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064Y1 -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064Y1
KR200168064Y1 KR2019950037410U KR19950037410U KR200168064Y1 KR 200168064 Y1 KR200168064 Y1 KR 200168064Y1 KR 2019950037410 U KR2019950037410 U KR 2019950037410U KR 19950037410 U KR19950037410 U KR 19950037410U KR 200168064 Y1 KR200168064 Y1 KR 200168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lternator
sensor
temperature
charging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7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907U (ko
Inventor
박창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37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064Y1/ko
Publication of KR9700259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9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0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각종 부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알터네이터로부터 발전된 전원이 배터리에 충전전류로 공급될 시 배터리의 온도 상태에 따라 충전전류의 공급을 차단하여 배터리의 온도 상승에 의한 과충전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엔진의 기동시 배터리의 온도를 검출하여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으로 검출되면 알터네이터에서 발생되는 충전전류가 배터리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파손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터리 20 : 제1센서
30 : 제2센서 40 : ECU
50 : 릴레이 60 : 알터네이터
본 고안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각종 부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알터네이터로부터 발전된 전원이 배터리에 충전전류로 공급될 시 배터리의 온도 상태에 따라 충전전류의 공급을 차단하여 배터리의 온도 상승에 의한 과충전을 방지하도록 한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온도에 의한 과충전 현상은 알터네이터로부터 발생된 정전압의 충전시 과도한 충전 온도와 충전전류로 인하여 배터리 전해액의 온도 상승, 전해액의 증발, 격리판의 열 충격으로 각 셀들의 쇼트가 발생하여 배터리의 폭발이나 과충전이 발생되는 현상이다.
종래의 자동차에서는 엔진의 구동에 따라 알터네이터에서 발전된 전원이 배터리의 온도 여부에 관계없이 연속적인 충전 동작을 진행하므로, 자동차에 구비되는 부하장치의 전원 소비가 없을 경우 과도한 충전전류의 인가와 이에 따른 온도의 상승으로 터미널 단자에 과도한 부식을 발생시키며, 내부 셀들을 쇼트시키게 되어 배터리의 조기 파손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운행되는 자동차에서 ECU에 검출되는 배터리의 온도가 설정된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검출되면 알터네이터의 충전전류가 배터리 측에 인가되지 못하도록 릴레이 접점을 차단하여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엔진의 시동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엔진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소정의 전압을 발생시켜 각 부하장치와 상기 배터리에 충전전류로 공급하는 알터네이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충전장치에 있어서, 운행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온도 상태를 검출하는 제2센서와, 알터네이터에서 발생된 전류가 배터리 측으로 인가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1센서와, 배터리의 기준 온도가 설정되며 제2센서와 제1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 배터리 측에 인가되는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ECU 및, ECU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알터네이터로부터 배터리 측으로 인가되는 충전전류를 단속하는 릴레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구성도로 도면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10)와, 제1센서(20), 제2센서(30), ECU(40), 릴레이(50) 및, 알터네이터(60)로 이루어지는데, 배터리(10)는 엔진의 시동시 기동전원을 공급하며, 엔진의 시동후 알터네이터(6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충전 작용을 수행한다. 제1센서(20)는 전류 감지센서로 알터네이터(60)에서 발전되어 배터리(10)측으로 인가되는 충전전류의 상태를 센싱한다. 제3센서(30)는 온도 검출 센서로 배터리(10)의 단자와 연결되어 배터리(10)에서 발생되는 온도의 상태를 검출한다. ECU(40)는 엔진구동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배터리의 충전전류 제어를 위한 배터리의 기준 온도가 설정되며, 제1센서(20)와 제2센서(30)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 배터리(10)의 충전 여부를 제어한다. 릴레이(50)는 ECU(4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접점이 스위칭 되어 알터네이터(60)에서 발전된 전류가 배터리(10)측으로 인가되는 것을 스위칭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알터네이터(60)는 소정의 전압을 발생시켜 자동차에 구비되는 각종 부하장치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배터리(10)측에 충전전류를 공급하며, 엔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ECU(40)는 배터리(10)의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제2센서(30)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10)의 온도 상태를 검출하여 설정된 기준 온도, 대략 60℃와 비교한 후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으로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검출되는 배터리(10)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으로 검출되면 ECU(40)는 제1센서(20)로부터 배터리(10)측에 충전전류가 인가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배터리(10)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으로 검출되는 상태에서 알터네이터(60)에서 발생된 전압이 배터리(10)측에 충전전류로 인가되는 것을 검출하면 ECU(40)는 릴레이(50)측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스위칭 접점을 차단시켜 알터네이터(60)로부터 배터리(10)측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고 부하측으로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10)측에 인가되는 충전전류의 차단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제2센서(30)에서 검출되는 배터리(10)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로 검출되면 ECU(40)는 릴레이(50)측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내부의 접점을 스위칭시켜 알터네이터(60)에서 발생된 전류가 배터리(10)측에 유입되도록 하여 충전작용을 진행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엔진의 기동시 배터리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으로 검출되면 알터네이터에서 발생되는 충전전류가 배터리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충전에 의한 배터리의 파손을 방지한다.

Claims (1)

  1. 엔진의 시동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엔진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소정의 전압을 발생시켜 각 부하장치와 상기 배터리에 충전전류로 공급하는 알터네이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충전장치에 있어서, 운행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온도 상태를 검출하는 제2센서와, 상기 알터네이터에서 발생된 전류가 상기 배터리 측으로 인가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1센서와, 상기 배터리의 기준 온도가 설정되며 상기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 배터리 측에 인가되는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ECU 및, 상기 ECU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어 알터네이터로부터 상기 배터리 측으로 인가되는 충전전류를 단속하는 릴레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KR2019950037410U 1995-11-30 1995-11-30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KR200168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410U KR200168064Y1 (ko) 1995-11-30 1995-11-30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410U KR200168064Y1 (ko) 1995-11-30 1995-11-30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907U KR970025907U (ko) 1997-06-20
KR200168064Y1 true KR200168064Y1 (ko) 2000-02-01

Family

ID=1943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7410U KR200168064Y1 (ko) 1995-11-30 1995-11-30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0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1762A1 (ko) * 2014-01-21 2015-07-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배터리 충전 후 배터리 컷 오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1762A1 (ko) * 2014-01-21 2015-07-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배터리 충전 후 배터리 컷 오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907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6608A (en) Method for charging secondary battery and charger used therefor
US5525891A (en) Power-supply-apparatus in a vehicle
US9840209B2 (en) Battery and motor vehicle
JP2001178011A (ja) 二次電池装置
KR20010043673A (ko) 2차 전지 제어 회로
JPH01206848A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制御装置
US5089766A (en) Vehicle ac generator control device with overvoltage limiter and dummy load unit
US4349854A (en) Power generation control system for vehicle generator
KR960027134A (ko) 만충전 배터리의 재충전 방지 기능을 갖는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023107A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wiper motor
US5764033A (en) Rechargeable battery protection circuit
KR910010792A (ko) 차량용 발전기의 충전제어장치
JP3190597B2 (ja) 充放電制御回路と充電式電源装置
KR200168064Y1 (ko)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JP2001169471A (ja) 二次電池装置
ES2184051T3 (es) Sistema de ignicion con comando de distribucion de la tension del generador.
KR200147895Y1 (ko) 자동차용 축전지의 과다 방전 방지장치
AU709324B2 (en) A switch for a battery charging system
KR100219324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예열장치
KR100193439B1 (ko)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회로 및 방법
KR940000312Y1 (ko) 차량용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KR970054774A (ko) 자동차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27471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보조동력장치 제어시스템
JPS61164073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100310031B1 (ko) 3극 배터리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