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477Y1 -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 - Google Patents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477Y1
KR200168477Y1 KR2019990018332U KR19990018332U KR200168477Y1 KR 200168477 Y1 KR200168477 Y1 KR 200168477Y1 KR 2019990018332 U KR2019990018332 U KR 2019990018332U KR 19990018332 U KR19990018332 U KR 19990018332U KR 200168477 Y1 KR200168477 Y1 KR 200168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ine
membrane
filter
ozon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덕명퓨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덕명퓨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덕명퓨어텍
Priority to KR2019990018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4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4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원수도입라인에 연결된 원수공급펌프(1)에 원수공급라인(L1)을 통해 마이크로필터(2)와 카본필터(3)를 차례로 설치하고,상기 카본필터(3)에 제1맴브레인라인(L2)을 통해 제1맴브레인필터(4)를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제1맴브레인필터(4)에다 제2맴브레인라인(L3)을 통해 제2맴브레인필터(5
)를 연결하며, 상기 제2맴브레인필터(5)에 처리수라인(L4)을 통해 자외선살균기(6)를 연결함과 더불어 맴브레인의 공급수 압력계(7)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자외선살균기(6)에 정수공급 솔레노이드밸브(8)를 구비한 정수라인(L5)을 연결하며, 상기 정수라인(L5)에 오존발생기(9)를 연결하고, 농축수 유량계(10)를 구비한 플러싱라인(L6)에다 상기 제1,2맴브레인필터(5),(6)을 연결함과 더불어 플러싱 솔레노이드밸브(11)를 구비한 배수라인(L7)을 연결하여 배수라인(L6)을 농축수 압력계(12)에 연결 설치하고, 상기 원수공급펌프(1)와 정수공급 솔레노이드밸브(8), 플러싱 솔레노이드밸브(11) 및 오존발생기(9)에 제어수단(13)을 연결 설치하여 물통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플러싱으로 정수에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는 효과 뿐만아니라 원수를 학교나 직장 및 관공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 {REVERSE OSMOSIS CLEAN WATER APPARATUS HAVING OZONE GENERATOR FOR WASHING OF WATER PAIL}
본 고안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존발생기를 구비하여 오존수로 정수한 물을 저장하는 물통을 간단하게 세정하는 기능 및 맴브레인필터 분리막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플러싱 기능과 함께 수도물의 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역삼투압방법으로 제거시켜 정수하는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폐기물등 공해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하여 대기오염이나 하천수 및 지하수가 오염됨에 따라 이를 원수로 사용하는 수도물의 불신을 야기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정수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정수기는 대부분이 오염된 물을 정화하거나 또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단순희 여과하는 정수기능 만을 갖춘 것이어서 정수를 저장하는 물통 자체가 각종 세균등 오염물에 오염되는 경우 정수기로 정수한 음용수가 오염되는 것은 필연적이라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장수기는 일정시간 가동정지시 필터의 분리막내에 이물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는 기능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 재가동시 필터의 분리막내에서 생성된 이물질이 정수에 혼입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상기한 종래 정수기는 대부분 정수한 물을 저장하지 않고 직접 음용하는 가정용으로는 적합할 수 있으나, 생수의 공급과 같이 물통에 저장한 후 정수공급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학교나 직장 및 관공서 등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 결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정수기가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오존발생기를 구비하여 오존수로 정수한 물을 저장하는 물통을 간단하게 세정하는 기능 및 맴브레인 분리막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플러싱 기능과 함께 수도물등의 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역삼투압방법으로 제거시켜 정수하는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의 전면판
넬을 열어 펼친 상태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어수단의 제어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원수공급펌프 2 : 마이크로필터
3 : 카본필터 4 : 제1맴브레인필터
5 : 제2맴브레인필터 6 : 자외선살균기
7 : 맴브레인의 공급수 압력계 8 : 정수공급 솔레노이드밸브
9 : 오존발생기 10 : 농축수 유량계
11 : 플러싱 솔레노이드밸브 12 : 농축수 압력계
13 : 제어수단 21 : 도어
22 : 물통 23 : 스위치부
L1 : 원수공급라인 L2 : 제1맴브레인라인
L3 : 제2맴브레인라인 L4 : 처리수라인
L5 : 정수라인 L6 : 플러싱라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는 원수도입라인에 연결된 원수공급펌프(1)에 원수공급라인(L1)을 통해 마이크로필터(2)와 카본필터(3)를 차례로 설치하고, 상기 카본필터(3)에 제1맴브레인라인(L2)을 통해 제1맴브레인필터(4)를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제1맴브레인필터(4
)에다 제2맴브레인라인(L3)을 통해 제2맴브레인필터(5)를 연결하며, 상기 제2맴브레인필터(5)에 처리수라인(L4)을 통해 자외선살균기(6)를 연결함과 더불어 맴브레인의 공급수 압력계(7)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자외선살균기(6)에 정수공급 솔레노이드밸브(8)를 구비한 정수라인(L5)을 연결하며, 상기 정수라인(L5)에 오존발생기(
9)를 연결하고, 농축수 유량계(10)를 구비한 플러싱라인(L6)에다 상기 제1,2맴브레인필터(5),(6)을 연결함과 더불어 플러싱 솔레노이드밸브(11)를 구비한 배수라인(
L7)을 연결하여 배수라인(L6)을 농축수 압력계(12)에 연결 설치하고, 상기 원수공급펌프(1)와 정수공급 솔레노이드밸브(8), 플러싱 솔레노이드밸브(11) 및 오존발생기(9)에 제어수단(13)을 연결 설치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의 전면판넬을 열어 펼친 상태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어수단의 제어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에 있어서 전면판넬에 있는 스위치부(23)는 각종 표시기와 스위치버턴으로 이루어 지는데 각종 표시는 물통에 채워지는 정수상태표시, 정수의 수질상태표시, 원수의 공급중단이나 펌프의 가동중지, 원수의 공급압력이상, 맴브레인필터의 막힘, 자외선램프의 이상 등을 나타내는 알람표시 등이며, 스위치버턴은 플러싱모드 온/오프스위치, 물통세척모드 온/오프스위치, 정수모드 온/오프스위치, 비상정지스위치 등이다.
본 고안 정수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먼저 도 4에 나타낸 도어(21)를 열고 도시한 바와 같이 빈물통(22)을 정수기내로 넣어준 다음 전면판넬에 있는 스위치부(23)에 있는 물통세척모드 스위치를 온한다. 그러면 제어수단(13)의 제어로 오존발생기(9)가 작동하여 생성된 오존이 정수라인(L5)으로 공급되어 정수라인(L5)에서 정수에 용해됨으로써 오존수가되고, 이 오존수가 물통(22)에 주입된다. 물통(
22)에 오존수가 일정량 주입되면 사용자가 물통세척모드 스위치를 오프함에 따라 오존발생기(9)는 동작을 정지하여 물통(22)에 오존수의 주입지 정지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수작업으로 물통(22)을 흔들어 오존수로 물통(22) 내부를 세척하게 되며, 이어 사용자는 세척이 끝난 물통(22)을 다시 정수기에 넣고 난 후 스위치부(23)에 정수모드 스위치를 온한다.
그에 따라 제어수단(13)의 제어로 원수공급펌프(1)가 동작하여 원수공급펌프(1)로 도입되는 원수가 원수공급라인(L1)을 통해 마이크로필터(2)로 공급되어 마이크로필터(2)에서 원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그후 카본필터(3)를 거치면서 원수내 잔류염소가 제거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각종 이물질 및 잔류염소가 제거된 물은 제1맴브레인라인(L2)을 통해 제1맴브레인필터(4)로 인가되어 제1맴브레인필터(4)에서 역삼투압방식으로 물속에 녹아 있는 박테리아나 미생물, 미세물질, 유기물질, 전해물질등이 1차로 제거된 다음 제2맴브레인라인(L3)을 통해 제2맴브레인필터(5)로 인가되어 제2맴브레인필터(5)에서 역삼투압방식으로 물속에 녹아 있는 박테리아나 미생물, 미세물질, 유기물질, 전해물질등이 2차로 제거된다.
상기 제2브레인필터(5)를 통과한 처리수는 처리수라인(L4)을 거쳐 자외선살균기(6)로 인가되어 자외선살균기(6)에 의해 처리수에 존제하는 각종 균들은 살균되게된다. 이와 같이 자외선살균기를 통과한 물은 최종적으로 정수처리된 것으로서 제어수단(13)의 제어에 의해 정수공급 솔레노이드밸브(8)가 열려 있으므로 정수라인(L5)을 거쳐 물통(22)에 주입되게 된다.
여기서 물통(22)에 주입되는 정수량은 한통분량을 미리 설정해 두어 물통(22
)에 정수가 가득 채워지면 자동적으로 정수기의 동작을 정지하게 할 수 있고, 또 센서등을 설치하여 물통(22)에 정수가 가득 채워진 것을 센서로 감지하여 센서의 감지신호로 정수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수량 만큼의 정수가 물통(22)에 채워지면 스위치부(23)에 정수모드 스위치를 오프하여 정수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정수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1,2맴브레인필터(4),(5)의 분리막내에는 이물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수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다가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는 스위치부(23)에 있는 플러싱모드 스위치를 온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3)의 제어로 플러싱 솔레노이드밸브(11)가 열리게 되어 모등 배관라인 및 제1,2맴브레인필터(4),(5)의 잔존수를 농축수로 배수라인(L6)을 통해 배출하는 플러싱을 하게 된다.
이러한 플러싱은 주기적으로 실시하거나 또는 맴브레인의 공급수 압력계(7)의 지시압력과 농축수 압력계(12)의 지시압력의 차가 일정한 압력 이상이 되면 실시하여 정수기의 각종 배관라인이나 제1,2맴브레인필터(4),(5)의 분리막내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플러싱하여 제거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는 오존발생기를 구비하여 오존수로 정수한 물을 보관할 물통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정수기의 각종배관라인 및 멤브레인필터의 분리막내부를 플러싱할 수 있어서 정수에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는 다는 효과 뿐만아니라 원수를 물통단위로 정수하여 학교나 직장 및 관공서 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원수도입라인에 연결된 원수공급펌프(1)에 원수공급라인(L1)을 통해 마이크로필터(2)와 카본필터(3)를 차례로 설치하고, 상기 카본필터(3)에 제1맴브레인라인 (L2)을 통해 제1맴브레인필터(4)를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제1맴브레인필터(4)에다 제2맴브레인라인(L3)을 통해 제2맴브레인필터(5)를 연결하며, 상기 제2맴브레인필터(5)에 처리수라인(L4)을 통해 자외선살균기(6)를 연결함과 더불어 맴브레인의 공급수 압력계(7)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자외선살균기(6)에 정수공급 솔레노이드밸브(8)를 구비한 정수라인(L5)을 연결하며, 상기 정수라인(L5)에 오존발생기(9)를 연결하고, 농축수 유량계(10)를 구비한 플러싱라인(L6)에다 상기 제1,2맴브레인필터(5),(6)을 연결함과 더불어 플러싱 솔레노이드밸브(11)를 구비한 배수라인(L7)을 연결하여 배수라인(L6)을 농축수 압력계(12)에 연결 설치하고, 상기 원수공급펌프( 1)와 정수공급 솔레노이드밸브(8), 플러싱 솔레노이드밸브(11) 및 오존발생기(9)에 제어수단(13)을 연결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
KR2019990018332U 1999-08-31 1999-08-31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 KR200168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332U KR200168477Y1 (ko) 1999-08-31 1999-08-31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332U KR200168477Y1 (ko) 1999-08-31 1999-08-31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477Y1 true KR200168477Y1 (ko) 2000-02-15

Family

ID=19586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332U KR200168477Y1 (ko) 1999-08-31 1999-08-31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4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352B1 (ko) 2006-12-27 2007-07-09 케미코아 주식회사 목욕탕 배출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5403199A (zh) * 2022-08-29 2022-11-29 湖南龙新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检验用水联合使用ro+edi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352B1 (ko) 2006-12-27 2007-07-09 케미코아 주식회사 목욕탕 배출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5403199A (zh) * 2022-08-29 2022-11-29 湖南龙新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检验用水联合使用ro+edi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5624B (zh) 净水器中的薄膜过滤器的自动冲洗设备
CN100526225C (zh) 一种纯净水处理装置和纯水机浓水处理方法
CN101514060B (zh) 应急饮用水处理设备
CN101774710A (zh) 一种净水制备的膜分离结构优化系统
CN201010557Y (zh) 带有二氧化氯发生装置的防二次污染直饮水系统
JPH08132025A (ja) 浄水器の漏水感知装置
KR200168477Y1 (ko) 물통세척용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역삼투압 정수기
KR200277037Y1 (ko) 역삼투압 방식의 냉온정수기
KR200292228Y1 (ko) 폐수 정화용 밸브수단을 구비한 역삼투압방식의 냉온정수기
CN114031229A (zh) 一种用于二次供水设备的净水装置
CN113087209A (zh) 一种带调节口感的净水设备
KR19990016440A (ko) 물 사용량이 많은 시설물의 오수재이용 방법 및 그 이용 공정
KR100430071B1 (ko) 생활 오배수를 이용한 중수처리 공급장치
KR100484922B1 (ko) 이온 정수 시스템
JP2000061463A (ja) 浄水装置及び浄水装置の洗浄方法
KR100576256B1 (ko) 이온 정수기의 세균제거장치
KR970020955A (ko) 정수기용 정수물탱크의 자동수 교환 처리장치
CN220078868U (zh) 一种带有水箱自动清洗消毒功能的中央净水设备
CN217350953U (zh) 一种高效反渗透装置
CN217947864U (zh) 直饮自洁式净水器
KR20040023291A (ko) 전기투석장치가 부착된 정수시스템
JP2002059161A (ja) 純水供給方法及び装置
KR20100115091A (ko)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60000696Y1 (ko) 정수장치용 세라믹필터의 청소장치
KR200327035Y1 (ko) 이온 정수기의 급수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