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632Y1 -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632Y1
KR200169632Y1 KR2019970035286U KR19970035286U KR200169632Y1 KR 200169632 Y1 KR200169632 Y1 KR 200169632Y1 KR 2019970035286 U KR2019970035286 U KR 2019970035286U KR 19970035286 U KR19970035286 U KR 19970035286U KR 200169632 Y1 KR200169632 Y1 KR 200169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locking device
present
loss
seale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5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984U (ko
Inventor
최성철
Original Assignee
김형국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국, 한전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국
Priority to KR2019970035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632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6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의 말단부 누설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막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폐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본 고안은 배관의 말단부에서 누설 방지를 목적으로하는 막음 장치의 나사부가 없이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는 일방에 구멍을 뚫고 여기에 삽입된 드라이버나 환봉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배관에 설치하거나 배관으로부터 풀어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배관으로부터 분리해낸 막음 장치의 분실을 방지하기위해 와이어가 막음 장치와 관련 기기에 연결되도록 나사부가 없이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는 일방의 측단부 중앙에 부착된 고리를 특징으로하여 구성된다.
이로부터, 막음 장치의 파손없이 간편하게 배관에 설치하거나 배관으로부터 풀어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며, 배관으로부터 분리해낸 막음 장치의 분실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배관 말단부 막음장치
본 고안은 배관(Pipe arrangement)의 말단부 누설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막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폐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배관 말단부 막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배관은 액체, 가스, 음향등의 전송 기타 냉난방 등에 사용되는 원형등의 긴 중공체로서, 이러한 배관 내부의 액체, 가스, 음향등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의 말단부에 막음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 배관의 말단부를 막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던 막음 장치의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도 1a 및 도 1b 에서 보이듯이, 이러한 막음 장치의 일방은 나사부를 구성하여 배관의 일측 말단부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한편, 타방의 일단부는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어 배관 내부의 삽입물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막음 장치는 상기 배관 내부의 삽입물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하는 목적에는 충실하지만 배관으로부터 분리해 내거나 배관에 설치할 때 파이프 렌치로 막음 장치를 물어 돌리면서 사용함에 따른 막음 장치 외부의 마모 또는 파손과 작업이 번거롭게 되었다.
또한 막음 장치를 배관으로부터 분리해 둔 상태에서는 분실의 우려도 크게 된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액체, 가스, 음향등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배관 말단부의 막음 장치의 나사부가 없이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는 일방에 구멍을 뚫고 여기에 삽입된 드라이버나 환봉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배관에 설치하거나 배관으로부터 풀어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며, 배관으로부터 분리해낸 막음 장치의 분실을 방지하기위해 와이어가 관련 기기에 연결되도록 나사부가 없이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는 일방의 측단부 중앙에 부착된 고리를 특징으로하는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a 및 1b는 종래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막음 장치
11 : 구멍
12 : 고리
20 : 배관
30 : 환봉
40 : 와이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배관의 말단부에서 누설 방지를 목적으로하는 막음 장치의 나사부가 없이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는 일방에 구멍을 뚫고 여기에 삽입된 드라이버나 환봉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배관에 설치하거나 배관으로부터 풀어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막음 장치의 나사부가 없이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는 일방에 서로 대향되게 구멍을 뚫은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또한, 배관으로부터 분리해낸 막음 장치의 분실을 방지하기위해 와이어가 막음 장치와 관련 기기에 연결되도록 나사부가 없이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는 일방의 측단부 중앙에 부착된 고리를 특징으로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의 사시도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는바, 막음 장치(10)의 나사부가 없이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는 일방에 서로 대향되게 구멍(11)을 뚫고 측단부 중앙에 고리(12)가 부착되어있다.
상기 구멍(11)은 막음 장치(10)의 크기에 따라 개수가 늘어날 수도 있다.
또한, 막음 장치(10)의 나사부가 없이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는 일방의 측단부 중앙에 고리(12)를 부착하고, 와이어(40)로 이 고리(12)와 관련 기기를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막음 장치(10)를 배관(20)으로부터 분리해 낼때에도 분실의 위험이 없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배관(20)의 말단부를 막거나 말단부로부터 분리해 내기위해 막음 장치(1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데 있어서, 막음 장치(10)의 나사부가 없이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는 일방을 서로 대향되게 구멍을 관통시키고 여기에 드라이버나 환봉을 삽입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회전시키면 종래의 파이프 렌치등의 사용에 의해 막음 장치(10)가 마모되거나 심한 경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의 진행도 간편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게된다.
또한, 와이어(40)로 고리(12)와 관련 기기를 연결하여 막음 장치(10)의 분실의 위험을 없애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는 막음장치의 나사부가 없이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는 일방의 단부에 구멍을 뚫고 여기에 삽입된 드라이버나 환봉등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파이프 렌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막음 장치의 마모나 파손없이 간편하게 배관에 설치하거나 배관으로부터 풀어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며, 와이어로 나사부가 없이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는 일방의 측단부 중앙에 부착된 고리와 관련 기기를 연결하여 배관으로부터 분리해낸 막음 장치의 분실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게됨은 명백하다.

Claims (3)

  1. 배관의 말단부에서 누설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막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막음 장치의 나사부가 없이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는 일방의 단부에 구멍을 뚫고 여기에 삽입된 드라이버나 환봉등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배관에 설치하거나 배관으로부터 풀어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 장치의 나사부가 없이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는 일방의 단부를 서로 대향되게 구멍을 뚫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 장치의 나사부가 없이 밀봉된 구조로 되어있는 일방의 측단부 중앙에 고리를 부착시켜 와이어에 의해 상기 고리와 관련 기기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
KR2019970035286U 1997-12-02 1997-12-02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 KR200169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286U KR200169632Y1 (ko) 1997-12-02 1997-12-02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286U KR200169632Y1 (ko) 1997-12-02 1997-12-02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984U KR19990022984U (ko) 1999-07-05
KR200169632Y1 true KR200169632Y1 (ko) 2000-03-02

Family

ID=1951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5286U KR200169632Y1 (ko) 1997-12-02 1997-12-02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6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408B1 (ko) * 2019-08-06 2020-02-04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전기, 통신, 소방 배관용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577B1 (ko) * 2001-10-04 2004-06-30 한국전력공사 공 관로구 밀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408B1 (ko) * 2019-08-06 2020-02-04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전기, 통신, 소방 배관용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984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1528B1 (en) Fluid pressure device pipe joint
US5806897A (en) Mechanism for attaching a fluid-related device to a device-attaching frame member
ES2184388T3 (es) Dispositivos de acoplamiento de tubos.
CA2263054A1 (en) Adapter for mounting a fluid handling device on a catheter tubing
ES2272641T3 (es) Mejoras en o concernientes a acoplamientos de tubos.
KR200169632Y1 (ko) 배관 말단부 막음 장치
SK114694A3 (en) Inserting type safety coupling for pressure pipes
US5924813A (en) Gasket clamp structure
JP4229685B2 (ja)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KR200383811Y1 (ko) 파이프 분기용 연결소켓
KR200163476Y1 (ko) 샤워기연결용호스의손상방지장치
KR200174931Y1 (ko) 기기 봉인장치
BR0303437B1 (pt) Elemento de acoplamento hidráulico submarino com protetor de abertura externo
JP3806216B2 (ja) 流体の分岐方法
CN214464860U (zh) 一种油田设备用喷淋泵
JP4583534B2 (ja) 開閉機構付き管継手
ES2288539T3 (es) Conector con una valvula.
KR100813706B1 (ko) 파이프 분기용 연결소켓
KR200253832Y1 (ko) 커플러용 에어 역류방지 첵크밸브
KR200392185Y1 (ko) 원형수전박스
KR200158795Y1 (ko) 중압 천공기용 t형 분기관
KR200312619Y1 (ko) 소방호스의 수나사 보호캡
KR20020079240A (ko) 호스의 연결부 구조
EP1198683A2 (en) A method of closing a pipe
JP2531606Y2 (ja) 電線の圧縮接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