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806Y1 -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 - Google Patents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806Y1
KR200167806Y1 KR2019990016434U KR19990016434U KR200167806Y1 KR 200167806 Y1 KR200167806 Y1 KR 200167806Y1 KR 2019990016434 U KR2019990016434 U KR 2019990016434U KR 19990016434 U KR19990016434 U KR 19990016434U KR 200167806 Y1 KR200167806 Y1 KR 200167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strip
plate
tensile force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갑
Original Assignee
이재갑
김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갑, 김주태 filed Critical 이재갑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8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에 관한 것으로, 흙막이 벽체 (100)가 구비된 굴착배면에 강선 투입구(103)를 천공하여 형성된 정착장(120)과, 정착장(120)의 연장상에 자유장(130)이 형성된 그라운드 앵커 시공에 있어서, 상기 강선 투입구(103)에 삽입되어 정착장(120)에서 자유장(130)으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정착장(120)을 지지체로 하여 인장력을 형성시키기 위해 구비된 강선 (110)과; 상기 강선(1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정착장(120)을 지지체로 하여 상기 강선 (110)에 형성된 인장력을 지지하여 하부로 전달시키는 결속콘(180)과; 상기 강선 (110)에 발생하는 인장력을 결속콘(180)을 통하여 전달받아, 하부로 분산 전달시키는 지압판(150)과; 강선 유입공(141)이 구비된 원통형상의 강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선(110)의 삽입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흙막이 벽체(100)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지압판(150)에 의해 전달되는 강선(110)의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흙막이 벽체 (100)에 전달시키는 띠장(140); 그리고, 상기 띠장(14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띠장(140)과 상기 흙막이 벽체(100)에 밀착 설치되어 상기 지압판 (150)에 의해 상기 띠장(140)에 전달되는 강선(110)의 인장력을 전달받아 흙막이 벽체(100)에 분산 전달 시키고, 상기 띠장(140)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상,하부 받침대 (160)(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굴착배면 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강선(110)의 삽입방향에 관계없이 설치되어, 상기 강선(110)의 인장력이 상기 흙막이 벽체(100)에 분산 전달되는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따라서 상기 띠장(140) 및 지압판(150) 그리고 상,하부 받침대(160)(170)를 표준화 시켜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ground anchor using a steel pipe}
본 고안은 토목 및 건축공사에서 지하굴착이나 옹벽시공 등에서 실시되는 그라운드 앵커 시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배면 측으로 설치되는 강선의 설치방향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표준화된 원통상의 강관을 띠장으로 이용하여, 상기 흙막이 벽체에 전달되는 강선의 인장력이 분산 전달되도록 하는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지하굴착이나 옹벽시공을 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 지하굴착이나 옹벽시공시에는 안전을 위하여 반드시 흙막이 구조물이 설치되어야 하는 바, 상기 흙막이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가시설이 필수적이다. 상기 가시설로는 주로 버팀보 및 그라운드 앵커 (ground anchor)가 사용된다.
상기 버팀보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주로 지하철 정거장 시공 등의 공사에 사용된다. 즉 양측벽에 흙막이 벽체를 설치하고, 상기 흙막이 벽체를 연결하는 버팀보가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흙막이 벽체는 통상 H파일과 토류판 또는 토류벽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버팀보를 이용한 지지 구조물은 굴착폭이 넓은 곳에서는 버팀보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좌굴, 휨변형, 시공지연 등으로 흙막이 구조물의 붕괴, 지반의 침하로 인한 주변 건물에 피해를 끼치게 되고, 굴착폭이 좁은 곳에서는 장비의 작업공간이 부족하여 원활한 작업에 방해가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버팀보를 대신하여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상기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크게 강선 (1), 띠장 받침대(2), 띠장(3), 대좌(4), 지압판(5), 그리고 결속콘(6)으로 구성된다.
상기 그라운드 앵커는 굴착배면에서 작용하는 토압을 흙막이 벽체(7)가 1차적으로 지지하고, 흙막이 벽체의 전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식각 이면의 수동영역까지 천공하여 강선을 삽입하여 조립,설치한 다음, 정착장(8)을 형성하여 지지체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흙막이 벽체(7)는 통상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H파일과, 상기 H파일에 부착 설치된 토류판이나 토류벽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에서 연결되어 자유장(9)이 형성되고, 상기 자유장(9)을 인장하여 지압판(5)의 인장력이 띠장(3)에 전달되도록 대좌(4)가 형성된다. 상기 띠장 (3)은 H-BEAM 2개를 나란히 배열함에 의해 구성되고, 띠장 받침대(2)에 의해 상기 흙막이 벽체(7)의 전면 소정위치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띠장 받침대(2)는 철근이나 앵글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좌(4)는 상기 띠장(3)에 고정 설치되어 전면부가 삼각형상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각은 강선(1)의 삽입,설치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대좌(4)의 경사면 중앙부에는 지압판(5)이 구비된다. 상기 지압판 (5)은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다수개의 강선(1)이 돌출된다. 상기 강선(1)의 돌출부에는 각각의 강선(1) 마다 결속콘(6)이 조립되어 인장력이 작용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같다.
먼저 흙막이 벽체(7)의 소정부분을 일정각도로 천공하여, 상기 천공부에 강선 (1)을 삽입 설치하여 소정규모의 정착장(8)을 형성시킨다. 그런다음, 상기 흙막이 벽체(7)의 전면에 2개의 H-BEAM 으로 구성된 띠장(3)을 띠장 받침대(2)를 이용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띠장(3)의 전면에는 대좌(4)를 부착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강선(1)은 대좌(4)의 소정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대좌(4)의 전면 경사부로 돌출되고, 상기 경사면 통공과 연통하여 형성된 지압판(5)의 관통공 외부로 돌출된다.
사용자가 상기 강선(1)의 돌출부에 소정의 장력을 가하여 잡아당긴 후, 결속콘(6)을 상기 강선(1)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장력을 해제시키면, 상기 결속콘(6)이 상기 강선(1)을 소정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천공부와 연결된 강선(1)에 소정의 인장력이 발생한다. 상기 인장력이 지압판(5)과 대좌(4)와 띠장(3)을 거쳐 흙막이 벽체(7)에 전달되어 상기 흙막이 벽체(7)의 지지력이 보강된다.
그러나 상기의 그라운드 앵커는 후술하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첫째, 굴착배면에 천공된 강선 투입구의 각도에 따라 상기 대좌의 경사면 각도를 달리하여 대좌를 새로 제작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강선에 형성된 인장력을 분산 전달 하기위해 2개의 H-BEAM으로 구성된 띠장을 따로 구성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바,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통형상의 강관으로 구성된 띠장을 구비하여, 굴착배면 측에 천공된 강선 투입구에 삽입설치되는 강선의 삽입방향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한, 규격화된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띠장의 외주면에 구비된 상,하부 받침대를 이용하여 상기 띠장에 전달되는 강선의 인장력을 흙막이 벽체에 분산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강관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띠장을 규격화 시킴에 의해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재비 및 설치비 등의 비용이 절감되는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그라운드 앵커 시공을 보인 요부 종단면도.
도2 -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을 띠장으로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시공을 보인 종단면도.
도3 - 본 고안에 따른 띠장 및 지압판의 설치 형상을 보인 개략도.
도4 - 보강판 및 띠장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5 - 지압판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6 - 상,하부 받침대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흙막이 벽체 101 : H파일
102 : 토류판 103 : 강선 투입구
110 : 강선 120 : 정착장
130 : 자유장 140 : 띠장
141 : 강선 유입공 142 : 보강판
142a : 통공 150 : 지압판
151 : 결속콘 접속부 152 : 띠장 결속부
153 : 결속콘 접속공 160 : 상부 받침대
161 : 접촉판 162 : 후판
163 : 지지판 164 : 측판
170 : 하부 받침대 180 : 결속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흙막이 벽체가 구비된 굴착배면에 강선 투입구를 천공하여 형성된 정착장과, 정착장의 연장상에 자유장이 형성된 그라운드 앵커 시공에 있어서, 상기 강선 투입구에 삽입되어 정착장에서 자유장으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정착장을 지지체로 하여 인장력을 형성시키기 위해 구비된 강선과; 상기 강선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정착장을 지지체로 하여 상기 강선에 형성된 인장력을 지지하여 하부로 전달시키는 결속콘과; 상기 강선에 발생하는 인장력을 결속콘을 통하여 전달받아, 하부로 분산 전달시키는 지압판과; 강선 유입공이 구비된 원통형상의 강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선의 삽입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흙막이 벽체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지압판에 의해 전달되는 강선의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흙막이 벽체에 전달시키는 띠장; 그리고, 상기 띠장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띠장과 상기 흙막이 벽체에 밀착 설치되어 상기 지압판에 의해 상기 띠장에 전달되는 강선의 인장력을 전달받아 흙막이 벽체에 분산 전달 시키고, 상기 띠장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상,하부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굴착배면 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강선의 삽입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강선의 인장력이 상기 흙막이 벽체에 분산 전달되는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압판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속콘에 의해 전달된 강선의 인장력을 지지하는 결속콘 접속부와; 상기 결속콘 접속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띠장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되어 상기 결속콘에 의해 전달된 강선의 인장력을 상기 띠장에 분산 전달 시키는 반원형상의 띠장 결속부; 그리고, 중앙부에 상기 띠장의 강선 투입구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속콘이 결합되는 결속콘 접속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띠장은, 상기 띠장에 전달되는 인장력에 의한 상기 띠장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띠장의 외주면 흙막이 벽체 접속부에 구비된 보강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부 받침대는, 상기 띠장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되고, 띠장에 전달되는 강선의 인장력을 전달받는 반원형상의 접촉판과; 상기 흙막이 벽체의 전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접촉판에 전달된 강선의 인장력을 상기 흙막이 벽체에 분산 전달하는 평면상의 후판과; 상기 접촉판과 후판의 단부에 구비된 평면상의 지지판; 그리고, 측면에 형성된 측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판들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따라, 굴착배면 측에 천공된 강선 투입구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강선의 삽입방향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한 범용적인 띠장을 구비하여 규격화된 그라운드 앵커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을 띠장으로 이용한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시공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띠장 및 지압판의 설치 형상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4는 보강판 및 띠장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지압판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는 상,하부 받침대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토압을 1차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흙막이 벽체(100)가 구비된다. 상기 흙막이 벽체(100)는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 H파일(101)과, 상기 H파일(101)을 연결하여 형성된 토류판(10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토류판(101)은 토류벽으로 대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흙막이 벽체(100)의 소정 위치에는 강선(110)을 삽입하기 위한 강선 투입구(103)가 소정각도를 유지하면서 흙막이 벽체 (100)의 후면부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강선 투입구(103)의 후면부에는 상기 강선(110)이 삽입 설치되어 소정규모의 정착장(120)이 형성된다. 상기 정착장 (120)은 상기 강선(110)의 지지체 역할을 하며 강선(110)이 상기 정착장(120)과 연결되어 자유장(130)으로 연장되고, 상기 강선(110)이 상기 흙막이 벽체(100)에 형성된 강선 투입구(103)을 통하여 상기 흙막이 벽체(100)의 전면으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한다.
상기 흙막이 벽체(100)의 전면에는, 소정 두께 및 소정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강관으로 구성된 띠장(140)이 가로 방향으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흙막이 벽체(100)에 접선방향으로 밀착 설치된다. 상기 띠장(140)의 소정 위치에는 강선 유입공(141)이 구비되고, 띠장(140)의 중심축을 대칭으로 하여 상기 강선 유입공 (14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도 강선 유입공(14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띠장(140)에 형성된 강선 유입공(141)의 위치는 대략 H파일(101)과 H파일(101)의 중간 정도의 위치인 토류판(102)에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띠장(140)의 외주면 흙막이 벽체(100) 접촉부에는 상기 띠장 (140)에 전달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띠장(140)의 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판(142)이 부착 설치된다. 상기 보강판(142)은 상기 띠장(140)의 외주면을 내주면으로 하는 굽은 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띠장(140)에 형성된 강선 유입공(141)의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142a)이 형성되어 강선(110)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강선 (110)은 상기 통공(142a)과 강선 유입공(141)을 관통하여 상기 띠장(140)의 전면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띠장(140)을 상기 흙막이 벽체에 밀착시키는 경우에, 강선(110)이 상기 흙막이 벽체(100)에 천공된 강선 투입구(103)와 보강판(142)의 통공(142a)과 띠장(140)의 강선 유입공(141)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므로, 상기 강선 유입공 (141)과 강선 투입구(103)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강선 투입구(103)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강선(110)의 삽입방향이 결정되면, 상기 띠장(140)을 소정 회전 시킴에 의해 상기 강선 유입공(141)과 강선 투입구(103)가 일직선이 되게 조절이 가능하므로, 상기 띠장(140)은 상기 강선(110)의 삽입 설치 방향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지압판(150)은, 전면은 소정두께를 가지는 평평한 판형상으로 구성되는 결속콘 접속부(151)가 형성되고, 후면은 상기 띠장(140)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되는 반원형상의 띠장 결속부(1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압판(150) 중앙부에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된 결속콘 접속공(15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압판(150)에 형성된 결속콘 접속공(153)은 상기 띠장(140)에 형성된 강선 유입공(141)과 연통되므로, 상기 띠장(140)의 전면으로 돌출된 강선(110)이 상기 지압판(150)의 결속콘 접속공(153)에 삽입되어 지압판(150) 전면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지압판(150)의 후면에 형성된 띠장 결속부(152)가 상기 띠장(15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띠장(140)에 밀착 설치되어 상기 지압판(150)을 띠장(140) 외주면에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지압판(150)의 전면부 결속콘 접속부(151)에 형성된 결속콘 접속공(153)에는 후술하는 결속콘(180)이 삽입된다.
상부 받침대(160)는 접촉판(161)과, 후판(162)과, 지지판(163) 그리고 측판 (16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촉판(161)은 대략 굽은 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띠장(140)의 외주 원주면과 직접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띠장(140)에 전달된 강선(110)의 인장력을 전달 받는다. 상기 후판(162)은 얇은 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흙막이 벽체 (100)의 H파일(101) 전면부에 밀착됨에 의해 상기 접촉판(161)을 통하여 전달된 강선(110)의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흙막이 벽체(100)에 분산 전달한다. 상기 지지판(163)은 얇은 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촉판(161)과 후판(162)의 단부에 밀착 설치되어 상기 접촉판(161)과 상기 후판(162)을 지지함과 동시에 접촉판(161)에 전달된 강선(110)의 인장력을 후판(162)에 전달한다.
상기 측판(164)은 얇은 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일측 단부가 내부로 만곡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촉판 (161)과, 후판(162) 그리고 지지판(163)의 측면단부에 밀착 설치되어 상기 접촉판(161)과, 후판(162) 그리고 지지판(163)의 결합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접촉판(161)에 전달된 강선의 인장력을 상기 후판(162)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술한 접촉판(161)과, 후판(162)과, 지지판(163) 그리고 측판(164)의 결합은 용접에 의함이 바람직하나 다른 방법으로의 결합도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받침대(160)는 상기 띠장(140)에 전달되는 강선(110)의 인장력을 고려하여, 접촉판(161)과, 측판(164) 그리고 지지판(163)으로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접촉판(161)을 제외한 나머지 판들로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인장력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필요한 판으로만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상부 받침대(160)는 상기 띠장(140)의 원주면을 감쌈과 동시에 상기 흙막이 벽체(100)에 밀착 고정되므로 상기 강선(110)을 통하여 띠장(140)에 전달되는 인장력을 분산하여 상기 흙막이 벽체(100)에 전달시킨다. 또한 상기 상부 받침대 (160)가 상기 띠장(140)의 원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H파일(101)에 고정되므로, 상기 띠장(140)을 지지하고 상기 띠장(140)에 전달되는 강선(110)의 인장력이 상기 띠장 (140)과 흙막이 벽체(100)의 접속부를 통하여 흙막이 벽체(100)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비틀림 응력이 방지된다.
하부 받침대(170)는 상기 상부 받침대(160)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띠장(140)의 하부 원형 외주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H파일(101)의 전면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받침대(160)와 동일한 원리로써 인장력을 분산시켜 상기 흙막이 벽체 (10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받침대(170)는 상기 띠장(140)의 하부에서 상기 띠장(140)을 지지하며 받침대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받침대(170)의 구성 및 역할은 상기 상부 받침대(160)와 동일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속콘(180)은 상기 강선(110)의 돌출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강선(110)의 지지체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강선(110)의 일측은 상기 정착장 (120)을 지지체로 하고 타측은 상기 결속콘(180)을 지지체로 하여 상기 강선(110)에 인장력이 발생된다. 상기 정착장(120)을 지지체로 하여 상기 강선(110)을 돌출부 방향으로 향하는 인위적인 외부 장력을 가해 잡아 당긴후, 상기 결속콘(180)을 상기 강선(110)의 돌출부 소정위치에 고정시고, 상기 강선(110)에 가해지는 외부장력을 제거시키면, 상기 결속콘(180)이 상기 지압판(150)에 형성된 결속콘 접속공(153)에 결합됨과 동시에 강선(110)에서 발생되는 인장력이 상기 지압판(150)에 전달한다. 상기 결속콘(180)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같다.
1차적으로, 토압을 지지하기 위해, 등간격으로 일정하게 설치된 H파일(101)과 상기 H파일(101)을 연결하여 구비된 토류판(102) 또는 토류벽으로 구성되는 흙막이 벽체(100)가 구비된다.
상기 H파일(101)과 H파일(101)의 중간 위치에 설치된 토류판(102) 또는 토류벽의 전면에 소정각도를 유지하는 강선 투입구(103)가 일정 깊이만큼 연결 형성된다. 상기 강선 투입구(103)에 강선(110)을 삽입하여 설치한 다음, 상기 강선 투입구(103)의 후면부에 소정크기의 정착장(120)을 형성시킨다. 그런다음, 상기 원통형상의 띠장(140)을 상기 흙막이 벽체(100)의 전면부에 밀착시키고, 상기 정착장 (120)에 연결 형성된 강선(110)을 상기 띠장(140)에 설치된 보강판(142)의 통공 (142)과 띠장(140)에 형성된 강선 유입공(141)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 시킨다. 이때 상기 띠장(140)이 설치된 H파일(101)에는 상,하부 받침대(160)(170)를 상기 띠장 (140)에 밀착시켜 H파일(101)에 밀착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강선(110)의 돌출부를 상기 지압판(150)에 형성된 결속콘 접속공 (153)에 삽입시켜 상기 강선(110)을 지압판(150)의 전면으로 돌출시킨 후, 상기 지압판(150)을 상기 띠장(140)의 외주 원주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압판 (150)의 결속콘 접속공(153)에 삽입된 후, 상기 지압판(150)의 전면부로 돌출된 강선(110)의 외주면에 결속콘(180)을 결합시킨다.
그런다음, 지압판(150) 전면으로 돌출된 강선(110)의 돌출부에 돌출부 방향으로 향하는 외부장력을 인위적으로 가하고, 상기 결속콘(180)을 상기 강선(110) 돌출부의 소정위치로 이동시켜 고정시킨 후, 상기 강선(110)에 가해지는 외부장력을 제거한다. 외부장력이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결속콘(180)은 상기 정착장(120)에서 상기 강선(110)에 전달되는 인장력에 의해 지압판(150)에 형성된 결속콘 접속공(153)과 결합된다.
상기 결합에 의해 강선(110)의 인장력이 지압판(150)의 결속콘 접속공(153)을 통하여 지압판(150)에 전달된다. 상기 전달된 인장력이 상기 지압판 (150)의 결속콘 접속부(151)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띠장 결속부(152)를 통하여 상기 띠장(140)의 원주면을 통하여 띠장(140)으로 분산 전달된다. 상기 띠장 (140)에 전달된 인장력이, 띠장(140)의 후면부에 설치된 보강판(142)과 흙막이 벽체 (100)가 접촉된 접속부 및 상기 상,하부 받침대(160)(170)를 통하여 흙막이 벽체 (100)에 분산 전달됨에 의해 상기 흙막이 벽체(100)가 지지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강관으로 구성된 띠장 및 띠장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압판 그리고 띠장을 지지하는 상,하부 받침대가 정착장을 지지체로 하여 강선에 형성된 인장력을 흙막이 벽체에 분산 전달하므로, 안정된 그라운드 앵커시공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띠장 및 지압판 그리고 상,하부 받침대는 강선 투입구를 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강선의 삽입 경사각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인장력의 정도에 따라 표준화된 사양을 구비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또한 있다.

Claims (4)

  1. 흙막이 벽체(100)가 구비된 굴착배면에 강선 투입구(103)를 천공하여 형성된 정착장(120)과, 정착장(120)의 연장상에 자유장(130)이 형성된 그라운드 앵커 시공에 있어서,
    상기 강선 투입구(103)에 삽입되어 정착장(120)에서 자유장(130)으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정착장(120)을 지지체로 하여 인장력을 형성시키기 위해 구비된 강선(110)과;
    상기 강선(1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정착장(120)을 지지체로 하여 상기 강선(110)에 형성된 인장력을 지지하여 하부로 전달시키는 결속콘(180)과;
    상기 강선(110)에 발생하는 인장력을 결속콘(180)을 통하여 전달받아, 하부로 분산 전달시키는 지압판(150)과;
    강선 유입공(141)이 구비된 원통형상의 강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선(110)의 삽입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흙막이 벽체(100)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지압판 (150)에 의해 전달되는 강선(110)의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흙막이 벽체(100)에 전달시키는 띠장(140); 그리고,
    상기 띠장(14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띠장(140)과 상기 흙막이 벽체(100)에 밀착 설치되어 상기 지압판(150)에 의해 상기 띠장(140)에 전달되는 강선(110)의 인장력을 전달받아 흙막이 벽체(100)에 분산 전달 시키고, 상기 띠장(140)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상,하부 받침대(160)(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굴착배면 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강선(110)의 삽입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강선(110)의 인장력이 상기 흙막이 벽체(100)에 분산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판은(150),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속콘(180)에 의해 전달된 강선(110)의 인장력을 지지하는 결속콘 접속부(151)와;
    상기 결속콘 접속부(15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띠장(140)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되어 상기 결속콘(180)에 의해 전달된 강선(110)의 인장력을 상기 띠장 (140)에 분산 전달 시키는 반원형상의 띠장 결속부(152); 그리고,
    중앙부에 상기 띠장(140)의 강선 유입공(14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속콘(180)이 결합되는 결속콘 접속공(15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140)은, 상기 띠장(140)에 전달되는 인장력에 의한 상기 띠장(14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띠장(140)의 외주면 흙막이 벽체(100) 접속부에 구비된 보강판(14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 띠장.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받침대(160)(170)는,
    상기 띠장(140)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되고, 띠장(140)에 전달되는 강선(110)의 인장력을 전달받는 반원형상의 접촉판(161)과;
    상기 흙막이 벽체(100)의 전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접촉판(161)에 전달된 강선 (110)의 인장력을 상기 흙막이 벽체(100)에 분산 전달하는 평면상의 후판(162)과;
    상기 접촉판(161)과 후판(162)의 단부에 구비된 평면상의 지지판(163); 그리고,
    측면에 형성된 측판(164);으로 구성되어,
    상기 판들이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
KR2019990016434U 1999-08-11 1999-08-11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 KR2001678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970A KR100356458B1 (ko) 1999-08-11 1999-08-11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970A Division KR100356458B1 (ko) 1999-08-11 1999-08-11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806Y1 true KR200167806Y1 (ko) 2000-02-15

Family

ID=196068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434U KR200167806Y1 (ko) 1999-08-11 1999-08-11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
KR1019990032970A KR100356458B1 (ko) 1999-08-11 1999-08-11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970A KR100356458B1 (ko) 1999-08-11 1999-08-11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678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4777A (zh) * 2012-10-15 2013-01-09 河海大学 一种快速预应力锚杆结构及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954B1 (ko) * 2005-10-07 2007-10-17 이창남 철근트러스 웨일 합벽 공법
KR100789857B1 (ko) 2007-03-09 2007-12-28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띠장 간격 조절구
CN110005677A (zh) * 2019-04-28 2019-07-12 山东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生物毯固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4777A (zh) * 2012-10-15 2013-01-09 河海大学 一种快速预应力锚杆结构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827A (ko) 1999-11-05
KR100356458B1 (ko) 200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39652B2 (en) Earth anchor bracket having saw-toothed and curved part
US5466095A (en) Underground support system and method of support
KR20080105509A (ko) 앵커 일체형 이중 벽체 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EP2278076A1 (en) Multi-purpose earth anchor bracket
KR200167806Y1 (ko) 강관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띠장
KR100924104B1 (ko) 휨강판넬과 강선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101066583B1 (ko) 플랜지용 강관 이음장치
KR101322020B1 (ko) 마찰접합형 강관 버팀보용 연결장치,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지지용 강관 버팀보 및 그 버팀보의 시공방법
KR102274384B1 (ko) 강관 이음장치
US5465535A (en) Method of installing a soil anchor and a soil anchor
KR200354027Y1 (ko) 어스앵커 브라켓 지지구조
AU2019230746B2 (en) Cover band of steel pipe strut connector, steel pipe strut connector having same, and steel pipe strut assembly
WO2015009126A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KR102012845B1 (ko) 터널 보강용 락볼트 지지 시스템
KR101577639B1 (ko) 토목섬유로 보강한 균등분산 압축형 앵커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JP3350679B2 (ja) トンネル覆工用セグメント及びその施工方法
JPH045308A (ja) 鉄筋かご
KR102058309B1 (ko) 흙막이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체
JP3616321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
JPH03279600A (ja) 大空洞の構築方法
KR100989023B1 (ko) 띠장 사이로 내설되는 앵커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KR101992177B1 (ko) 흙막이 가시설용 강선띠장
KR101059156B1 (ko) 로프체결형 강관 이음장치
KR102559470B1 (ko) 어스앵커 공법에 관한 각도 자동 조절형 앵커브라켓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