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174Y1 - 신발끈의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신발끈의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174Y1
KR200166174Y1 KR2019990016107U KR19990016107U KR200166174Y1 KR 200166174 Y1 KR200166174 Y1 KR 200166174Y1 KR 2019990016107 U KR2019990016107 U KR 2019990016107U KR 19990016107 U KR19990016107 U KR 19990016107U KR 200166174 Y1 KR200166174 Y1 KR 200166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hoelace
binding
shoelac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표
Original Assignee
대성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6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1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1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3/00Hooks for laces; Guards for hooks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끈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기존의 일부 개방형 후크고리와 달리 원형이나 반원형 폐쇄고리 타입의 결속고리를 보완하여 신발끈을 조여 맬 때 되풀림현상을 방지토록한 쌍가락지 타입으로 된 개선된 구조를 제공코져 한 것으로서, 베이스판(2)에 단일의 링고리(5)를 축설부(4)에 의해 축설한 폐쇄형 결속고리의 일반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링고리(5) 내측에 일정한 유격공간(8)을 두고 보조고리(6)를 이중으로 축설부(4)에 축설시켜 신발끈의 역방향되풀림 작용을 억제토록 함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신발끈의 결속장치{A connection device of a string for footwear}
본 고안은 신발끈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기존의 일부 개방형 후크고리와 달리 원형이나 반원형 폐쇄고리 타입의 결속고리를 보완하여 신발끈을 조여 맬 때 되풀림현상을 방지토록 한 쌍가락지 타입으로 된 개선된 구조를 제공코져 한 것이다.
종래 운동화류나 등산화등에 부착하는 신발끈 결속고리는 금속제나 합성수지제로 된 걸고리에형의 후크부를 절곡형성하여 통끈(형)이나 평끈(형)을 단순히 좌우교대로 걸어서 신발끈이 후킹되게 구성하였던 바, 이는 후크고리측에 신발끈의 협지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않아 신발끈을 맬시 되풀려지는 반작용때문에 신발끈을 단단하게 맬수가 없고 착용시간이 많이 걸리며 특히 장시간 보행 중 신발끈이 느슨해지는 경우 후크고리로부터 신발끈이 이탈하는 일이 잦아 자주 신발끈을 고쳐매는 불편이 따랐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끈 결속고리 자체에 신발끈 되풀림방지 장치를 부가한 데 특징이 있다.
신발끈 결속고리는 후크타입으로 결속고리 일측이 개방된 구조와 링타입으로 폐쇄된 구조로 대별된다.
개방형의 경우 신발끈이 착용 중 이완현상으로 인해 후크고리로부터 이탈하는 단점이 있는 반면 신발끈을 매거나 푸는 동작이 간편한 장점이 있고, 폐쇄형의 경우는 처음에 신발끈을 끼워 넣어서 결속하는 과정은 시간이 많이 걸리나 한번 결속한 후에는 신발끈이 이탈하지 않고 견고한 결속기능을 유지하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폐쇄형의 고리는 신발끈을 조여 맬 시 결속링에 신발끈이 스리프되어 되풀려지려는 작용이 있으므로 끈을 단단하게 매기가 어려운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폐쇄형 결속링으로 된 후킹수단 내측에 동축으로 보조링을 하나 더 내장하여 쌍가락지형으로 구성하므로서 신발끈을 상기 보조링이 협지하는 홀딩기능을 부여토록 하여 신발끈을 맬시 되풀려지는 반작용이 억제되도록 하여 신발끈 결속이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기술적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결속고리 2: 베이스판
3: 체결공 4: 축지부
5: 링고리 6: 보조고리
7: 삽입공 8: 협지공간
9: 신발끈 10:신발갑피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신발끈 결속고리1의 일반적 구성은 베이스판2 일측에 체결공3이 천공되고 타측에는 폐쇄형 링고리5가 축지부4에 의해 회전상태로 축설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링고리5가 단일로 축설된 일반적 구성에 있어서, 링고리5의 내측에 보조고리6를 축지부4에 동축으로 축설하여 쌍가락지형태 결속고리를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 6과 같이 통상의 신발갑피10 전면부에 베이스판2의 체결공3 부위를 리벳팅하여 신발끈9을 링고리5에 삽입하여 신발을 착용하게 되는 작용효과는 선행된 결속고리와 같은 구성이다.
본 고안은 상기 일반적 구성에 있어서 링고리5 내부에 보조고리6를 하나 더 내장하여 축설부4에 이중으로 회동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한 것이다.
본 고안은 주로 등산화나 운동화류의 결속고리로 이용한다.
신발끈9을 삽지하는 방법은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신발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차례대로 신발끈을 꿰어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결속하는데 먼저 보조고리7의 중앙 삽입공7에 신발끈9을 삽입한 다음 보조고리6와 외부측 링고리5의 사이 협지공간8을 경유토록 하여 밖으로 인출한다.
이와 같이되면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입방향B로 부터 인출방향A쪽으로 신발끈9을 당기게되면(이하 순방향이라 함) 보조고리6의 삽입공7이 충분한 공간을 이루고 있어서 순방향으로는 신발끈9이 부드럽게 이동하게되어 신발을 착용할 시 신발끈9을 당겨 매기가 아주 용이하며 일단 순방향으로 이동한 신발끈9을 당기지 않고 그대로 놓아두면 B방향으로 원대복귀 장력이 미치게 되고 이의 장력은 보조고리6를 하향으로 당겨주게 되므로 협지공간8에 위치된 신발끈9은 보조고리6와 외부측 링고리5의 사이에 목이 졸려서(C부분) 되풀림 방향인 B방향(이하 역방향이라 함)으로는 이동을 하지 못하고 홀딩되는 것이다.
따라서 신발끈9을 맬 시 결속고리1로부터 당겨올려 신발끈9이 역방향으로 되풀려지지 않으므로 신발끈을 탄탄하게 매는 것이 어려웠던 종래의 폐단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결속고리1는 신발의 결속부위에 전체적으로 부착하여도 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신발전면의 개방부 상부측에 1쌍 내지 2쌍정도 부분적으로 부착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다.
신발을 벗을 시 상기 보조고리6에 의해 홀딩된 신발끈9을 해제 시킬때에는 위로 융기된 보조고리6을 손가락으로 베이스판2 쪽으로 전개시키게되면 협지공간8이 크게 열려지므로 신발끈9의 홀딩상태가 해제되어 느슨하게되므로 쉽게 결속상태가 해제되어 신발을 벗는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된 본 고안은 기존의 링고리5 하나만을 착설한 통상의 폐쇄형 결속고리의 구성에 있어서 내부에 보조고리6를 이중으로 설치내장하므로서 결속된 신발끈의 역방향 되풀림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사용용도는 신발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서 다양하며 일반운동화류를 비롯하여 등산화, 작업화 등에 널리 적용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

  1. 베이스판2에 단일의 링고리5를 축설부4에 의해 축설한 폐쇄형 결속고리의 일반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링고리5 내측에 일정한 협지공간8을 두고 보조고리6를 이중으로 축설부4에 축설시켜 신발끈의 역방향 되풀림작용을 억제토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결속고리.
KR2019990016107U 1999-08-06 1999-08-06 신발끈의 결속장치 KR200166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107U KR200166174Y1 (ko) 1999-08-06 1999-08-06 신발끈의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107U KR200166174Y1 (ko) 1999-08-06 1999-08-06 신발끈의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174Y1 true KR200166174Y1 (ko) 2000-02-15

Family

ID=1958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107U KR200166174Y1 (ko) 1999-08-06 1999-08-06 신발끈의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1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76B1 (ko) * 2013-02-16 2015-03-18 삼덕통상 주식회사 신발끈의 부분적 장력조절이 가능한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76B1 (ko) * 2013-02-16 2015-03-18 삼덕통상 주식회사 신발끈의 부분적 장력조절이 가능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14822B1 (en) A lacing hook for laced fastenings
US672557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lacing
JP2009504210A (ja) 靴用回転ファスナ
KR200171552Y1 (ko) 신끈의 결속장치
US20130263413A1 (en) Locking device for laces, shoelaces, cords and the like, particularly adapted to close shoes, rucksacks, items of clothing and the like
WO2012138062A2 (ko) 비대칭 구조의 도르래를 이용한 신발끈 고리
US5572777A (en) Shoe lace tightening device
US20170245595A1 (en) Shoe lacing system
US5347695A (en) Device for anchoring shoe laces with a quick tightening and slackening
JP5017367B2 (ja) 靴紐クロージャー
KR200166174Y1 (ko) 신발끈의 결속장치
KR200456572Y1 (ko) 비대칭 구조의 도르래를 이용한 신발끈 고리
JP2017523897A (ja) 靴の紐掛けシステム及びこの紐掛けシステムを伴って製造される靴
WO1997028713A1 (en) Lace tensioning systems
JP3165710U (ja) 靴締付バンド
KR920004858B1 (ko) 신발끈 조임구
KR920000118Y1 (ko) 신발끈 결속장치
US8661631B2 (en) Shoelace holder
KR200164923Y1 (ko) 신발끈 고정쇠
KR200270515Y1 (ko) 쉽게 풀리지 않는 신발 끈
KR200246554Y1 (ko)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끈의 결속장치
KR101936292B1 (ko) 신발용 조임장치
KR200422637Y1 (ko) 신발끈 풀림방지용 고리쇠
KR200362427Y1 (ko) 신발용 끈 조임구조
KR200301590Y1 (ko) 신발끈 조임용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