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554Y1 -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554Y1
KR200167554Y1 KR2019950044433U KR19950044433U KR200167554Y1 KR 200167554 Y1 KR200167554 Y1 KR 200167554Y1 KR 2019950044433 U KR2019950044433 U KR 2019950044433U KR 19950044433 U KR19950044433 U KR 19950044433U KR 200167554 Y1 KR200167554 Y1 KR 200167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piston rod
pressur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496U (ko
Inventor
신병섭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44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554Y1/ko
Publication of KR9700274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4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5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16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pist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1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ing liquid as the pressure-sensitive medium, e.g. liquid-column gauges
    • G01L7/185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ing liquid as the pressure-sensitive medium, e.g. liquid-column gauge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연주공장의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용으로 사용되게 한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스프링(15)으로 탄성설치되는 피스톤 로드(20)를 포함하는 피스톤(36)을 가지는 복동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 내부는 상기 피스톤(36)에 의하여 좌우 작동실(31)(32)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실(31)(32) 내측으로 연장된 직경이 작은 가이드관부(25)를 가지는 상기 피스톤 로드(20)의 작동을 안내하는 플랜지(44)와, 상기 실린더(10)의 양측을 폐쇄하며 설치되는 플랜지(44)는 상기 작동실(31),(32) 내측으로 연장된 직경이 작은 가이드관부(25)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20)의 작동을 안내하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 및 스프링의 구성에 의하여 이 실린더의 양쪽에 압력이 걸리므로 피스톤 로드의 작동상의 문제가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
본 고안은 말단 압력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주공장의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용으로 사용되게 한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스위치 압력검출은 플런저를 사용하였다.
제1도는 종래의 플런저 형식 말단 압력 검출의 개략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말단압력 검출용 플런저의 단면도이다.
중앙급지 펌프에서 펌핑을 시작하여 시스템의 말단까지 필요한 압력으로 오일을 공급시키면, A 라인의 플런저(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핀(28)이 상승하여 압력 스위치(1)의 핀(30)을 밀어올리고 이 압력 스위치(1)의 신호는 콘트롤 판넬로 보내져서, 체인지 오버 밸브 모터(change over valve motor)로 신호를 보내게 하여 공급라인을 B 라인으로 바꾸어 주게 된다.
이 과정에서 말단압력 검출용 플런저(4)의 스플(spool)(22)에 이물질이 끼어 작동을 못함으로써 급지시스템은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사례가 월간으로 볼 때 수십차례 발생하여 안정조업에 큰 저해 요인이 된다.
특히 플런저 압력 검출장치 압력스위치(1)의 리미트 핀(30)이 밀어 올려주고 복귀될 때 단순히 스프링(24)으로만 작동됨으로 스풀(22)에 미세한 이물질이 끼어도 작동을 못하는 결점이 있다. 부호 26은 파이프이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플런저 형식의 중앙급지 시스템의 말단 압력 검출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중앙 급지 시스템의 말단압력 스위치 검출용 플런저가 잦은 고장을 일으켜, 무인설비인 급지펌프가 정지되어 조업중 수백 개의 롤 베아링부에 그리스를 공급하지 못하여 고가의 롤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부동롤 발생으로 제품의 표면에 흠집을 내게 되기 때문에 이를 실린더 방식의 검출장치로 근본적으로 개선하여 원활한 자동급지가 되도록 한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는, 양측에 스프링으로 탄성 설치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피스톤을 가지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는 상기 피스톤에 의하여 좌우 작동실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실 내측으로 연장된 직경이 작은 가이드관부를 가지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작동을 안내하는 플랜지와, 상기 실린더의 양측을 폐쇄하며 설치되는 플랜지는 상기 작동실 내측으로 연장된 직경이 작은 가이드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의 작동을 안내하고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는, 피스톤 로드 및 스프링의 구성에 의하여 이 실린더의 양쪽에 압력이 걸리므로 피스톤 로드의 작동상의 문제가 없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플런저 형식 말단 압력 검출의 개략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말단압력 검출용 플런저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말단 압력 검출의 개략을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말단압력 검출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7 : 압력스위치 9 : 체크밸브
10 : 복동 실린더 11 : 유량조절 밸브 겸용 조절나사
12,14 : 공급 파이프 13,27 : 패킹
15 : 스프링 16,18 : 공급 통로
17 : 피스톤 링 20 : 피스톤 로드
25 : 가이드관부 31,32 : 작동실
36 : 피스톤 38 : 고정 보울트
44 : 플랜지 50 : 검출핀
이하, 본 고안의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말단 압력 검출의 개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말단압력 검출장치의 단면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말단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두개의 플런저(4)를 양측단으로 출몰되는 피스톤로드(20)를 갖춘 실린더(10)로 바꾸고 상기 각 피스톤로드(20)의 작동로 상에 압력스위치를 설치한 것이다.
도면중 부호 6,7은 상기 실린더(10)의 양측에 설치된 검출핀(50)을 가지는 압력스위치이다.
상기 실린더(10)의 측부에는 그리스유의 압력을 공급받기 위한 공급파이프(12)(14)가 설치되며, 이 공급 파이프(12)(14)는 각각의 공급 통로(16)(18)를 가지며 이 공급 통로(16)(18) 상에는 일방향으로의 유량을 제어하는 체크밸브(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공급 파이프(12)(14)에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 밸브 겸용 조절나사(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는 피스톤 링(17)을 가지는 피스톤(36)이 설치되어 있고, 이 피스톤(36)에 의하여 좌우 작동실(31)(32)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36)의 양측단에 상기 피스톤 로드(20)가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의 스프링(15)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0)의 양측을 폐쇄하는 플랜지(44)는 상기 작동실(31)(32) 내측으로 연장된 직경이 작은 가이드관부(25)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20)의 작동을 안내하고 있다.
부호 13,27은 상기 플랜지(44) 및 작동실(31),(32)의 기밀을 위한 패킹, 38은 상기 플랜지(44)와 실린더(10)의 플랜지(54)를 체결하기 위한 고정 보울트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는, 도시하지 아니한 급지펌프에서 토출되는 그리스유를 시스템 상의 A 라인으로 공급하고 말단압력 검출용 실린더의 구성부품인 체크밸브(9)를 통하여 상기 실린더(10)에 공급되어 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실린더(10)의 작동실(31),(32)에 그리스가 채워지는 데, 이때, 다른 작동실(32)의 스프링(15)은 그리스 압으로 인하여 일정 장력, 예를 들면 30kg/cm2을 초과하면, 후퇴하여 작동실(32)의 용적을 변화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A 라인의 모든 분배밸브가 작동을 마치게 되면, 그리스유의 압력이 스프링(15)을 밀어내고 피스톤 로드(20)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스위치(6)(7)의 검출핀(50)에 접촉하여 스위칭 동작한다.
즉, 상기 피스톤 로드(20)는 압력스위치(7)의 검출핀(50)을 밀어 도시하지 않은 공지의 콘트롤판넬에 신호를 보내주고, 여기서 다시 공지의 체인지 오버 모터에 신호를 보내 A 라인에서 B 라인으로 그리스유 공급라인이 바뀌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9)는 작동실(31)에서 다른 작동실(32)로 피스톤(36)이 이동할 때 이 체크밸브(9)를 통하여 그리스유는 시스템내 펌프탱크로 회수된다.
반대로 작동실(32)에 그리스가 공급되어질 때 체크밸브의 장애로 공급되는 그리스유는 유량조절 밸브 겸용 조절나사(11)를 거쳐 공급량이 조절된다.
그리고 시스템내 압력조절은 유량조절 밸브 겸용 조절나사(11)로 조정하는 데, 그 원리는, 만약 유량조절 밸브 겸용 조절나사(11)를 절반정도 잠그면 실린더(10)내에 공급되는 그리스는 절반으로 줄기 때문에 피스톤(36) 이동속도가 절반으로 줄고 속도가 느려진 만큼 시스템내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압력을 낮출 때는 상기의 반대로 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방식에 의할 경우, 플런저의 스풀을 밀어올릴 때만 압력이 작용하고 복귀될 때는 스프링 힘으로만 작용하기 때문에, 미세한 이물질이 상기 스플에 끼면 고착되고 마는데 비해, 본 고안은 피스톤 로드 및 스프링의 구성에 의하여 이 실린더의 양쪽에 압력이 걸리므로 전혀 문제가 되지 않게 된다.
실제로 기계장치에 본 고안의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를 적용하여 본 바, 한 달에 수십차례 발생하던 말단압력 검출장치의 고장이 완전히 해소되었다.

Claims (1)

  1. 양측에 스프링(15)으로 탄성설치되는 피스톤 로드(20)를 포함하는 피스톤(36)을 가지는 복동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 내부에 중앙에 위치되는 피스톤(36)에 의하여 좌우로 각각 형성되는 작동실(31)(32)과, 상기 작동실(31)(32) 내측으로 연장된 직경이 작은 가이드관부(25)를 가지는 상기 피스톤 로드(20)의 작동을 안내하는 플랜지(44)와, 상기 실린더(10)의 양측을 폐쇄하며 설치되는 플랜지(44)는 상기 작동실(31)(32) 내측으로 연장된 직경이 작은 가이드관부(25)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20)의 작동을 안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
KR2019950044433U 1995-12-20 1995-12-20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 KR200167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433U KR200167554Y1 (ko) 1995-12-20 1995-12-20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433U KR200167554Y1 (ko) 1995-12-20 1995-12-20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496U KR970027496U (ko) 1997-07-24
KR200167554Y1 true KR200167554Y1 (ko) 2000-03-02

Family

ID=1943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433U KR200167554Y1 (ko) 1995-12-20 1995-12-20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5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496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29678T2 (de) Wasser-hydraulisches Proportionalventil
US4011891A (en) Proportional flow control valve
CA2365693C (en) A downhole actuator including a sealing bellows
EP0428045B1 (de) Fadendüse zum Texturieren eines synthetischen Fadens
RU97110059A (ru) Управляемый серв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
DE19637256A1 (de) Werkstückspindeleinrichtung für eine Werkzeugmaschine
KR200167554Y1 (ko) 중앙급지 시스템 말단 압력 검출장치
EP0916756B1 (de) Texturiermaschine mit pneumatischem Fadenanleger
DE2407275B2 (de) Einrichtung zum Regeln der Höhenlage des Aufzugkorbes eines hydraulischen Aufzuges im Zielgeschoß
US6260664B1 (en) Press lubrication system modification
EP0017036B1 (de) Dosierspritze
EP0111617B1 (de) Druckmittelbetätigte Stellmotoranordnung mit Arretierglied
DE2307926A1 (de) Membranbetaetigtes schieberventil
EP4048891A1 (de) Kolbenverdichter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selben
US20040065194A1 (en) Device for dampening the oscillation of the arm of a handling equipment of the swingable lever type
DE2803706A1 (de) Reduzierventil fuer hydraulisch angetriebene maschinen und maschinelle einrichtungen
DE69926724T2 (de) Roll-Dämpfer für ein Schienenfahrzeug und Dämpfungsverfahren
DE3705159C2 (ko)
CN102803746A (zh) 用于利用流体压力驱动的活塞缸装置控制装置位置的设备
EP0205129B1 (de) Pneumatischer Druckschalter zum Steuern der Druckluftkammer von mediumdurchströmten Armaturen
EP0530540A1 (de) Hydraulischer Hubzylinder
DE19908595A1 (de) Ventilanordnung für Schaltvorgänge von Flüssigkeiten
DE3608100C2 (ko)
DE3839111C2 (ko)
KR200278682Y1 (ko) 그리스 공급장치의 복동식 압력게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