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446Y1 -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 - Google Patents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446Y1
KR200169446Y1 KR2019990018016U KR19990018016U KR200169446Y1 KR 200169446 Y1 KR200169446 Y1 KR 200169446Y1 KR 2019990018016 U KR2019990018016 U KR 2019990018016U KR 19990018016 U KR19990018016 U KR 19990018016U KR 200169446 Y1 KR200169446 Y1 KR 200169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formwork
stepped portion
steppe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내문
임병균
Original Assignee
양내문
임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내문, 임병균 filed Critical 양내문
Priority to KR2019990018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4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4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고안은 단턱부용 거푸집을 안정적으로 고여주어서 단턱부를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단턱부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여서 단턱부를 능률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전체적으로 경질의 합성수지를 소재로하여서 만들어지며 서로 동일한 형상과 높이로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져서 마주하는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과,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의 상단부에 일연체로 수평하게 연이어져서 형성되는 받침판(30)과,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 사이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소정의 형상으로 배열 형성되는 복수의 버팀판(40)들로서 구성하여서, 단턱부용 거푸집(2)을 소요높이로서 안정적으로 떠받쳐서 고여주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A Plastic Basement for Concrete Panels}
본고안은 건축물의 발고니턱이나 방수턱 및 계단 등의 단턱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을 소요높이로 떠받쳐서 고여주는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발코니턱, 방수턱, 계단 등의 단턱부는 바닥콘크리트(이하 바닥부라 칭함)와 일체로서 단차지게 시공하게 되는 바, 이러한 단턱부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바닥부용 거푸집과 함께 단턱부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턱부를 시공할 때에 수반되는 거푸집공사는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먼저 바닥부용 거푸집(1)을 설치한 후에, 미리 예정된 바닥부(3)의 성형 두께를 감안하여 바닥부용 거푸집(1) 위에 단턱부용 거푸집(2)을 고임구(5)로 고여서 소요높이로 떠받치도록 설치하여서, 바닥부(3)와 일체로서 단차지는 단턱부(4)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단턱부(4)를 시공함에 있어 단턱부용 거푸집(2)의 설치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량이 가볍고 규격품으로 제작된 고임구(5)를 필요로 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공사현장에서는 고임구(5)를 임의로 제작 사용하여서 단턱부용 거푸집(2)을 설치할 때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즉, 종래의 고임구(5)는 공사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소재로하여서 임의로 제작되기 때문에, 고임구(5) 자체의 무게가 중량이어서 취급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고임구(5)의 규격 및 치수가 균일하지 못하여서 단턱부용 거푸집(2)을 고여서 설치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까다로워서 단턱부(4)를 시공하는 데에 따른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임구(5)는 그 자체의 형태유지능력이 취약한 콘크리트를 소재로하여서 제작되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단턱부용 거푸집(2)을 고인상태에서 외적인 충격 또는 하중에 의하여 쉽게 파손됨에 따라 단턱부용 거푸집(2)이 지지력을 잃어 처지거나 뒤틀리는 변형이 발생되어서 결과적으로 단턱부(4)를 정밀하게 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외적인 하중이나 충격에 대한 구조적강도를 가지는 구조로서 규격화 및 경량화를 지향하여서, 첫째 단턱부용 거푸집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여서 단턱부를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단턱부용 거푸집의 설치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여서 단턱부의 시공성을 향상시켜 주는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고임구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고안 고임구의 사시도
도3는 본고안 고임구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고안 고임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사시도
도5 및 도6은 본고안 고임구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일측 및 타측 지지판 11, 21: 접지부
11a, 21a: 요입홈 12, 22: 콘크리트 충진구멍
13, 23: 고정편 13a, 23a: 못구멍
30: 받침판 31: 굴곡접지면
40: 버팀판 41: 힘살
42: 콘크리트 충진구멍
본고안의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100)는 도2 내지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경질의 합성수지를 소재로하여서 만들어지며 서로 동일한 형상과 높이로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져서 마주하는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과,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의 상단부에 일연체로 수평하게 연이어져서 형성되는 받침판(30)과,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 사이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소정의 형상으로 배열 형성되는 복수의 버팀판(40)들로서 구성하여서, 단턱부용 거푸집(2)을 소요높이로서 안정적으로 떠받쳐서 고여주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의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100)는 경질의 합성수지를 소재로하여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의 상부에는 받침판(30)을 형성하고,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 사이에는 버팀판(40)들이 배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고임구(100) 자체의 형태유지능력을 향상시켜서 외적인 하중이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됨이 없이 단턱부용 거푸집(2)을 안정적으로 떠받쳐서 고여주며, 둘째 고임구(100)의 규격화 및 경량화를 통하여 단턱부용 거푸집(2)을 고여서 설치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고안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은 각각 판상체의 형상으로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단턱부용 거푸집(2)을 고이는 고임높이를 설정하여 주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은 그 각각의 하부에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서 복수의 요입홈(11a, 21a)들이 형성되는 접지부(11, 21)를 형성하여서, 바닥부용 거푸집(1) 위에 안치시킬 때에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은 상하방향의 등간격마다 콘크리트 충진구멍(12, 22)들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의 콘크리트 충진구멍(12, 22)들은 타설되는 미경화콘크리트가 채워지도록 하여서, 시공된 바닥부(3)와 일체성을 증대시켜 주도록 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상기 받침판(30)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의 상부에 수평하게 연이어지도록 형성되어서, 단턱부용 거푸집(2)의 하단부가 접지되는 평면적을 확보하여 주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30)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의 폭방향으로서 굴곡되는 굴곡접지면(31)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서, 단턱부용 거푸집(2)을 설치할 때에
그 단턱부용 거푸집의 하단부가 미끄러짐이 없이 확실하게 접지되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버팀판(40)들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 사이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배열 형성하여서, 수직하중을 작용받는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주도록 한다.
본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버팀판(40)들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 사이에 대각선으로 힘살(41)들을 서로 교차시켜서 된 허니콤구조로 형성하여서,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이 굽힘력이나 압축력에 대응하도록 지탱하여 주면서도, 상기 버팀판(40)들 사이에 타설되는 미경화콘크리트가 채워져서 시공된 바닥부(3)와 일체성을 증대시켜 주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버팀판(40)들은 그 각각의 힘살(41)들이 대각선으로 교차하는 중앙부에 관통되는 콘크리트 충진구멍(42)를 형성하여서,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의 콘크리트 충진구멍(12, 22)들과 함께 타설되는 미경화콘크리트가 채워지도록 하여서, 시공된 바닥부(3)와 일체성을 더욱 증대시켜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4는 본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에는 그 각각의 접지부(11, 21) 하단 중앙으로부터 수평하게 외향 돌출되어서 못구멍(13a, 23a)이 뚫어지는 고정편(13, 23)을 부가 형성하여서, 바닥부용 거푸집(1)을 경사지게 설치하는 경우에 그 바닥부용 거푸집 위에 접지되는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을 확실하게 고정시켜 주도록 한 것이다.
본고안에서는 방수턱을 실예로 한 단턱부(4)를 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단턱부용 거푸집(2)을 떠받쳐서 고여주도록 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도5 및 도6의 적용예에서와 같이, 발코니턱이나 계단 등의 단턱부(4)를 시공할 때에 설치되는 단턱부용 거푸집(2)을 떠받쳐서 고여주는 데에 적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고안은 단턱부용 거푸집을 안정적으로 고여주어서 단턱부를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단턱부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여서 단턱부를 능률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전체적으로 경질의 합성수지를 소재로하여서 만들어지며 서로 동일한 형상과 높이로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져서 마주하는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과,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의 상단부에 일연체로 수평하게 연이어져서 형성되는 받침판(30)과,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 사이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소정의 형상으로 배열 형성되는 복수의 버팀판(40)들로서 구성하여서, 단턱부용 거푸집(2)을 소요높이로서 안정적으로 떠받쳐서 고여줌을 특징으로 하는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은 상하방향의 등간격마다 콘크리트 충진구멍(12, 22)들을 각각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30)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의 폭방향으로서 굴곡되는 굴곡접지면(31)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판(40)들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 사이에 대각선으로 힘살(41)들을 서로 교차시켜서 된 허니콤구조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
  5. 제1항에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판(40)들은 그 각각의 힘살(41)들이 대각선으로 교차하는 중앙부에 관통되는 콘크리트 충진구멍(42)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판(10)(20)에는 그 각각의 접지부(11, 21) 하단 중앙으로부터 수평하게 외향 돌출되어서 못구멍(13a, 23a)이 뚫어지는 고정편(13, 23)을 부가 형성하여서 됨은 특징으로 하는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
KR2019990018016U 1999-08-27 1999-08-27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 KR200169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016U KR200169446Y1 (ko) 1999-08-27 1999-08-27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016U KR200169446Y1 (ko) 1999-08-27 1999-08-27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446Y1 true KR200169446Y1 (ko) 2000-02-15

Family

ID=1958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016U KR200169446Y1 (ko) 1999-08-27 1999-08-27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4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680B1 (ko) 구조적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pc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0401341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ast and framed block element construction
KR101783034B1 (ko) 거푸집 덱 지지용 소켓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벽체 거푸집, 보 거푸집, 기둥 거푸집
KR20010057453A (ko) 대형 이형철근을 이용한 강재교각 앵커시스템
US3466823A (en) Space form skeleton structures made of prefabricated tri-axial interlocking building elements having non-rigid force distributing connectors
KR200169446Y1 (ko) 단턱부용 거푸집 고임구
KR200205092Y1 (ko) 교각의 내진보강장치
CN212926451U (zh) 柱脚连接组件、预制柱以及预制柱连接结构
KR20110119472A (ko) 프리캐스트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중저층 건물의 기둥 리모델링 보강공법
CN214883818U (zh) 一种加强型预制柱与基础的连接节点
CN110616851A (zh) 一种带平托柱帽的有梁楼盖装置及其施工方法
JP2021032024A (ja) ウッドフェンスのストレートピン工法
JP2003138520A (ja) 橋桁構造
CN213539396U (zh) 一种铆钉均匀分布的剪力墙
KR101576224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2587628B1 (ko) 한옥 기초세트
CN106436996A (zh) 一种预应力楼板
CN217630755U (zh) 一种轻型木结构双曲屋面结构
JPH04108921A (ja) 布基礎パネル
KR20110046409A (ko) 다수개의 강선을 인장부의 전단면에 배치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조립식교량시공방법
KR101131629B1 (ko) 다수개의 강선을 인장부의 전단면에 배치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거더의 제작방법
KR100356048B1 (ko) 유형 피에스 빔 및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
JPH0732689Y2 (ja) フラットスラブの剪断補強構造
KR100212022B1 (ko) 고강도 콘크리트 p.c블럭을 이용한 주각의 기초구조공법
KR20030030791A (ko) 합성구조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