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174Y1 - 동작모드 절환회로 - Google Patents

동작모드 절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174Y1
KR200167174Y1 KR2019970018427U KR19970018427U KR200167174Y1 KR 200167174 Y1 KR200167174 Y1 KR 200167174Y1 KR 2019970018427 U KR2019970018427 U KR 2019970018427U KR 19970018427 U KR19970018427 U KR 19970018427U KR 200167174 Y1 KR200167174 Y1 KR 200167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ansistor
exclusive
node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133U (ko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권태웅
한국하니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웅, 한국하니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태웅
Priority to KR2019970018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17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1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1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1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adopting a different treatment of each operating region or a different mode of the monitored system, e.g. transient modes; different operating configurations of monitored syste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작모드 절환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회로는 간단한 동작을 위한 부품수가 많아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그에 따라 점검 부분이 많아지게 되며, 또한 각 소자들의 스위칭에 따른 전파지연이 일어나 동작이 지연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논리게이트를 이용한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개별 소자들이 서로 연결되어 부품수가 많은 것을 논리 게이트를 이용하여 하나의 소자로 대체함으로써, 응답 속도향상 및 공간 활용의 효율성이 좋아지고, 외부에서 모드 절환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작모드 절환회로
본 고안은 동작모드 절환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화 기기에 사용되는 센서의 출력단에 적용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감지 물체가 감지영역내에 존재할 경우 그 출력단이 구동되는 정동작 모드와, 감지 물체가 감지영역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역동작 모드의 절환에 사용되는 동작모드 절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동작모드 절환회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감지 신호단(Vin)이 저항(R2)를 통해 베이스에 연결되고, 전원전압(Vcc)이 저항(R1)을 통해 에미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컬렉터는 '노드1'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Q1)와; 절환 조정단자(control)는 저항(R4)를 통해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노드1'은 컬렉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에미터는 접지되어 있는 제2 트랜지스터(Q2)와; 애노드는 상기 '노드1'에 연결되어 있고, 캐소드는 '노드2'에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1)와; 센서감지 신호단(Vin)이 컬렉터에 연결되어 있고, 절환 조정단자는 저항(R3)를 통해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에미터는 저항(R5)에 의해 상기 '노드2'에 연결되어 있는 제3 트랜지스터(Q3)와; 컬렉터는 부하에 연결되어 있고, 베이스는 저항(R6)를 통해 상기 '노드2'에 연결되어 있으며, 컬렉터는 접지되어 있는 제4 트랜지스터(Q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환조정단자(control)를 외부전원(DC)에 연결하면 제2 트랜지스터(Q2)와, 제 3트랜지스터(Q3)가 턴-온 되어 센서감지 신호단(Vin)의 신호가 저항(R5)과, 저항(R6)를 통하여 제4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를 여기(bias)시켜 정동작을 하며, 이때 다이오드(D1)에 의해 상기 제4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서 제2 트랜지스터(Q2)를 통해 그라운드로 전류가 빠지지 않게된다.
한편, 절환조정단자(control)가 접지에 연결되면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와 제3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되고, 상기 센서감지 신호단(Vin)에서 로우신호가 입력되어 피엔피(PNP)형 제1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켜 전원전압(VDD)을 인가하며, 이 전원전압(VDD)이 다이오드(D1)를 통해 제4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상기 상기 제4 트랜지스터(Q4)를 턴-온시킨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회로는 간단한 동작을 위한 부품수가 많아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그에 따라 점검 부분이 많아지게 되며, 또한 각 소자들의 스위칭에 따른 전파지연이 일어나 동작이 지연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논리게이트를 이용하여 절환에 필요한 부품을 극소화시켜 동작 속도 및 부피를 감소시키는 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동작모드 절환회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2는 본 고안 동작모드 절환회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3은 본 고안의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동작을 보인 진리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R8 : 저항 Q1∼Q5 : 트랜지스터
D1,D2 : 다이오드 EXG : 배타적 오아게이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 동작모드 절환회로의 구성은, 센서감지 신호단은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일측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절환조정단자는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는 '노드3'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전압(VDD)은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전원입력단과, 제1 저항을 통해 상기 '노드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노드3'은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타측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출력단은 제2 저항을 통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는 부하에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는 접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 동작모드 절환회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겉이 센서감지 신호단(Vin)은 배타적 오아게이트(EXG)의 일측 입력단(B)에 연결되어 있고, 절환조정단자(control)는 다이오드(D2)의 캐소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오드(D2)의 애노드는 '노드3'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전압(VDD)은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EXG)의 전원입력단과, 제1 저항(R7)을 통해 상기 '노드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노드3'은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EXG)의 타측 입력단(A)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EXG)의 출력단은 제2 저항(R8)을 통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는 부하에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는 접지되도록 구성한다.
도3은 본 고안의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동작을 보인 진리표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환조정단자(control)를 외부전원(DC)에 연결시 상기 외부전원(DC)을 전원전압(VDD)보다 항상 높게 설정된 상태에서, 다이오드(D2)를 통해 외부전원(DC)으로 상기 전원전압(VDD)이 흐르는 것이 차단되어 배타적 오아게이트(EXG)의 일측 입력단(A)는 항상 '하이'가 되며, 이때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EXG)의 출력은, 상기 일측 입력단(A)이 항상 '하이'이기 때문에 센서감지 신호단(Vin)에서 입력되는 '로우'신호에 의해 타측 입력단(B)이 '로우'이면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EXG)의 출력은 '하이'이며, 상기 센서감지 신호단(Vin)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이면 타측 입력단(B)이 '하이'가 되어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EXG)의 출력단은 '로우'를 출력하게 되어 역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절환조정단자(control)를 접지에 연결하면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EXG)의 일측 입력단(A)로 입력되는 전원전압(VDD)이 상기 다이오드(D2)을 통하여 접지로 흐르게되어 상기 일측 입력단(A)은 항상 '로우'로 되며, 이때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EXG)의 출력은 상기 일측 입력단(A)이 항상 '로우'이기 때문에 센서감지 신호단(Vin)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이면 타측 입력단(B)도 '로우'가 되어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EXG)의 출력은 '로우'로 되고, 상기 타측 입력단(B)이 '하이'이면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EXG)의 출력단은 '하이'를 출력하게 되어 정동작을 하게된다.
결국, 일측 입력단(A)에 입력되는 신호('하이' 또는 '로우')에 의해 정,역동작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동작모드 절환회로는 개별 소자들이 서로 연결되어 부품수가 많은 것을 논리 게이트를 이용하여 하나의 소자로 대체함으로써, 응답 속도향상 및 공간 활용의 효율성이 좋아지고, 외부에서 모드 절환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센서감지 신호단은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일측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절환조정단자는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는 '노드3'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전압(VDD)은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전원입력단과, 제1 저항을 통해 상기 '노드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노드3'은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타측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출력단은 제2 저항을 통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는 부하에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는 접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절환회로.
KR2019970018427U 1997-07-12 1997-07-12 동작모드 절환회로 KR200167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427U KR200167174Y1 (ko) 1997-07-12 1997-07-12 동작모드 절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427U KR200167174Y1 (ko) 1997-07-12 1997-07-12 동작모드 절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133U KR19990005133U (ko) 1999-02-05
KR200167174Y1 true KR200167174Y1 (ko) 2000-04-01

Family

ID=1950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427U KR200167174Y1 (ko) 1997-07-12 1997-07-12 동작모드 절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1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133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8943A (en) Inverting logic buffer BICMOS switching circuit using an enabling switch for three-state operation with reduced dissipation
KR900008051B1 (ko) 논리회로
US6194920B1 (en) Semiconductor circuit
JPH0693615B2 (ja) ドライバ回路
JPH0583004B2 (ko)
US5929688A (en) Level converter
KR930004351B1 (ko) 레벨 변환회로
US5198704A (en) Bi-CMOS output circuit with limited output voltage
KR200167174Y1 (ko) 동작모드 절환회로
US5631580A (en) BICMOS ECL-CMOS level converter
US5107143A (en) Signal output circuit included in bus driving integrated circuit
US5287014A (en) Hysteresis circuit
US3417262A (en) Phantom or circuit for inverters having active load devices
US3816826A (en) Keyboard switch apparatus
US5103119A (en) Ttl-level bicmos driver
US5173622A (en) Source coupled logic circuit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US4259599A (en) Complementary transistor switching circuit
KR920002672B1 (ko) 전류스위치회로
US11522538B2 (en) Bidirectional switch for power control in a daisy chain
KR100191783B1 (ko)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
KR940000251Y1 (ko) 3진 인버터 회로
US6420804B1 (en) Circuit for switching direction of current
JP2629488B2 (ja) 多出力センサ回路
JP2554589B2 (ja) 電源回路
JP2574124Y2 (ja) ブリッジ形イ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