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147Y1 -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147Y1
KR200166147Y1 KR2019990015501U KR19990015501U KR200166147Y1 KR 200166147 Y1 KR200166147 Y1 KR 200166147Y1 KR 2019990015501 U KR2019990015501 U KR 2019990015501U KR 19990015501 U KR19990015501 U KR 19990015501U KR 200166147 Y1 KR200166147 Y1 KR 200166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stand
portable
switch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종
Original Assignee
주영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종 filed Critical 주영종
Priority to KR2019990015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1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1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하단부에 흡입덕트가 구비된 스탠드 본체에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형 진공 청소기 내부의 흡입 모터에 의해 청소를 수행하게 되며, 스탠드 본체에는 길이 조절봉이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그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손잡이에는 코일 형상으로 감긴 와이어를 통해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모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온/오프를 조작하는 스위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형 청소기를 스탠드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립 상태에서 스탠드 본체의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이 신호가 흡입 모터에 인가되어 구동되며, 청소 작업이 완료되면 마찬가지로 스탠드 본체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흡입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불필요한 동작없이 편안한 자세로 청소기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STAND AND PORTABALE TYPE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스탠드에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안한 자세로 진공 청소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는 크게 소형의 휴대형 진공 청소기 및 휴대형 청소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탠드로 구성된다.
그리고, 휴대형 진공 청소기는 일측부에 흡입구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탑재되는 흡입 모터와, 흡입 모터에 설치되는 임펠러와, 임펠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모아지는 포집낭과, 흡입 모터의 구동을 조작하는 스위치로 구성되며, 흡입 모터의 구동원으로는 충전식 배터리, 전원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스탠드는 전면에 휴대형 청소기 장착부가 구비된 스탠드 본체와, 상기 스탠드 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휴대형 청소기의 장착시 그 흡입구와 연통되는 흡입덕트와, 휴대형 청소기 장착부의 후방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부와, 원통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길이 조절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탠드형 및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창틀, 차량 내부 등과 같이 스탠드를 사용하지 못하는 협소한 공간을 청소할 경우에는 휴대형 청소기를 스탠드 본체로부터 분리한 후,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손잡이에 배치된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흡입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고, 흡입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되면서 흡입구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방바닥 등과 같이 사용자가 직립 상태에서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스탠드 본체에 결합하며, 흡입 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허리를 구부리면서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스위치를 조작 및 조작이 완료되면 허리를 펴게 된다.
흡입 모터가 구동되면 그 흡입력에 의해 흡입 덕트를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흡입구를 통해 휴대형 청소기에 유입된다.
청소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다시 허리를 굽혀 휴대형 청소기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흡입 모터를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에 따르면,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분리 또는 결합하여 청소 대상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청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흡입 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려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
그리고,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서만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어 이물질이 바닥에 붙어 있게 되면 흡입력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없으므로 청소기로서의 효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스탠드 본체에 결합하여 청소를 하는 경우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는 등의 불필요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청소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바닥에 붙어 있는 이물질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가 적용된 진공 청소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가 적용된 진공 청소기의 분해 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적용된 브러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동작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된 접속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휴대형 진공 청소기 13,30,72 : 스위치
20 : 스탠드 21 : 청소기 장착부
22 : 스탠드 본체 23 : 흡입덕트
24 : 원통부 25 : 손잡이
26 : 길이 조절봉 27 : 단자
40 : 와이어 50 : 브러쉬
90 : 접속 라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는, 전면에 휴대형 진공 청소기 장착부가 형성되며 하단부에 흡입덕트가 형성된 스탠드 본체와, 상기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와, 상기 스탠드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길이 조절봉과,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며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모터의 동작을 릴레이를 통해 조작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탠드 본체의 청소기 장착부에 설치되며 상기 휴대형 청소기의 흡입 모터와 접속되는 단자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수단은 코일 형상으로 감긴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단자와 일정 구간내에서 접속 가능하게 상기 길이 조절봉에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는 도체의 접속라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구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가 적용된 진공 청소기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가 적용된 진공 청소기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적용된 브러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 설명을 위한 구성도이다.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는, 크게 휴대형 진공 청소기(10)와, 휴대형 청소기(1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탠드(20)로 구성되며, 휴대형 진공 청소기(10)는 일측부에 흡입구가 구비되는 하우징(11)과, 하우징의 내부에 탑재되는 흡입 모터(미도시)와, 흡입 모터(미도시)에 설치되는 임펠러(미도시)와, 임펠러(미도시)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미도시)와, 손잡이(12)에 설치되며 흡입 모터의 구동을 조작하는 스위치(13)로 구성되며, 흡입 모터의 구동원으로는 충전식 배터리(미도시), 전원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스탠드(20)는 전면에 휴대형 청소기 장착부(21)가 구비된 스탠드 본체(22)와, 상기 스탠드 본체(22)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휴대형 청소기(10)의 장착시 그 흡입구와 연통되는 흡입덕트(23)와, 휴대형 청소기 장착부(21)의 후방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부(24)와, 원통부(24)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단부에 손잡이(25)가 구비된 길이 조절봉(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휴대형 청소기 장착부(21)에는 휴대형 청소기(10)의 장착시 그 내부의 흡입 모터와 연결되는 단자(27)가 설치되며, 길이 조절봉(26)의 손잡이(25)에는 스위치(30)가 설치되고, 스위치(30)와 단자(27)는 와이어(40)로 연결되어 스위치(25)의 조작에 의해 휴대형 청소기(10)의 흡입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 조절봉(26)의 길이 조절시 스위치(30)와 단자(27)의 접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와이어(40)는 코일 형상으로 감기게 된다.
그리고, 스탠드 본체(22)의 흡입덕트(23)의 내부에는 브러쉬(50)가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브러쉬(50)의 일단에는 타이밍 벨트(61)를 매개로 하여 구동 모터(60)와 연결되고, 구동 모터(60)는 휴대형 청소기측 스위치(13) 및 스탠드측 스위치(30)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된다. 아울러, 흡입덕트(23)의 흡입구(23a)측에 이물질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흡입구(23a)를 통해 부피가 큰 이물질이 유입되면 제어부(미도시)가 구동 모터(60)와 흡입 모터를 정지시키게 되고, 인위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되면 리셋 스위치에 의해 재가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창틀, 차량 내부 등과 같이 스탠드(20)를 사용하지 못하는 협소한 공간을 청소할 경우에는 도 2와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휴대형 청소기(10)를 스탠드 본체(22)로부터 분리한 후, 휴대형 청소기(10)의 손잡이(12)에 배치된 스위치(13)를 조작하게 되면 흡입 모터(14)에 배터리(15) 전원이 인가되고, 흡입 모터(14)의 회전력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되면서 흡입구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직립 상태에서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도 1, 2 및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휴대형 진공 청소기(10)를 스탠드 본체(22)의 장착실(21)에 결합하며, 흡입 모터(14)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스탠드 본체(22)의 손잡이(25)에 배치된 스위치(30)를 조작하게 된다.
스위치(30)의 조작에 의한 작동 신호는 흡입 모터(14)에 인가되어 흡입 모터(14)가 구동되며, 흡입 모터(14)를 구동원으로 하여 임펠러가 회전되면서 그 흡입력에 의해 방바닥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흡입덕트(23)를 통해 휴대형 청소기(10)의 내부에 유입됨으로써 제거된다.
이와 동시에, 브러쉬 구동 모터(60)에 전원이 인가되어 브러쉬(50)가 구동되면서 방바닥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닦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이물질의 부피가 일정 크기보다 크게 되면 이물질감지센서(7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71)에 송신하며, 제어부(71)는 흡입 모터(14)와 브러쉬 구동 모터(60)를 정지시키게 된다.
기기의 구동을 위해 이물질을 제거한 후 리셋 스위치(72)를 조작하면 흡입 모터(14)와 브러쉬 구동 모터(60)가 재구동되어 청소 작업이 개시된다.
청소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스탠드측 스위치(30)를 조작하여 흡입 모터(14)와 브러쉬 구동 모터(60)를 정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 진공 청소기는 길이 조절봉(26)을 원통부(24)에서 인출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길이 조절봉(26)을 원통부(24)에서 인출하거나 삽입하게 되면 감긴 상태의 와이어(40)가 풀리게 되어 스위치(30)와 단자(27)의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각 스위치(13)(30)(72)에 의한 온/오프 신호는 릴레이(80)를 온/오프 시킴으로써 배터리(15)의 전원을 직접 흡입 모터(14), 브러쉬 구동 모터(61)에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릴레이(80)에 의해 전원의 공급 유무를 직접 결정함으로써 스위치(13)(30)(72)에 의한 전압 강하가 없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된 접속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봉(26)에는 도체의 접속 라인(90)이 형성되며, 이 접속 라인(90)의 일부는 접속 단자(27)와 일정 구간 즉, 길이 조절봉(26)의 조절 구간내에서 접속될 수 있도록 길이 조절봉(26)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일부는 길이 조절봉(26)이 최대한 인출되어도 접속 라인(90)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손잡이측 스위치(30)와 연결되도록 길이 조절봉(26)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길이 조절봉(26)에 별도의 접속라인을 형성하지 않고 길이 조절봉(26)을 전도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휴대형 진공 청소기(10)를 스탠드(20)에 장착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스탠드(20)에 배치된 스위치(30)를 조작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휴대형 청소기측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필요한 동작이 없어진다.
아울러, 릴레이(80)에 의해 스위치(30)에 의한 전압 강하가 없어지게 되어 불필요한 전류의 낭비가 방지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입력에 의해 제거되는데 반해, 본 고안에 의하면, 이물질이 흡입력과 동시에 브러쉬(50)에 의해 제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스탠드형 및 휴대형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스탠드에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결합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는 등의 불필요한 동작없이 직립 상태에서 단순한 조작을 통해 청소기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가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이 흡입 모터의 흡입력과 브러쉬에 의해 제거되어 먼지 제거 효과가 배가되므로 제품의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가지 실시형태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전면에 휴대형 진공 청소기 장착부가 형성되며 하단부에 흡입덕트가 형성된 스탠드 본체와, 상기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와, 상기 스탠드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길이 조절봉과,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며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모터의 동작을 릴레이를 통해 조작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탠드 본체의 청소기 장착부에 설치되며 상기 휴대형 청소기의 흡입 모터와 접속되는 단자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수단은 코일 형상으로 감긴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단자와 일정 구간내에서 접속 가능하게 상기 길이 조절봉에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는 도체의 접속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구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
KR2019990015501U 1998-08-01 1999-07-30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 KR200166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501U KR200166147Y1 (ko) 1998-08-01 1999-07-30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14502 1998-08-01
KR2019980014502 1998-08-01
KR2019990015501U KR200166147Y1 (ko) 1998-08-01 1999-07-30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147Y1 true KR200166147Y1 (ko) 2000-02-15

Family

ID=2663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501U KR200166147Y1 (ko) 1998-08-01 1999-07-30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1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328B1 (ko) * 2006-11-03 2007-10-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핸디청소기 일체형 진공청소기
KR100762324B1 (ko) * 2006-11-03 2007-10-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328B1 (ko) * 2006-11-03 2007-10-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핸디청소기 일체형 진공청소기
KR100762324B1 (ko) * 2006-11-03 2007-10-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4775A (en) Multifunctional vacuum cleaning appliance
KR101143659B1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AU2003259635B2 (en) Robot Cleaner having a Rotating Wet Cloth
JP4891263B2 (ja) 電気掃除機のためのクリーナヘッド
JPH09192068A (ja) 改善された回転連結部を有する真空掃除機のハンドルアセンブリ
JP2001212052A (ja) 電気掃除機
JP4920779B2 (ja) 電気掃除機
KR200166147Y1 (ko)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 청소기
KR100429477B1 (ko) 청소기
KR20040038556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50905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KR100539757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파워 스위치 장치
JP2003135328A5 (ko)
JP4709690B2 (ja) 電気掃除機
JP3060512U (ja) 充電式スタンド形吸引掃除機の動作制御装置
JPH0829136B2 (ja) 清掃器
JP2005065770A (ja) 電気掃除機
KR100232107B1 (ko)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전원공급 장치
JP2002034862A (ja) 電気掃除機
JP2001157655A (ja) 電気掃除機
KR20050056286A (ko) 안전 장치가 구비된 진공 청소기
US5949021A (en) Apparatus for fixing a power control switch of a vacuum cleaner
KR200358816Y1 (ko) 진공청소기의 플렉시블 흡입관
JPH0994189A (ja) 電気掃除機
KR20230138352A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