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876Y1 - 장식용 화분걸이 장식구 - Google Patents

장식용 화분걸이 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876Y1
KR200166876Y1 KR2019990016029U KR19990016029U KR200166876Y1 KR 200166876 Y1 KR200166876 Y1 KR 200166876Y1 KR 2019990016029 U KR2019990016029 U KR 2019990016029U KR 19990016029 U KR19990016029 U KR 19990016029U KR 200166876 Y1 KR200166876 Y1 KR 200166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ring
sensor
flower pot
dec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덕
Original Assignee
최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덕 filed Critical 최종덕
Priority to KR2019990016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8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화분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 벽면이나 타일 또는 유리 벽면에 장치를 고정 부착하여 원형이 돌출된 링(26)(26')에 중형, 소형으로 구분된 화분을 내입 , 장치 하도록된 고안이며 감지센서에 의해 음성 및 멜로디 출력이 도출 되도한 제품 고안에 관한것이다.

Description

장식용 화분걸이 장식구{.}
본 고안은 실내외 장식용 화분걸이 장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중소형 화분을 장식용 걸이구에 간단하게 삽입 설치하게 구성된 상태의 것에 1개의 화분, 또는 두 개의 화분 더 나아가 3개의 화분을 장치할 수 있게 한 장치 구성의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분 걸이구에 있어 그 제품 구성을 살펴 볼 것 같으면 세가닥 걸이용 구조를 이루게하여 사용 되었거나 선반형 모양의 화분대를 제작하여 시판되는 등. 기타의 방법 등으로 사용 되어온 바 많았었다.
특히 벽걸이 화분 걸이구에 있어 일정한 모양을 형성하여 사용 되어온 바 있었던 것들 중에 절접식 방법을 응용하여 생산된 것이 있었으나 이는 절접부위의 손상이 쉽게 도래 되거나 이격 되는 사례가 많아 거의 애용되지 못한 상태로 폐기 처분되는 경우가 많았었다.
상기된 바와 같은 화분 걸이구 및 벽걸이용 화분 걸이구에 있어 특정한 장소나 부득이한 경우 특정한 위치에 설치 하여야만 사용이 가능 하도록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어떠한 벽면에서나 장식 설치가 용이 하도록 구성 되어져야 하며 유리 벽면 (두께 3mm이상)에 흡착구를 이용하여 걸이구가 부착되게 하는 등의 방법과 화분 걸이용 지지대로서 링을 이용하여 원형 모양의 환형으로 구성, 고정 체결토록 하여 화분을 내입 삽지케 함과 동시에 장식되어 있는 화분 가까히 인체가 접근 되어 질 때 자동 감지 센터에 의해 '물 주세요' 라는 음성 파장이 작용 되어지거나 특정 동물 울음소리 또는 특정 음률의 멜로디가 들리도록한 장치를 내장시켜 두도록 하는데 본 고안의 구성 목적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1은 본 고안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걸이구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3의 본 고안 평면도.
도4는 본 고안 측면도.
도5는 본 고안 측면부 단면도이며 (가)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6의 (가)는 2단 걸이구의 평면부 단면도이며 (나)는 3단 걸이구의 평면부 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1. 걸이구 본체 22. 안구체 23. 센서작동체
24. 감지구멍 25. 결합돌체 26. 링 27. 스토퍼
걸이구 본체(21)인 개구리 등과 같은 동물 형상의 판 상부에 눈모양의 안구체(22)(22')를 형성케하고 안구체(22)중의 단일 한쪽 안구체(22)를 선택하여 그 이면부에 공지의 음성데이터가 출력되는 감지센서 작동체(23)을 삽지 고정 시켜두고 걸이구 본체(21) 형상으로 이루어진 입모양의 장치 구조로서 양쪽 끝단부가 ㄱ자로 꺽여있는 링(26)(26') 단부가 인입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결합돌체(25)(25')가 형성 되도록 하나 하단 단면부로는 링(26)의 고정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작용되는 스토퍼(2가(27')를 연설 구성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간단하게 구성된 화분걸이 장치구에 있어 특히 일쪽면의 안구체(22)(22')에 장착 되어 지는 감지센서 작동체(23)는 거리 범위가 설정되어 있는 열 감지 기능을 하는 센서 또는 피동체 근접 광 감지센서의 회로가 내장 되도록 하여 요구된 음성을 간단 명료하게 출력되게 한 상태로 결합 장치하여 놓게 되는데 센서의 감지 기능을 위하여서는 안구체(22)의 중앙부위에 감지구멍(24)를 임의 구성하여 천공하여 두게한다.
또한 화분 상단부와 접지된 상태로 화분을 받쳐 주게될 링(26)은 1개구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것과 도6의 (가)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체로서 2개구의 링형태와 (나) 에서 표현된 3개구의 링형태를 구성하도록 형성되어질 수 있게 되는데 각각의 링(22)(22')의 원의 둘레 구성비율은 중형의 화분 크기와 소형의 화분 크기의 비율로 형성되어질 수 있게 한다.
미설명 부호 28은 흑벽 29는 구멍 30은 화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어떠한 동물모형이 되드라도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체를 이용하여 화분걸이용으로 충분히 활용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식용 화분걸이 장치구에 있어 실내에서나 실외에서 화분을 장식하고자 할 때 벽의 높,낮이 공간을 이용하여 여러개의 화분을 위치에 따라 설치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화분에 심어져있는 화초 종류를 선택적으로 조화를 이루게 하여 설치할 수 있게도 되며 고정 못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가 있게되는 타일벽면이나 유리벽면에 설치 하고자 할 때 흡착구를 이용하여 걸이 장치구를 부착시켜 사용하게할 수도 있게된다.
또한 안구체(22) 위치의 감지센서 작동체(23)에 의해서 발생되는 음성 및 멜로디 음율의 파생되는 효과에 의하여 화분에 근접한 사람들에게 신선한 분위기를 제공하여 주게도 되는 것이다.

Claims (2)

  1. 걸이구 본체(21)의 안구체(22) 이면부에 감지 센서 작동체(23)을 결합,체결하도록 된것과 감합돌체(25)(25')에 스토퍼(27)(27')가 연설되어져 있는 상태의 것에 링(26)을 끼워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장식용 화분걸이 장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링(26)의 주조를 2개구 및 3개구 원형이 조합 형성되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한 장식용 화분걸이 장치구.
KR2019990016029U 1999-08-05 1999-08-05 장식용 화분걸이 장식구 KR200166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029U KR200166876Y1 (ko) 1999-08-05 1999-08-05 장식용 화분걸이 장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029U KR200166876Y1 (ko) 1999-08-05 1999-08-05 장식용 화분걸이 장식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876Y1 true KR200166876Y1 (ko) 2000-02-15

Family

ID=1958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029U KR200166876Y1 (ko) 1999-08-05 1999-08-05 장식용 화분걸이 장식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8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05882S1 (en) Flower pot
US4937107A (en) Christmas tree decoration
US4143191A (en) Simulated blooming flower arrangement
USD505745S1 (en) Lamp
KR200166876Y1 (ko) 장식용 화분걸이 장식구
USD493568S1 (en) Lighting fixture support
USD361443S (en) Planter stand
US20020126506A1 (en) Hanging mistlettoe ornament
USD501269S1 (en) Lighting fixture support
USD486251S1 (en) Ceiling and wall tile
USD451726S1 (en) Annular member with repeating bas relief flower
CN205094031U (zh) 装饰花瓶
USD506849S1 (en) Lighting fixture support
USD499507S1 (en) Lighting fixture support
JP3070702U (ja) 装飾品の取付具
CN214840707U (zh) 语音智能沙漏小夜灯
USD441489S1 (en) Lamp base
CN211378942U (zh) 一种新型智能花盆
KR200258080Y1 (ko) 벽걸이 화분
CN107676701A (zh) 一种吊灯
USD500165S1 (en) Lighting fixture support
USD499200S1 (en) Lighting fixture support
JPH02100619A (ja) 音声発声装置付き植木鉢
KR940006782Y1 (ko) 함박눈이 내리는 장식용 트리
CN2128823Y (zh) 室内养植花卉防污染装饰型套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