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842Y1 - 기모장치 - Google Patents

기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842Y1
KR200168842Y1 KR2019990016006U KR19990016006U KR200168842Y1 KR 200168842 Y1 KR200168842 Y1 KR 200168842Y1 KR 2019990016006 U KR2019990016006 U KR 2019990016006U KR 19990016006 U KR19990016006 U KR 19990016006U KR 200168842 Y1 KR200168842 Y1 KR 200168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ing
fabric
roller
roller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청순
Original Assignee
손청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청순 filed Critical 손청순
Priority to KR2019990016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8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8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2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ingeing, teasing, shearing, etching or br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1)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수많은 침이 돌설된 롤러로 원단의 뒷면을 긁어 표면에 미세한 털을 일으키는 기모(起毛)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털을 일으키는 기모롤러의 작용이 원단 진행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단의 뒷면에 늘어져 있는 미술사에 방해를 받지 않고 기모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2)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기모롤러가 원단 진행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기모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모가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늘어진 미술사와는 관계없이 기모가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이고 그에 따라 재봉작업에 지장이 없는 질높은 고급원단을 생산할 수 있도록하는 것이 목적인 고안이다.
(3)고안의 구성
본 고안의 기모장치(1)는 표면에 고무층(11)이 있는 다수개의 받침롤러(10)를 일정 간격으로 구성하고 각 받침롤러(10)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2∼4개 정도의 기모롤러(20)를 원호형으로 구성하였다.
기모롤러(20)의 양단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면서도 축 길이 방향으로 이동도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30)를 이용하여 지지시키고, 그 중 일 측단은 슬라이드 부재(30)를 통과하여 돌출 되도록 구성한 후 공지의 왕복운동 장치(40)를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4)고안의 효과
본 고안은 기모롤러(20)가 원단의 진행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원단(50)에 늘어진 미술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기모작업을 할 수가 있게 되므로 재봉작업의 원활화를 위한 코팅작업시 미술사가 완전히 밀착되게 되는 것으로 제품의 신뢰성 향상과 고급화를 이룩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모장치{A device for nap raise up}
본 고안은 수많은 침이 돌설된 롤러로 원단의 뒷면을 긁어 표면에 미세한 털을 일으키는 기모(起毛)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털을 일으키는 침의 작용이 원단진행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단의 뒷면에 늘어지는 실(기본바탕이 되는 위사 및 경사와는 별도로 위사와 같이 공급시켜 함께 제직됨과 동시에원단의 앞면에 특정한 형태의 무늬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으로, 통상 '미술사'라고 불리며, 그에 따라 원단의 뒷면에는 각 무늬가 연결되는 미술사의 일부가 늘어지게 됨)에 방해를 받지 않고 기모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소파용 원단 등과 같은 고급 직물에는 원단을 제직시에는 미술사를 함께 공급하여서 일정 간격으로 무늬를 형성하고 있는데, 원단의 앞면에는 무늬가 형성되지만 뒷면에는 각 무늬가 연결되는 미술사가 늘어지게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뒷면의 늘어진 미술사를 그대로 둔 상태로 원단을 가공하려면 봉제작업을 할 때 늘어진 미술사가 재봉기의 원단 받침판 등에 걸려 제대로 작업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원단의 뒷면을 코팅하여 늘어진 미술사가 원단에 달라붙도록 하고 있으며, 또 코팅을 하는 다른 주된 이유로는 원단을 빳빳하게 만들어 제품을 고급화 시키려는데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제직된 상태에서 그대로 코팅을 하게 되면 늘어진 미술사가 재봉 작업시 걸리지 않을 만큼 완전히 달라붙지 못하므로 재봉작업시의 애로점은 별 차이가 없기 때문에, 통상 기모장치를 이용하여 뒷면에 털을 일으킨 상태로 코팅을 함으로써 늘어져있는 미술사를 털이 뒤덮어 줌과 동시에 엉키는 상태로 코팅이 되어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모를 먼자한 후 코팅을 하게되면 재봉 작업시에 걸리지 않게 되는효과와 함께 털이 일어선 상태로 코팅이 되므로 코팅 후 약간의 쿳션이 생기게 되어 품질이 고급화 되는 효과도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모장치는 표면에 수많은 침이 돌설된 침포롤러등을 이용하는데, 여러 개의 침포롤러를 중심축의 측 방향에서 볼 때 원형을 이루도록 설치한후 각각의 침포롤러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원단이 전체 침포롤러를 감으면서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원단이 기모장치를 통과하면서 침에 의해 털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모장치의 문제점으로는 원단의 진행방향 또는 그 역 방향으로침포롤러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앞서 설명한 늘어진 미술사는 원단 진행방향의 직각방향으로 늘어지게 되므로 침이 늘어져있는 미술사를 걸면서 회전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기모가 잘 이루어 질 수 없음은 물론이고 심하면 원단을 망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기모롤러가 원단 진행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기모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모가 원활하게이루어짐과 동시에 늘어진 미술사와는 관계없이 기모가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이고 그에 따라 재봉작업에 지장이 없는 질 높은 고급원단을 생산할 수 있도록하는 것이 목적인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면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기모장치
10,10',10':받침롤러
11:고무층
12:가이드 롤러
20:기모롤러
21:침
30:슬라이드 부재
40:왕복운동 장치
50:원단
본 고안의 기모장치(1)는 표면에 고무층(11)이 있는 다수개의 받침롤러(10)를 일정 간격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 받침롤러(10) 사이의 중간 하단에는 각각 가이드 롤러(12)를 구성하며, 각 받침롤러(10)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2∼4개 정도의 기모롤러(20)를 원호형으로 구성하였는데, 상기 기모롤러(20)는 다수개의 침(21)이 표면에 형성된 롤러나 샌드 페이퍼가 표면에 부착된 롤러, 또는 스틸이나 나일론 브러쉬 등의 것을 사용한다.
상기 기모롤러(20)의 양단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면서도 축 길이 방향으로이동도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30)를 이용하여 지지시키고, 그 중 일 측단은 슬라이드 부재(30)를 통과하여 돌출 되도록 구성한 후 공지의 왕복운동 장치(40)를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왕복운등 장치(40)를 연결할 때는 여러 개의 기모롤러(20)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한꺼번에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고 개별적으로 움직이도록 여러 개의 왕복운동 장치(40)를 각각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은 기모작업시 원단(50)을 받쳐주는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제시한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크기가 작은 두개씩의 받침롤러(10')(10')를 반복 설치하고 그 중간에 상부에 2∼4개씩의 기모롤러(20)를 일직선으로 설치한 것을 보여준다.
도면 중 미 설명된 부호 60은 동력발생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원단(50)이 받침롤러(10)와 기모롤러(20)사이를 통과하면 기모롤러(20)에 의해 기모, 즉 털이 일어서게 되는 것으로, 기모롤러(20)는원단(50)의 이동에 의해 원단(50)의 이동속도와 같이 회전을 함과 동시에 왕복운동장치(40)에 의해 원단(50) 진행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므로 침(21)이나 샌드 페이퍼, 브러쉬등이 원단(50)을 이루는 원사의 일부를 긁어 털을 일으키는것이다.
이때 원단(50)의 늘어진 미술사는 기모롤러(20)의 왕복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늘어지게 되므로 침(21)의 이동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기모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설명된 작용과 같은 작용을 하게되고 받침롤러(10')(10')를 작게 구성할 수 있어서 제작이 편리해지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기모롤러(20)가 원단의 진행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원단(50)에 늘어진 미술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기모작업을 할 수가 있게 되므로 재봉작업의 원활화를 위한 코팅작업시 미술사가 완전히 밀착되게 되는 것으로 제품의 신뢰성 향상과 고급화를 이룩할 수 있게 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원단의 표면에 털을 일으키는 기모장치에 있어서, 표면에 고무층(11)이 있는다수개의 받침롤러(10)를 일정 간격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 받침롤러(10) 사이의 중간 하단에는 각각 가이드 롤러(12)를 구성하며, 각 받침롤러(10)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2∼4개 정도의 기모롤러(20)를 원호형으로 구성하되 기모롤러(20)의 양단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면서도 축 길이 방향으로 이동도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30)를 이용하여 지지시키며, 그 중 일 측단에는 공지의 왕복운동 장치(40)를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장치.(독립항)
  2. 제1항에 있어서,
    기모작업시 원단(50)을 받쳐주는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 예로서, 일정 간격으로 크기가 작은 두개씩의 받침롤러(10')(10')를 반복 설치하고 그 중간의 상부에 2∼4개씩의 기모롤러(20)를 일직선으로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장치.(종속항)
KR2019990016006U 1999-08-02 1999-08-02 기모장치 KR200168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006U KR200168842Y1 (ko) 1999-08-02 1999-08-02 기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006U KR200168842Y1 (ko) 1999-08-02 1999-08-02 기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842Y1 true KR200168842Y1 (ko) 2000-02-15

Family

ID=1958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006U KR200168842Y1 (ko) 1999-08-02 1999-08-02 기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8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097B1 (ko) * 2016-09-08 2017-03-13 선하통상 (주) 벨크로 테이프 부착을 위한 보풀 형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097B1 (ko) * 2016-09-08 2017-03-13 선하통상 (주) 벨크로 테이프 부착을 위한 보풀 형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241B2 (en) Tubular cut pile knit fabric for paint roller covers
TW40614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face finishing fabric with coated wires
KR200168842Y1 (ko) 기모장치
US2028872A (en) Pile fabric
JP2000080558A5 (ko)
US4308649A (en) Apparatus to pattern brush pile fabric
CN1333395A (zh) 圆形针织物及其制造方法和装置
TW199195B (en) Stitching pattern method for a large fabric
US3922736A (en) Machine and method for space dyeing
US2160989A (en) Process of treating yarns and fabrics made therefrom
JPS5928054Y2 (ja) 金銀加工糸
KR100555775B1 (ko) 다양한 고리형태의 문양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편물사편직방법 및 편직기
JPH0280661A (ja) 図柄起毛織編物の製造方法
JP2948400B2 (ja) 起毛機
JPS626155Y2 (ko)
KR100359694B1 (ko) 섬유 원단 무늬형성 후가공장치
CN212560625U (zh) 一种高密度纬编超细纤维织物
US2594886A (en) Bristle gigging brush
KR200288803Y1 (ko) 청소용 걸레포
CN117566510A (zh) 一种用于针织面料服装生产的防褶皱装置
TWI672405B (zh) 餵紗裝置和方法
JPH08309714A (ja) 畳縁地の捺染方法及び機械
US2787934A (en) Lac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367090Y1 (ko) 다양한 고리형태의 문양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편물사제조용 편직기
JPH09217238A (ja) 飾り糸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