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390Y1 - 라디오 전화기 - Google Patents

라디오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390Y1
KR200166390Y1 KR2019990015872U KR19990015872U KR200166390Y1 KR 200166390 Y1 KR200166390 Y1 KR 200166390Y1 KR 2019990015872 U KR2019990015872 U KR 2019990015872U KR 19990015872 U KR19990015872 U KR 19990015872U KR 200166390 Y1 KR200166390 Y1 KR 200166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radio
line
charging unit
rechargeab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곤
Original Assignee
에스제이월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제이월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제이월드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3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8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의 전화기에 라디오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라디오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벨 스피커(12), 링거(10)와; 키패드(24) 및 다이얼러(22), 송수신부(20) 등으로 이루어진 전화기에서, 상기한 송수신부(20)에 연결되어 송수화 기능을 갖는 이어폰 및 마이크(30)와;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라디오 수신부(40)와; 상기한 라디오 수신부(40)를 제어하여 라디오의 음량 및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라디오 제어부(42)와; 상기한 라디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주는 것으로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50)와; 상기한 충전지(50)를 충전시켜 주는 것으로, 전화기가 사용 중일 때에 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지(50)를 충전시켜 주는 충전부(52)와; 전화 라인과 상기한 충전부(50) 사이에 연결되어 전화 라인을 감시하여 라인이 사용 중이면 교환기에서 공급되는 정상 전압을 충전부(52)로 공급하고, 전화 라인이 개방되어 있으면 전화 라인의 종단에 종단 저항을 연결하여 교환기에서 후크 온 상태로 인식할 정도의 전류를 통하게 하여 충전부(52)에 공급해 주는 라인 감시부(60)와;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전환시켜 주는 직류 변환기(64)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라디오 전화기{A Telephone on Function of Radio}
본 고안은 라디오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의 전화기에 라디오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라디오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라인을 통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전화기의 송수화기는 보통 사용자인 사람의 얼굴 크기 즉, 귀와 입사이의 거리를 감안하여 그 크기가 정해지고, 이에 따라 전화기 본체의 크기도 송수화기의 길이와 어울리는 크기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전화기는 그 크기 때문에 차지하는 공간이 크고, 그 크기 때문에 전화기를 이동시키면서 통화하는 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전화기와 같은 기능을 갖으면서 그 크기를 아주 작은 소형으로 하고, 라디오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추구하는 라디오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화 라인에 연결되어 전화 호출을 알려 주는 벨 스피커를 울려 주는 링거와; 후크 온/오프 기능 및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 및 다이얼러와; 라인에 연결되어 송수신 기능을 갖고 통화를 가능하게 해 주는 송수신부로 이루어진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한 송수신부에 연결되어 송수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헤드셋과 같은 구조로 손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이어폰 및 마이크와;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라디오 수신부와; 상기한 라디오 수신부를 제어하여 라디오의 음량 및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라디오 제어부와; 상기한 라디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주는 것으로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와; 상기한 충전지를 충전시켜 주는 것으로, 전화기가 사용 중일 때에 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지를 충전시켜 주는 충전부와; 전화 라인과 상기한 충전부 사이에 연결되어 전화 라인의 상태를 감지하여 라인이 사용 중이면 교환기에서 공급되는 정상 전압을 충전부로 공급하고, 전화 라인이 개방되어 있으면 전화 라인의 종단에 종단 저항을 연결하여 교환기에서 후크 온 상태로 인식할 정도의 전류를 통하게 하여 그 전류를 상기한 충전부에 공급해 주는 라인 감시부와;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전환시켜 주는 직류 변환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화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라디오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라디오 전화기의 외관에 대한 실례를 나타낸 예시도.
본 고안에 따른 라디오 전화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라디오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라디오 전화기의 외관에 대한 실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라디오 전화기의 구성은 크게 전화기 부분과 라디오 부분, 그리고 충전부분으로 구분된다.
전화기는 전화 라인에 연결되어 전화 호출을 알려 주는 벨 스피커(12)를 울려 주는 링거(10)와; 후크 온/오프 기능 및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24) 및 다이얼러(22)와; 라인에 연결되어 송수신 기능을 갖고 통화를 가능하게 해 주는 송수신부(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라디오는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라디오 수신부(40)와; 상기한 라디오 수신부(40)를 제어하여 라디오의 음량 및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라디오 제어부(4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전화기의 송수화 기능과 라디오의 스피커 기능은 이어폰 마이크(3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이어폰 마이크(30)는 헤드셋과 같은 구조로 되어 손을 사용하지 않고 머리 부분이나 귀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라디오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부는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50)와; 상기한 충전지를 충전시켜 주는 것으로, 전화기가 사용 중일 때에 교환기로부터 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지(50)를 충전시켜 주는 충전부(52)와; 전화 라인과 상기한 충전부(50) 사이에 연결되어 전화 라인의 상태를 감지하여 라인이 사용 중이면 교환기에서 공급되는 정상 전압을 충전부(52)로 공급하고, 전화 라인이 개방되어 있으면 전화 라인의 종단에 종단 저항(RE)을 연결하여 교환기에서 후크 온 상태로 인식할 정도의 전류를 통하게 하여 그 전류를 상기한 충전부(52)에 공급해 주는 라인 감시부(60)와;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전환시켜 주는 직류 변환기(6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통 교환기는 가입자의 전화기가 후크 오프 상태 즉, 전화 사용 상태에서는 통화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약 48V의 직류 전압을 공급한다.
따라서, 라인 감시부(60)는 전화 사용 상태 중일 때에는 교환기에서 공급되는 48V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지(50)를 충전하면 된다.
그런데, 충전지(50) 충전 시간이 전화 사용 시간보다 긴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전화 사용 중이 아닐 때에도 충전을 위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라인 감시부(60)는 전화 사용 중이 아닌 때에는 전화 라인의 종단에 종단 저항을 연결하여 교환기가 후크 온 상태 즉, 전화 라인이 미사용 상태로 인식할 정도의 미세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이 전류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교환기가 가입자의 전화기가 후크-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제한 전류가 만약 1mA 이하 정도라면 종단 저항은 48V / 10-3A = 48㏀ 이상인 저항을 갖는다.
이렇게 하면, 충전부(50)는 전화기가 사용중인 때에는 교환기에서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급속 충전 과정을 수행하고, 전화기가 미사용 중일 때에는 종단 저항(RE)을 이용하여 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미세 전류를 이용하여 세류 충전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한 충전지(50)는 그 크기가 작으면서 2차 전지로써의 기능을 갖고 있어야 하므로, 그 두께가 2∼3mm 정도이면서 그 직경이 1∼2cm 정도인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전화기 라디오 충전부 기능을 갖으면서 그 크기가 대략 직경 5cm 정도이면서 그 두께가 2∼3cm 정도의 부피로 축소하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의 전면에 키패드 상의 모든 키들을 사용 가능할 정도의 크기로 축소시켜서 배치해야 하며, 전화기용 원칩(one-chip) IC를 표면 실장형으로 채택하여 전체적 부품 소자 및 PCB 공간을 대폭 줄여야 하고, 마찬가지로, 라디오 수신용 원칩 IC 및 CPU도 표면 실장형으로 채택하고 라디오 주변 부품 소자의 수를 대폭 감소시켜서 구성해야 한다.
이에 입각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실제의 라디오 전화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그 직경이 약 5∼6cm 정도이며, 그 두께가 2∼3cm 정도인 하우징의 전면에 전화 번호 입력을 위한 입력키(60)와, 토글 스위칭에 의해 동작하는 후크 스위치(62)와, 후크 스위치(62)를 온/오프할 때마다 사용 상태를 표시해 주는 램프(68)와, 상대방과 통화중 다른 전화기로 전환을 하기 위한 후레쉬(flash) 버튼(64)과, 라디오를 온오프시켜 주는 라디오 스위치(70)와; 라디오 방송 선택을 위한 튜닝 버튼(72)과, 라디오 리셋을 위한 리셋 버튼(18)과, 전화가 호출되면 이를 알려 주는 벨스피커(67)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도 1의 키패드(24)에는 후크 스위치(62), 후레쉬 버튼(64), 전화 번호 입력키(60) 등이 포함된다.
또한, 라디오 제어부(42)에는 라디오 스위치(70), 튜닝 버튼(72), 리셋 버튼(74), 볼륨(76) 등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전화 라인을 연결/분리할 수 있는 전화선 접속 단자(66)를 구비하여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였으며, 하우징의 측면에는 이어폰(32) 및 마이크(34)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단자(3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이어폰(32) 및 마이크(34)를 연결해 주는 선에는 이어폰(32)의 음량을 조절해 주는 볼륨(76)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의 뒷면에는 라디오를 구동시키기 위한 충전지(50)를 장착할 수 있는 전지 케이스가 스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라디오 전화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전화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어폰(32) 및 마이크(34)를 착용하고, 키패드(24) 상의 후크 스위치(62)를 눌러서 전화기를 온시키고 전화 번호 입력키(60)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누르면, 다이얼러(22)에 의하여 상대방 전화 번호가 MFC 코드를 변화되어 송수신부(20)를 통하여 교환기 쪽으로 송신되어 상대방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대방으로 호출이 되면 이를 링거(10)가 감지하여 벨스피커(12, 67)를 울린다.
사용자는 벨 스피커(12, 67)가 울리면 키패드(24) 상의 후크 스위치(62)를 눌러서 전화기를 온 상태로 전환시켜서 송수신부(20) 및 이어폰 마이크(30, 32, 34)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한다.
한편, 이와 같이 전화기를 사용하면, 전화기는 교환기로부터 전화기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충전부(52)는 라인으로부터 전원을 인출하여 이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지(50)의 전압에 맞는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충전지(50)를 충전시켜 준다.
따라서, 라디오를 청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라디오 제어부(42)에 연결되어 있는 라디오 스위치(70)를 이용하여 라디오를 온시키고, 튜닝 버튼(72)을 이용하여 청취하고자 하는 방송을 선국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라디오를 청취하는 도중에 다른 방송을 선국하고자 하는 리셋 버튼(74)을 누른 후에 다른 방송을 다시 선국하면 된다.
그리고, 음량 조절은 볼륨(76)을 통하여 조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라디오 전화기는 기존의 일반 전화기와 같은 기능을 갖으면서 그 크기를 아주 작은 소형으로 하고, 라디오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전화 라인에 연결되어 전화 호출을 알려 주는 벨 스피커(12)를 울려 주는 링거(10)와; 후크 온/오프 기능 및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24) 및 다이얼러(22)와; 라인에 연결되어 송수신 기능을 갖고 통화를 가능하게 해 주는 송수신부(20) 등으로 이루어진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한 송수신부(20)에 연결되어 송수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헤드셋과 같은 구조로 손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이어폰 및 마이크(30)와;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라디오 수신부(40)와; 상기한 라디오 수신부(40)를 제어하여 라디오의 음량 및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라디오 제어부(42)와; 상기한 라디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주는 것으로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50)와; 상기한 충전지(50)를 충전시켜 주는 것으로, 전화기가 사용 중일 때에 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충전지(50)를 충전시켜 주는 충전부(52)와; 전화 라인과 상기한 충전부(50) 사이에 연결되어 전화 라인의 상태를 감지하여 라인이 사용 중이면 교환기에서 공급되는 정상 전압을 충전부(52)로 공급하고, 전화 라인이 개방되어 있으면 전화 라인의 종단에 종단 저항(RE)을 연결하여 교환기에서 후크 온 상태로 인식할 정도의 전류를 통하게 하여 그 전류를 상기한 충전부(52)에 공급해 주는 라인 감시부(60)와;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전환시켜 주는 직류 변환기(6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화기.
KR2019990015872U 1999-04-29 1999-08-04 라디오 전화기 KR2001663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149 1999-04-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149 Division 1999-04-29 1999-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390Y1 true KR200166390Y1 (ko) 2000-02-15

Family

ID=1957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872U KR200166390Y1 (ko) 1999-04-29 1999-08-04 라디오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3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341B1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US20070117556A1 (en) Handset powered wireless table top conferencing system
US5533101A (en) Extension phone type cordless telephone set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KR20000037060A (ko) 인터넷폰과 일반 전화기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아답터
GB2365692A (en) Wireless speaker for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200166390Y1 (ko) 라디오 전화기
KR100359647B1 (ko)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시스템
KR20040028170A (ko) 충전시 착신모드가 자동 전환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KR20000017832U (ko) 휴대폰용 초소형 라디오
KR100605850B1 (ko) 이어마이크가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방법및 무선 이어마이크에서의 동작 방법
JPH0418032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2638153B2 (ja) コードレステレオホンのハンドセット
KR2003561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음악 기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위한 다기능 이어폰 장치
RU2171545C1 (ru) Бесшнуровой громкоговорящий телефон
KR19990005402A (ko) 라디오 청취기능을 갖는 무선헤드폰전화기
JP2003338873A (ja) 携帯電話機用ハンズフリー装置
US20070004433A1 (en) Cellular phone base and a wireless earphone capable of switching cellular phone and cordless phone communications
KR200369020Y1 (ko) 핸드폰 보조 전원장치
KR200258275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장치
JPH0720976Y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258282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
KR200258283Y1 (ko) 영상휴대폰과 한 조가 되고 음성스위치를 구비한핸즈프리 장치
JPH04235442A (ja) 無線電話機の電源制御回路
KR20010029154A (ko) 라디오 겸용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