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491Y1 - 퇴적물 수거선 - Google Patents

퇴적물 수거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491Y1
KR200169491Y1 KR2019990019843U KR19990019843U KR200169491Y1 KR 200169491 Y1 KR200169491 Y1 KR 200169491Y1 KR 2019990019843 U KR2019990019843 U KR 2019990019843U KR 19990019843 U KR19990019843 U KR 19990019843U KR 200169491 Y1 KR200169491 Y1 KR 200169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hull
sediment collection
partition plate
filtr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외동
Original Assignee
김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3942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27963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외동 filed Critical 김외동
Priority to KR2019990019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4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4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02F3/885Floating installations self propelled, e.g. shi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58Submerged units
    • E02F3/8875Submerged units pulled or push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0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adapted for working ground under 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퇴적물 수거선에 관한 것으로서, 수상(水上)을 이동하면서 퇴적물 수거작업을 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며, 퇴적물 수거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퇴적물 수거작업시 퇴적물이 부유하여 수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퇴적물 수거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퇴적물 수거선은, 하단에 다수의 바퀴(24)가 설치되며, 거리조절윈치(61)를 통하여 선체(1)의 선수와 연결됨과 아울러 높이조절윈치(62)를 통하여 선미와 연결되며, 내부에 수평 구획판(23)이 설치된 퇴적물 수거차(2)와; 상기 선체(1)에 설치된 공기압축기(32)와 상기 구획판(23)에 걸쳐 설치되는 공기분사관(31)과; 상기 선체(1)에 설치된 흡입펌프(42)와 상기 구획판(23)에 걸쳐 설치되는 퇴적물흡입관(41)과; 수거되는 퇴적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선체(1)의 상부에 설치되는 집수 및 여과탱크(51)와; 상기 집수 및 여과탱크(51)의 하부에 설치되는 여과조(52)와; 그리고, 상기 여과조(52)의 하부에 설치되는 청수탱크(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퇴적물 수거선{SWEEPING VESSEL}
본 고안은 예컨대 하천이나 호수 또는 연안에 퇴적된 오니 등의 퇴적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퇴적물 수거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퇴적물 수거효과가 우수하며 퇴적물 수거작업시 퇴적물이 부유하여 수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퇴적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호수 또는 연안에는 각종 생활하수, 축산폐수, 물이끼, 조류, 오물 등이 유입되어 밑바닥에 지속적으로 싸여 썩음으로써 수중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원인이 되고 있고, 특히 상수원 구역이 이와 같이 오염되면 국민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크다.
이와 같은 수중 퇴적물을 수거하기 위한 퇴적물 수거장치로 현재까지 효과적인 것이 제안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며,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된 퇴적물 수거방법으로는 흡입파이프를 퇴적물이 쌓인 바닥에 대고 펌프에 의하여 흡인하고, 흡입된 퇴적물을 망체에 걸러 제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에 따르면, 퇴적물 수거효과가 낮을 뿐만 아니라 퇴적물이 부유하여 수중으로 확산됨으로써 오히려 수중 생태계가 더욱 악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정치상태로 사용됨으로써 한 곳의 퇴적물 수거작업이 끝나면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운반성도 떨어진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상(水上)을 이동하면서 퇴적물 수거작업을 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며, 퇴적물 수거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퇴적물 수거작업시 퇴적물이 부유하여 수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퇴적물 수거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퇴적물 수거선을 나타내는 일부 투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퇴적물 수거선을 구성하는 퇴적물 수거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퇴적물 수거선을 구성하는 퇴적물 수거차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퇴적물 수거선을 구성하는 퇴적물 수거차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퇴적물 수거선의 선체, 2 : 퇴적물 수거차,
23 : 구획판, 24 : 바퀴,
31 : 공기분사관, 32 : 공기압축기,
41 : 퇴적물흡입관, 42 : 흡입펌프,
51 : 집수 및 여과탱크, 52 : 여과조,
53 : 청수탱크, 61 : 거리조절윈치,
62 : 높이조절윈치, 63 : 보조높이조절윈치,
71 : 수중카메라, 72 : 서치라이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퇴적물 수거선은, 하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이 개방부에 망체가 설치되고, 수중바닥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단에 다수의 바퀴가 설치되며, 외주면 일측이 거리조절윈치를 통하여 선수와 연결되고 상면이 높이조절윈치를 통하여 선미와 연결되는 퇴적물 수거차와; 선체에 설치된 공기압축기와 퇴적물 수거차의 내부에 걸쳐 설치되는 공기분사관과; 선체에 설치된 흡입펌프와 퇴적물 수거차의 내부에 걸쳐 설치되는 퇴적물흡입관과; 흡입펌프를 통하여 토출되는 퇴적물을 수용하도록 선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퇴적물 집수 및 여과탱크와; 상기 퇴적물 집수 및 여과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여과조와; 그리고,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여과되는 청수를 수용하여 배출하는 청수(淸水)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퇴적물 수거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퇴적물 수거차의 상면 일측을 관통하여 수중카메라 및 서치라이트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퇴적물 수거선에 따르면, 공기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는 공기분사관을 통하여 퇴적물 수거차의 내부로 분사되고, 이 공기분사에 의하여 수중바닥에 퇴적된 퇴적물이 교반이 되면서 부유하여 퇴적물 수거차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퇴적물 수거차 내부로 유입된 토적물은 흡입펌프의 구동에 의하여 퇴적물흡입관을 통하여 물과 함께 흡입되어 집수 및 여과탱크로 토출된다. 집수 및 여과탱크로 토출된 퇴적물 및 물중 물은 집수 및 여과탱크의 하부에 설치된 여과조로 여과됨으로써 집수 및 여과탱크에는 퇴적물만 잔류하게 된다. 여과조에 수용된 물은 정화되어 여과조 하부의 청수탱크로 유입되어 최종적으로 선체 외부로 배출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퇴적물 수거선의 선체이고, 참조부호 2는 상기 선체(1) 외부에 설치되어 수중바닥에 놓이는 퇴적물 수거차를 나타낸다.
선체(1)는 에프알피(FRP)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적물 수거차(2)는 하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이 하부 개방부에 망체(21)가 설치되고 상부는 구획판(23)으로 막힌 퇴적물 수거통(21)과, 상기 퇴적물 수거통(21)의 상부를 덮는 천정(22)을 가진다. 퇴적물 수거통(21)의 하부 둘레에는 다수의 바퀴(24)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바퀴(24)들은 구획판(23)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상하압축조절대(25)들의 하단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퇴적물 수거차(2)는 수중바닥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하압축조절대(24)는 2개의 중공파이프가 결합되고 이 2개의 중공파이프의 결합부에 스프링이 내장됨으로써 기복이 심한 수중바닥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퀴(24)는 수중바닥에 대한 이동성을 고려하여 톱니형 바퀴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획판(23)은 스테인레스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구획판(23)의 중앙부에는 투명창(231)이 설치되고, 퇴적물 수거차(2)의 이동시 부력이 작용함으로써 그 이용이 용이하도록 구획판(23)의 선단부는 스키대와 같이 위로 약간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퇴적물 수거통(21)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유리와 같은 투명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참조부호 31은 공기분사관으로서, 선체(1)에 설치된 공기압축기(32)(도 1 참조)와 퇴적물 수거차(2)의 내부에 걸쳐 설치된다. 즉, 공기분사관(31)의 하단부는 퇴적물 수거차(2)의 천정(22) 및 구획판(23)의 투명창(231)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공기압축기(32)의 구동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공기분사관(31)을 통하여 퇴적물 수거차(2)의 하부로 분사되고, 이와 같은 공기분사에 의하여 수중바닥의 퇴적물이 교반되어 부유하여 퇴적물 수거통(2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분사에 따른 부력에 의하여 퇴적물 수거차(2)가 부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획판(23)에는 다수의 관통공(232)(도 4 참조)이 형성되고 퇴적물 수거차(2)의 천정(22)에도 다수의 관통공(221)(도 2 참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참조부호 33은 퇴적물의 점도를 고려하여 공기분사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기압축기(32)와 연결되는 에어컨트롤밸브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41은 퇴적물흡입관으로서, 선체(1)에 설치된 흡입펌프(42)와 퇴적물 수거차(2)의 내부에 걸쳐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퇴적물흡입관(41)의 하단부는 퇴적물 수거차(2)의 천정(22) 및 구획판(23)의 가장자리부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퇴적물 수거통(21)의 내부로 유입된 부유 퇴적물은 흡입펌프(42)의 구동에 의하여 퇴적물흡입관(41)을 통하여 물과 함께 흡입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의 상단부에는 흡입펌프(42)를 통하여 흡입되어 토출되는 퇴적물 및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퇴적물 집수 및 여과탱크(51)가 설치되고, 이 퇴적물 집수 및 여과탱크(51)의 하부에는 퇴적물 집수 및 여과탱크(51)로부터 여과되는 물을 수용하여 정화하기 위한 여과조(52)가 설치되며, 이 여과조(52)의 하부에는 여과조(52)에 의하여 정화된 청수를 유입하여 최종적으로 선체(1)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청수탱크(53)가 설치된다. 즉, 여과조(52)에는 미세망체와 섬유망에 의한 여과수단이 설치됨으로써 퇴적물 집수 및 여과탱크(51)로부터 여과조(52)로 여과되는 물이 정화처리되어 청수탱크(53)로 여과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퇴적물 수거선의 이동시는 물론 퇴적물 수거선의 정지시에도 퇴적물 수거차(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퇴적물 수거차(2)의 외주면 일측은 거리조절윈치(61)를 통하여 선체(1)의 선수와 연결되고, 퇴적물 수거차(2)의 상면은 높이조절윈치(62)를 통하여 선미와 연결된다. 즉, 거리조절윈치(61)의 구동에 의하여 퇴적물 수거차(2)는 승강되며, 거리조절윈치(61)의 구동에 따라 퇴적물 수거차(2)가 앞쪽으로 예인되어 퇴적물 수거차(2)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수심이 얕은 곳에서 퇴적물 수거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다리형 보조높이조절윈치(63)가 선체(1)의 선미에 더 설치되면 퇴적물 수거차(2)를 보조높이조절윈치(63)에 매달아 퇴저물 수거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퇴적물 수거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잇도록 퇴적물 수거차(2)의 상면 일측을 관통하여 수중카메라(71) 및 서치라이트(72)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수중카메라(71)가 설치되면 투명창(231)을 통하여 퇴적물 수거작업 진행상태를 잘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에 따른 퇴적물 수거선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높이조절윈치(62)에 의하여 퇴적물 수거차(2)를 들어 올려 퇴적물 수거차(2)가 수중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퇴적물 수거작업장소로 퇴적물 수거선을 이동시킨 다음 높이조절윈치(62)를 구동하여 퇴적물 수거선을 수중바닥에 안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공기압축기(32)를 구동하면 공기가 압축되고, 이 압축된 공기는 공기분사관(31)을 통하여 퇴적물 수거차(2)의 내부로 분사된다. 이 공기분사에 의하여 수중바닥에 퇴적된 퇴적물이 교반이 되면서 부유하여 퇴적물 수거통(21)의 내부로 유입되며, 퇴적물 수거차(2) 내부로 유입된 토적물은 흡입펌프(42)의 구동에 의하여 퇴적물흡입관(41)을 통하여 물과 함께 흡입되어 집수 및 여과탱크(51)로 토출된다. 집수 및 여과탱크(51)로 토출된 퇴적물 및 물중 물은 집수 및 여과탱크(51)의 하부에 설치된 여과조(52)로 여과됨으로써 집수 및 여과탱크(51)에는 퇴적물만 잔류하게 된다. 그리고, 여과조(52)에 수용된 물은 여과조(52)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수단에 의하여 깨끗한 상태로 정화되어 여과조(52) 하부의 청수탱크(53)로 유입되어 최종적으로 선체(1)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있어서는 퇴적물 수거작업이 한 곳에서 끝나면 거리조절윈치(61)를 구동하여 퇴적물 수거차(2)를 전진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퇴적물 수거차(2)가 수중바닥상에서 바퀴(24)들에 의하여 이동가능하므로 퇴적물 수거선을 천천히 이동시키면서 퇴적물 수거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퇴적물 수거선에 있어서는, 퇴적물 수거차(2)가 수중바닥상에서 바퀴(24)들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윈치들(61 내지 63)를 구동하거나 퇴적물 수거선을 천천히 이동시키면서 퇴적물 수거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퇴적물 수거효과가 향상됨은 물론 대량의 퇴적물을 수거할 수 있다. 또한, 공기분사에 의하여 교반되어 부유하는 퇴적물이 퇴적물 수거차(2)의 외부로 확산되지 않고 흡입압력에 의하여 퇴적물 수거통(21)의 내부로 포집되므로 퇴적물 수거작업중에도 수중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하부가 개방되고, 수중바닥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단에 다수의 바퀴가 설치되며, 거리조절윈치를 통하여 선체의 선수와 연결됨과 아울러 높이조절윈치를 통하여 선미와 연결되며, 내부에 수평 구획판이 설치된 퇴적물 수거차와;
    상기 선체에 설치된 공기압축기와 상기 구획판에 걸쳐 설치되는 공기분사관과;
    상기 선체에 설치된 흡입펌프와 상기 구획판에 걸쳐 설치되는 퇴적물흡입관과;
    흡입펌프를 통하여 토출되는 퇴적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선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퇴적물 집수 및 여과탱크와;
    상기 퇴적물 집수 및 여과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여과조와; 그리고,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여과되는 청수를 수용하여 배출하는 청수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수거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물 수거차의 상면 일측을 관통하여 수중카메라 및 서치라이트가 더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의 중앙부 및 퇴적물 수거차의 구획판 하부 부분은 투명소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수거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선미에는 퇴적물 수거차를 승강시키기 위한 사다리형 보조높이조절윈치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수거선.
KR2019990019843U 1999-09-14 1999-09-15 퇴적물 수거선 KR200169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843U KR200169491Y1 (ko) 1999-09-14 1999-09-15 퇴적물 수거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424A KR100327963B1 (ko) 1999-09-14 1999-09-14 퇴적물 수거선
KR2019990019843U KR200169491Y1 (ko) 1999-09-14 1999-09-15 퇴적물 수거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424A Division KR100327963B1 (ko) 1999-09-14 1999-09-14 퇴적물 수거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491Y1 true KR200169491Y1 (ko) 2000-02-15

Family

ID=2663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843U KR200169491Y1 (ko) 1999-09-14 1999-09-15 퇴적물 수거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4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913B1 (ko) * 2001-06-21 2004-04-28 장용하 압축공기를 이용한 오탁방지용 해저 및 수저 퇴적물수거장치
KR100442972B1 (ko) * 2001-10-11 2004-08-04 한국해양연구원 수중 저면 오물 제거시스템
WO2009136727A2 (ko) * 2008-05-06 2009-11-12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조예방을 위한 선박탑재형 해저퇴적물 제거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913B1 (ko) * 2001-06-21 2004-04-28 장용하 압축공기를 이용한 오탁방지용 해저 및 수저 퇴적물수거장치
KR100442972B1 (ko) * 2001-10-11 2004-08-04 한국해양연구원 수중 저면 오물 제거시스템
WO2009136727A2 (ko) * 2008-05-06 2009-11-12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조예방을 위한 선박탑재형 해저퇴적물 제거시스템
WO2009136727A3 (ko) * 2008-05-06 2010-02-11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조예방을 위한 선박탑재형 해저퇴적물 제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143B1 (ko) 수중 오염원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N101260746B (zh) 用于池塘或类似场所的表面抽吸器
CN102953361A (zh) 一种水面浮游垃圾清理装置
CN100368257C (zh) 水面细小垃圾清扫船
KR200242302Y1 (ko) 워터제트를 이용한 퇴적물 수거장치
KR101526329B1 (ko) 조류수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류수거방법
CN111569509A (zh) 深井曝气装置及其污水处理工艺
KR100944399B1 (ko) 부상수문이 구비된 청항선
KR200169491Y1 (ko) 퇴적물 수거선
KR100327963B1 (ko) 퇴적물 수거선
KR100451031B1 (ko)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102490873A (zh) 一种可升降移动的水面作业船
KR100422406B1 (ko) 해저 폐기물 수거장치
KR101920880B1 (ko) 정화대상 수역의 저면 오염물 제거장치
KR100220270B1 (ko) 공기양수관을 이용한 담수호의 폭기 및 침전물제거장치
KR20230116454A (ko) 깊은 수심에서의 친환경 수중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수중퇴적물 제거방법
KR101202195B1 (ko)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
CN216892325U (zh) 一种截流井漂浮垃圾收集装置
CN110015382A (zh) 一种自动水面漂浮物清洁船
JP2017113673A (ja) 浮遊物回収装置
CN113863264B (zh) 一种便携式浅滩除藻设备
CN212669376U (zh) 一种用于生态园林水景的过滤装置
CN214962054U (zh) 一种加州鲈鱼养殖污水处理装置
JP7311690B2 (ja) 移動式浄水装置
CN214400177U (zh) 一种适用于河道的污水治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