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419Y1 - 레이저 구심추를 구비한 구심기 - Google Patents

레이저 구심추를 구비한 구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419Y1
KR200167419Y1 KR2019990015969U KR19990015969U KR200167419Y1 KR 200167419 Y1 KR200167419 Y1 KR 200167419Y1 KR 2019990015969 U KR2019990015969 U KR 2019990015969U KR 19990015969 U KR19990015969 U KR 19990015969U KR 200167419 Y1 KR200167419 Y1 KR 200167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ipet
laser
bulb
centripet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덕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한지적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한지적공사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한지적공사
Priority to KR2019990015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4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4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01C15/08Plumbing or registering staffs or markers over ground ma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판(測板)측량시 구심측정에 사용되는 종래의 추를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구심추로 대체한 구심기에 관한 것으로, 측판(50)에 걸어 측판측량시 구심을 측정하는 구심기에 있어서: 선단부에 레이저 전구(3)를 내장하고 이 전구에 연결되는 전지(5)를 본체(7)에 내장하여, 상기 전구(3)에서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구심추(1)를 구심대(10)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현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구심을 측정할 수 있으며, 수평조절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레이저 구심추를 구비한 구심기{Centering instrument having a laser centering weight}
본 고안은 레이저 구심추를 구비한 구심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측판(測板)측량시 구심(求心)측정에 사용되는 종래의 추를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구심추로 대체한 구심기에 관한 것이다.
측판측량(測板測量)의 3대 요소는 정준, 표정, 구심으로서, 이 3대 요건을 충족해야만 정확한 측량을 기대할 수 있다. 현재의 측량장치 실정상, 상기 3대 요소중 정준, 표정은 정확하게 실시되고 있지만, 구심은 자칫 소홀해질 수 있다. 구심측량이란 측량에 사용되는 측판의 중심을 정확히 잡아주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대부분 추를 구심대에 실로 연결한 것을 사용해 왔다.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구심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구심대(10) 하단부에 실(11)을 연결하고, 이 실 끝에 높이조절용 핀(12)을 달며, 핀(12)에 다시 실로 연결된 추(13)를 연결한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구심기를 측판(50)에 끼우고, 측판의 높이에 따라 손으로 높이조절핀(12)을 조정하여 실(11)의 길이를 측판 높이에 맞게 조정함으로써 추(13)를 지면 구심점에 접근해야만 한다. 이때, 실 및 추의 흔들림에 따라 구심대가 유동하므로, 구심대(10)를 측판에 정위치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여러번 위치조정을 해야만 하는 경우가 많다(도 4 참조).
이와 같은 종래의 구심기는 실의 길이를 조정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바람이 많이 부는 경우에는 추가 달린 실이 바람에 날려 구심을 정확히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기다란 실에 추를 매다는 관계로 실이 엉키는 경우가 많으며, 구심기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실을 구심대에 감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측량기사들이 구심기 자체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히 조그만 돌맹이를 떨어뜨려 눈대중으로 구심을 하는 등의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추 대신에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구심추를 이용함으로써, 바람 등의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직선 주사되는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정확한 구심작업을 할 수 있음은 물론, 레이저 구심추를 짧은 길이로 구심대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심기를 운반하기 쉽도록 하고, 구심추 자체에 수평 기포관과 자석을 부착하여 원거리의 수평선을 정확히 측량할 수 있으며, 철골 등에 부착이 용이한 구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심기에 적용되는 레이저 구심추의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구심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심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레이저 구심추 3.. 전구
5.. 전지 7.. 본체
9.. 스위치 10.. 구심대
11.. 실 12.. 높이조절 핀
13.. 종래의 구심추 20.. 기포관
21.. 체인 22.. 연결고리
30.. 자석 40.. 측각(測脚)
50.. 측판(測板)
상기 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구심기는,
측판(50)에 걸어 측판측량시 구심을 측정하는 구심기에 있어서:
선단부에 레이저 전구(3)를 내장하고 이 전구에 연결되는 전지(5)를 본체(7)에 내장하여, 상기 전구(3)에서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구심추(1)를 구심대(10)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현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구심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7) 측면에 기포관(2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고안의 구심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7) 측면에 자석(30)을 장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본 고안의 구심기의 상기 전구(3) 반대쪽 일단부에 소정 길이의 체인(21)을 연결하고 상기 체인(21) 단부에 연결고리(22)를 장착하며, 상기 연결고리(22)를 구심대(10)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구심기의 상기 본체(7)의 일 측부에 상기 전지(5)와 전구(3)의 연결을 단속하는 스위치(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심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 구심대(10)의 하단부에 레이저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구심추(1)가 연결된다. 레이저 구심추(1)는 구심대(10)에 영구 연결될 수도 있지만, 보관이나 운반의 편의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레이저 구심추(1)의 일단부에 짧은 길이의 체인(21)을 연결하고, 체인의 타단부에 원형의 연결고리(22)를 장착하며, 상기 고리를 구심대(10) 하단부의 홈(14)에 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할 경우, 측량작업중에는 구심추(1)의 연결고리(22)를 홈(14)에 걸어서 사용하고, 평상시에는 구심추(1)를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도 2는 레이저 구심추(1)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심추(1)는 원통형의 본체(7), 선단부에 내장되어 레이저빔을 방사하는 전구(3), 상기 전구(3)에 연결되고 본체(7)에 내장되는 전지(5), 상기 전지(5)와 전구(3)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스위칭(9)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7) 일측부에는 수평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기포관(20)을 부착한다. 그리고, 본체(7)의 다른 측면에는 자석(30)을 장착한다. 상기 자석은 여러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구(3)의 반대쪽 일단부에는 전술한 체인(21)과 연결고리(22)를 부착한다. 또, 상기 기포관(20)의 반대쪽에는 기포관을 이용한 수평조정이 용이하도록 평면부(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심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측판측량을 위해서는 측판(50) 밑면 중앙에 삼각대로 된 측각(40)을 연결하고, 이 측각을 지면에 세운다. 이어서, 구심대(10)를 측판(50)의 옆면으로 끼우고 원하는 지점을 겨냥하여 구심추(1)의 스위치(9)를 켜면 레이저빔이 수직으로 발사되어 구심점을 정확히 측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선으로 멀리까지 표시할 수 있는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구심을 측정하므로, 종래와 달리 기다랗게 구심추를 늘어뜨리지 않아도 정확한 구심을 측량할 수 있음은 물론, 바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
또한, 구심추(1)에 부착된 기포관(20)을 이용하여 측판(50)의 수평조정이나 원거리의 수평선상을 정확히 측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량기사는 물론 목수 등도 이용이 가능하다. 또, 건축공사 등에 있어서, 수평선을 측량할 때, 종래에는 레벨측정기나 고무호스 등을 이용하였지만, 본 고안의 구심추는 본체(7) 측면에 부착된 자석(30)을 이용해 철골 구조물 등에 부착하고 기포관(20)을 이용해 수평을 맞춰 같은 높이를 표시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는 단지 본 고안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레이저빔을 이용한 구심추를 구비한 구성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구심기에 의하면, 외부의 바람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도 정확한 구심측량이 가능하며, 원거리로 직선 주사되는 레이저빔을 이용하므로 구심추의 고리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구심추의 사용과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의 구심추는 구심측량 이외에도 측판 등의 측량장치의 수평조정, 원거리 수평선 측량 등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측량기사는 물론 목수 등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에 자석을 설치함으로써 철골 구조물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측판(50)에 걸어 측판측량시 구심을 측정하는 구심기에 있어서:
    선단부에 레이저 전구(3)를 내장하고 이 전구에 연결되는 전지(5)를 본체(7)에 내장하여, 상기 전구(3)에서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구심추(1)를 구심대(10)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현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심추를 구비한 구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7) 측면에 기포관(2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심추를 구비한 구심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7) 측면에 자석(30)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심추를 구비한 구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3) 반대쪽 일단부에 기다란 체인(21)을 연결하고 상기 체인(21) 단부에 연결고리(22)를 장착하며, 상기 연결고리(22)를 구심대(10)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심추를 구비한 구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7)의 일 측부에 상기 전지(5)와 전구(3)의 연결을 단속하는 스위치(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심추를 구비한 구심기.
KR2019990015969U 1999-08-05 1999-08-05 레이저 구심추를 구비한 구심기 KR200167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969U KR200167419Y1 (ko) 1999-08-05 1999-08-05 레이저 구심추를 구비한 구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969U KR200167419Y1 (ko) 1999-08-05 1999-08-05 레이저 구심추를 구비한 구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419Y1 true KR200167419Y1 (ko) 2000-02-15

Family

ID=1958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969U KR200167419Y1 (ko) 1999-08-05 1999-08-05 레이저 구심추를 구비한 구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4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033A (ko) 2020-05-18 2020-06-05 김경환 측량삼각대 목표점 및 수평 맞춤 보조기구
KR102338996B1 (ko) * 2020-10-07 2021-12-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지반 조건을 반영한 파이프 구조물의 구조 실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033A (ko) 2020-05-18 2020-06-05 김경환 측량삼각대 목표점 및 수평 맞춤 보조기구
KR102338996B1 (ko) * 2020-10-07 2021-12-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지반 조건을 반영한 파이프 구조물의 구조 실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5798B2 (en) Survey device
US6035540A (en) Automatic optical levelling, plumbing, and verticality-determining apparatus
US5159760A (en) Device for aligning a geodetic instrument over a defined position mark
US10119818B2 (en) Surveying pole
US7987605B2 (en) Reflector target tripod for survey system with light emitter and pivoting bracket for enhanced ground marking accuracy
US4206550A (en) Point-to-point self-plumbing apparatus and method
ITBO970293A1 (it) Filo laser a livello.
CN104848834B (zh) 一种自动调平的经纬仪装置
CN201697632U (zh) 地下工程专用测量觇标
US6397484B1 (en) Laser-emitting plumb-bob
KR100921537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철골기둥 수직도 측정장치
KR200167419Y1 (ko) 레이저 구심추를 구비한 구심기
CN216206381U (zh) 一种测绘标杆用自动平衡底座
CN207799076U (zh) 一种带支架的激光测距仪
CN214066114U (zh) 一种棱镜对中杆气泡快速校正装置
CN105674959A (zh) 指向光垂直线水平线仪
CN211291452U (zh) 一种用于全站仪测量的棱镜支架
CN212363218U (zh) 一种伸缩式测绘标杆
WO2014062037A2 (ko) 자동으로 수직위치 측정이 가능한 광파 측량용 프리즘 장치
CN216815483U (zh) 一种定线设备
JP2622910B2 (ja) 伸縮風防垂直測定器
CN208621056U (zh) 一种坑道自适应激光指向装置
CN219532066U (zh) 一种高精度智能激光水平仪
CN213633829U (zh) 测距测高测角一体式激光测距仪
JP3038581U (ja) レーザ光線放射装置付き下げ振り分銅式測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