装置以及电动吸尘器
KR200192928Y1 (ko)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
JP3883293B2 (ja) コンバイン
CA2252909C (en) Dust removal apparatus
CN211053845U (zh) 一种纸板切割机
KR102316517B1 (ko) 집진 일체형 회수장치
JP2626948B2 (ja) 洗浄集塵装置
KR100477336B1 (ko) 분진제거장치
JP2505883Y2 (ja)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内送風装置
KR200176629Y1 (ko) 트림종이 처리장치의 세퍼레이터
KR0122292Y1 (ko) 트림종이 처리장치
SU1159778A1 (ru) Стружкоприемник дл улавливани и отвода стружки дере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го станка
EP4245490A1 (en) Edgebanding machine provided with a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machining chips
CN216104039U (zh) 垃圾桶及垃圾收纳装置
CN215502820U (zh) 一种用于清洁机的分离模块、清洁机及清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