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157Y1 - 파인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파인더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70157Y1 KR200170157Y1 KR2019970001741U KR19970001741U KR200170157Y1 KR 200170157 Y1 KR200170157 Y1 KR 200170157Y1 KR 2019970001741 U KR2019970001741 U KR 2019970001741U KR 19970001741 U KR19970001741 U KR 19970001741U KR 200170157 Y1 KR200170157 Y1 KR 20017015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der
- display panel
- cam surface
- contact
- len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경통(10)의 회전부에 형성되는 캠면(12)과, 캠면(12)에 접하는 걸림돌기(24)가 형성되고 파인더(30)의 베이스 프레임(32) 앞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표시판(20)으로 구성되는 파인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표시판(20)은 캠면(12)의 돌출부(13)에 걸림돌기(24)가 접할 때에 눕혀지면서 파인더(30)의 렌즈부(34)를 열고, 캠면(12)의 저면부(14)에 걸림돌기(24)가 접할 때에 세워지면서 파인더(30)의 렌즈부(34)를 가리도록 구성된다. 표시판(20)은 캠면(12)의 저면부(14)에 걸림돌기(24)가 접할 때에 세워지도록 탄성부재(28)를 사용하여 파인더(30)의 베이스 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표시판(20)은 전원이 오프 상태임을 알 수 있도록 소정의 색을 갖고 파인더(30)의 렌즈부(34)를 가로막는 가림부(22)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촬영자가 파인더에서 카메라의 상태 즉 전원이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파인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카메라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사체의 촬영 범위를 확인하는 파인더부(6)와 실제로 필름에 찍히는 영상이 입사되는 촬영 렌즈부(2)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촬영 렌즈부(2)의 앞부분에는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렌즈캡(4)이 설치된다. 상기한 렌즈캡(4)은 촬영을 하기 위하여 전원을 온(ON)시키면 회전하는 경통에 연결되어 열리고, 전원을 오프(OFF)시키면 닫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카메라에 있어서는 전원이 오프(OFF)되어 촬영렌즈부의 렌즈캡이 닫혀 있어도 파인더부에서는 확인이 되지 않으므로 촬영자가 렌즈캡이 닫힌 상태에서 촬영을 시도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인더부에서 전원의 온-오프 상태 즉 렌즈캡이 열리고 닫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파인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 파인더 표시장치는 경통의 회전부에 형성되는 캠면과, 상기한 캠면에 접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파인더의 베이스 프레임 앞쪽에 설치되는 표시판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표시판은 상기한 캠면의 돌출부에 상기한 걸림돌기가 접할 때에 눕혀지면서 파인더의 렌즈부를 열고, 캠면의 저면부에 상기한 걸림돌기가 접할 때에 세워지면서 파인더의 렌즈부를 가리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표시판은 캠면의 저면부에 상기한 걸림돌기가 접할 때에 세워지도록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파인더의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한 표시판은 전원이 오프 상태임을 알 수 있도록 소정의 색을 갖도록 하거나 소정의 무늬 또는 글자를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전원을 온시키면 모터가 회전하여 경통을 회전시키고, 경통이 회전하면서 렌즈캡을 열게 되어 촬영 준비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파인더 표시장치는 경통이 회전할 때에 상기한 캠면의 돌출부에 상기한 표시판의 걸림돌기가 접하면서 파인더의 렌즈부를 막고 있던 표시판이 회전하여 눕혀지고 파인더로 빛이 들어오게 된다.
카메라의 전원을 오프시키면 모터가 역회전하고 경통이 역회전하여 렌즈캡이 닫히고, 상기한 표시판의 걸림돌기가 상기한 캠면의 저면부에 접하면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회전하여 세워지고 파인더의 렌즈부를 막게 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인더 표시장치가 적용된 카메라의 경통부와 파인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인더 표시장치의 표시판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인더 표시장치의 표시판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인더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5도는 일반적인 콤팩트 카메라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경통 12 : 캠면
13 : 돌출부 14 : 저면부
20 : 표시판 22 : 가림부
24 : 걸림돌기 26 : 회전핀
28 : 탄성부재 30 : 파인더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파인더 표시장치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도~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인더 표시장치의 일실시예는 경통(10)의 회전부에 형성되는 캠면(12)과, 상기한 캠면(12)에 접하는 걸림돌기(24)가 형성되고 파인더(30)의 베이스 프레임(32) 앞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표시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표시판(20)은 상기한 캠면(12)의 돌출부(13)에 상기한 걸림돌기(24)가 접할 때에 눕혀지면서 파인더(30)의 렌즈부(34)를 열고, 캠면(12)의 저면부(14)에 상기한 걸림돌기(24)가 접할 때에 세워지면서 파인더(30)의 렌즈부(34)를 가리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표시판(20)은 캠면(12)의 저면부(14)에 상기한 걸림돌기(24)가 접할 때에 세워지도록 탄성부재(28)를 사용하여 파인더(30)의 베이스 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한 탄성부재(28)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한쪽 끝부분은 상기한 파인더(30)의 베이스 프레임(32)에 부착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한 표시판(20)에 부착된다.
상기한 표시판(20)은 전원이 오프 상태임을 알 수 있도록 소정의 색을 갖고 상기한 파인더(30)의 렌즈부(34)를 가로막는 가림부(22)가 형성된다. 상기한 가림부(22)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무늬 또는 글자를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표시판(20)은 상기한 탄성부재(28)인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몸체부가 장착되는 회전핀(26)에 의해서 상기한 파인더(30)의 베이스 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전원을 온시키면 모터(8)가 회전하고 모터(8)의 회전력이 기어열(9)을 통하여 전달되어 경통(10)을 회전시키고, 경통(10)이 회전하면서 렌즈캡(16)을 열게 되어 촬영 준비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파인더 표시장치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통(10)이 회전할 때에 상기한 캠면(12)의 돌출부(13)에 상기한 표시판(20)의 걸림돌기(24)가 접하면서 상기한 표시판(20)이 회전핀(2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눕혀지고 상기한 파인더(30)의 렌즈부(34)를 가로막고 있던 상기한 표시판(20)의 가림부(22)가 렌즈부(34)로부터 벗어나서 파인더(30)의 접안렌즈(36)에서 촬영 상태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카메라의 전원을 오프시키면 모터(8)가 역회전하고 경통(10)이 역회전하여 렌즈캡(16)이 닫히고,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표시판(20)의 걸림돌기(24)가 상기한 캠면(12)의 저면부(14)에 접하면서 탄성부재(28)의 복원력에 의하여 회전하여 세워지고 파인더(30)의 렌즈부(34)를 상기한 표시판(20)의 가림부(22)가 가로막게 되고 파인더(30)의 접안렌즈(36)에서는 전원이 오프 상태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 파인더 표시장치에 의하면, 촬영할 때에 파인더를 보면서 카메라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알 수 있으므로 신속한 상황판단 및 촬영이 가능하다.
Claims (4)
- 외주에 돌출부가 형성된 캠면을 가지고 있으며 모터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경통과; 상기 경통의 캠면에 일정한 거리가 띄워져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전원이 오프 상태일 때 파인더의 렌즈부를 가리며, 전원이 온 상태일 때 파인더 렌즈부의 가림 상태를 해제하고, 일측을 연장하여 상기 경통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캠면에 접촉 또는 비접촉함에 따라 상기 표시판을 회전시키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표시판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표시판에 탄지되어 상기 표시판을 초기 위치로 리턴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파인더 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판은 캠면의 돌출부에 상기 걸림돌기가 접할 때 눕혀지면서 파인더의 렌즈부를 개방하고, 캠면의 저면부에 상기 걸림돌기가 접할 때 세워지면서 파인더의 렌즈부를 구성되는 파인더 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캠면의 저면부에 상기 걸림돌기가 접할 때 표시판이 세워져 파인더 렌즈부를 가리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파인더 표시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베이스 프레임에 탄지되고, 타단은 표시판에 탄지되는 파인더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01741U KR200170157Y1 (ko) | 1997-02-05 | 1997-02-05 | 파인더 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01741U KR200170157Y1 (ko) | 1997-02-05 | 1997-02-05 | 파인더 표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7518U KR19980057518U (ko) | 1998-10-15 |
KR200170157Y1 true KR200170157Y1 (ko) | 2000-07-01 |
Family
ID=1949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01741U KR200170157Y1 (ko) | 1997-02-05 | 1997-02-05 | 파인더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0157Y1 (ko) |
-
1997
- 1997-02-05 KR KR2019970001741U patent/KR20017015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7518U (ko) | 1998-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66741B2 (en) | Waterproof type lens-equipped film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KR200170157Y1 (ko) | 파인더 표시장치 | |
US4903062A (en) | Protective apparatus for displaying portion of photographing data in a camera | |
EP0788019B1 (en) | Camera | |
JP2918333B2 (ja) | フリップアップ式フラッシュ装置を備える写真用カメラ | |
KR100614764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 |
KR100602723B1 (ko) | 카메라 커버의 작동에 따라 돌출되는 카메라 모듈을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
JPH0214032Y2 (ko) | ||
KR200160377Y1 (ko) | 카메라의 배터리 커버 개폐장치 | |
KR0126466Y1 (ko) | 카메라의 플레쉬 오픈구조 | |
US5179401A (en) | Photographic camera with wedge-shaped body portion and matching flash | |
JP3824399B2 (ja) | データ写し込み装置 | |
JP3664194B2 (ja) |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 |
JPH0214033Y2 (ko) | ||
JPS638895Y2 (ko) | ||
JPS6061735A (ja) | デ−タ写し込み装置 | |
JP3562864B2 (ja) | 画像入力装置 | |
KR0132274Y1 (ko) | 카메라의 파노라마 사진 촬영장치 | |
JPH0334737Y2 (ko) | ||
JP3753278B2 (ja) |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 |
KR100231921B1 (ko) | 비디오 카메라 | |
JPH0359624A (ja) | レンズカバー組込みカメラ | |
JPH028267Y2 (ko) | ||
KR200160373Y1 (ko) | 카메라 파인더 내의 파노라마 시야 조정장치 | |
KR100252162B1 (ko) | 비디오 카메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028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