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899Y1 - 연결코오드 - Google Patents

연결코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899Y1
KR200165899Y1 KR2019950008841U KR19950008841U KR200165899Y1 KR 200165899 Y1 KR200165899 Y1 KR 200165899Y1 KR 2019950008841 U KR2019950008841 U KR 2019950008841U KR 19950008841 U KR19950008841 U KR 19950008841U KR 200165899 Y1 KR200165899 Y1 KR 200165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wound
wire
outle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8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872U (ko
Inventor
오정현
Original Assignee
오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현 filed Critical 오정현
Priority to KR2019950008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899Y1/ko
Publication of KR960035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8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8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전선을 권취부에 권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필요한 만큼의 전선을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노브의 조작에 의하여 자동으로 감기게 하여 사용상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전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연결 코오드를 제공할 목적으로, 전선이 감겨지는 릴이 내장되는 원형부와, 그의 일측으로 콘센트가 내장되는 소정형상의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부와 돌출부의 경계부 일측에 조립시 전선 인출공이 되는 요입홈을 갖는 상,하 케이스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릴을 전선이 감기는 방향으로 항시 탄발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릴의 하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배치되어 내측단은 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에 탄지되고, 외측단은 공간부의 내경부 소정위치에 탄지되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릴을 선택적으로 록킹시켜줄 수 있도록 상기 릴의 릴다운 외주연에 형성되는 요철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록킹수단과, 상기 릴다운의 저면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릴의 멈춤동작을 유지시켜 주는 릴 멈춤수단과, 상기 릴에 감겨지는 전선과 콘센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 코오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결 코오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 코오드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릴의 저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연결 코오드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케이스 4,6 : 상하 케이스
8 : 전선 10 : 릴
16 : 콘센트 28 : 고정축
32 : 태엽스프링 36,40 : 요철부
38 : 록커 42 : 노브
52,54 : 회전단자판 56,58 : 단자선
60,62 : 접촉단자
본 고안은 연결 코오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을 권치부로부터 필요한 길이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연결 코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결 코오드라함은 전원 콘센트로부터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제품이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전원 콘센트와 전기제품 사이를 연결하여 주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연결 코오드는 단순히 고정의 길이를 갖는 전선의 일측단에 전원 콘센트에 꽂을 수 있는 플러그가 장착되고, 타측단에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는 콘센트가 장착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시에는 그 거리에 관계없이 늘어뜨린 상태로 사용하게 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묶어 보관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선을 늘어뜨린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며, 또한, 사용 후 뒷처리를 하여야함으로써, 이에 따른 불편함이 뒤따르게 된다.
그리고 전선을 사용과 비사용에 따라 반복적으로 묶어두고 펼치면 전선 내부와 와이어에 피로가 쌓여 쉽게 단선됨으로써, 수명이 수명이 짧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선을 권취부에 권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필요한 만큼의 전선을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노브의 조작에 의하여 자동으로 감기게 하여 사용상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전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연결 코오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선이 감겨지는 릴이 내장되는 원형부와, 그의 일측으로 콘센트가 내장되는 소정형상의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부와 돌추부의 경계부 일측에 조립시 전선 인출공이 되는 요입홈을 갖는 상,하 케이스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 상기 릴을 전선이 감기는 방향으로 항시 탄발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릴의 하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배치되는 내측단은 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에 탄지되고, 외측단은 공간부의 내경부 소정위치에 탄지되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릴의 선택적으로 록킹시켜줄 수 있도록 상기 릴의 릴다운 외주연에 형성되는 요철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록킹수단과, 상기 릴다운의 저면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릴의 멈춤동작을 유지시켜 주는 릴 멈춤수단과, 상기 릴에 감겨지는 전선과 콘센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 코오드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 코오드의 분해 사시도로서, 케이스(2)는 상하 분리되어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조립되는 상,하 케이스(4)(6)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 케이스(4)(6)는 전선(8)이 감겨지는 릴(10)이 내장되는 원형부(12)(14)와, 그의 일측으로 콘센트(16)가 내장되는 소정형상의 돌출부(18)(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부(12)(14)와 돌출부(18)(20)의 경계부 일측에는 조립시 전선(8) 인출공이 되는 요입홈(22)(24)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6)의 내측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릴(10)을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 벽(26)이 형성되어 이의 내측으로 보빈(10)이 고정축(2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에서 고정축(28)은 그의 하단이 하부 케이스(6)에 고정이 이루어지며, 릴(10)은 제2도에서와 같이 하측 중앙부에 소정의 직경을 갖고 요입되는 공간부(30)가 마련되어 이에 태엽스프링(32이 안착된다.
상기에서 태엽스프링(32)은 릴(10)이 전선을 감아 권취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항시 회전할 수 있도록 탄지되는데, 그의 내측단은 상기 고정축(28)에 탄지되고, 외측단은 공간부(30)의 내경부 소정위치에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의 릴다운(34)의 외주연에 요철부(36)가 형성되어 제4도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벽(26)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 록커(38)와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면서 릴(10)의 회전을 단속하게 된다.
상기 록커(38)는 호형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상기 요철부(36)에 대응하는 요철부(40)가 형성되어 그의 일측단이 하부케이스(6)에 힌지 고정되며, 그의 외주면은 자유단측으로 갈수록 폭이 멀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케이스(6)에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42)에 의하여 자유단측이 내외측으로 회동하면서 릴(10)을 록킹 또는 록킹을 해제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릴다운(34)의 저면 일측에는 전선(8)을 인출할 때 릴(10)의 일시 멈춤을 위한 캠(44)이 배치되는데, 이의 캠(44)은 그의 중앙부가 릴다운(34)에 힌지 고정되며, 외측의 탄성부재(46)에 의하여 회전이 제어된다.
또한, 상기 캠(44)은 일측의 첨예부(48)가 제1도에서와 같이 하부 케이스(6)의 가장자리에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기부(48)에 의하여 걸리면서 릴(10)의 역회전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일시 멈춤 구조는 공지의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릴(10)에 감겨지는 전선(8)은 이의 내측단이 릴(10)의 릴업(50) 중앙부 내,외측으로 마련되어 있는 회전단자판(52)(54)과, 콘센트(16)로부터 인출된 단자선(56)(58)과 연결된 접촉단자(60)(62)와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하여 콘센트(16)와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즉, 콘센트(16)에서 인출되는 단자선(56)(58)은 릴업(50)의 중앙부 상측에서 고정축(28)에 고정되는 지지판(61)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단자(60)(62)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의 접촉단자(60)(62)가 탄성적으로 회전단자판(52)(54)와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콘센트(16)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의 구성 설명은 생략하며, 도면중 미설명 부호 64는 플러그이고, 66는 미끄럼 방지구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연결 코오드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선(8)이 릴(10)에 감겨져 플러그(64)만이 케이스(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보관이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연결 코오드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플러그(64)를 잡아 당기면 릴(10)에 감겨져 있던 전선(8)이 인출되므로 필요한 만큼 인출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전선(8)의 인출과정에서 일시 멈춤구조에 의하여 전선(8)을 잡아 당기는 힘을 해제하여도 릴(10)의 역회전이 방지되어 전선이 다시 감기는 현상이 방지되며, 전선(8)을 필요한 만큼 인출한 후, 전선(8)이 되감기는 것을 방지하고자 할 때에는 하부케이스(4)의 일측으로 마련되어 있는 노브(42)를 조작하면 이에 연동되는 록커(38)의 작용으로 릴(10)의 록킹되어 전선(8)이 되감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상태에서 연결 코오드를 사용한 후에는 노브(42)를 조작하여 릴(10)의 록킹을 해지한 후에는 전선(8)을 조금 잡아 당겼다가 놓으면 일시 멈춤구조의 작동이 정지되어 릴(10)이 태엽스프링(32)의 축적된 탄발력에 의하여 역회전하면서 자동으로 전선(8)을 권취하여 초기의 상태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선을 권치부에 권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필요한 만큼의 전선을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노브의 조작에 의하여 전선이 자동으로 감기게 하여 사용상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전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묶을 필요가 없게 되므로 전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전선(8)이 감겨지는 릴(10)이 내장되는 원형부(12)(14)와, 그의 일측으로 콘센트(16)가 내장되는 소정형의 돌출부(18)(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원형부(12)(14)와 돌출부(18)(20)의 경계부 일측에 조립시 전선(8) 인출공이 되는 요입홈(22)(24)을 갖는 상,하 케이스(4)(6)로 형성되는 케이스(2)와, 상기 릴(10)을 전선이 감기는 방향으로 항시 탄발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릴(10)의 하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공간부(30)에 배치되어 내측단은 릴(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28)에 탄지되고, 외측단은 공간부(30)의 내경부 소정위치에 탄지되는 태엽스프링(32)과, 상기 릴(10)을 선택적으로 록킹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릴(10)의 릴다운(34) 외주연에 형성되는 요철부(36)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록킹수단과, 상기 릴다운(34)의 저면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릴(10)의 멈춤동작을 유지시켜 주는 릴 멈춤수단과, 상기 릴(10)에 감겨지는 전선(8)과 콘센트(1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 코오드.
  2. 제1항에 있어서, 록킹수단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릴다운(34)의 요철부(36)에 대응하는 요철부(40)가 형성되어 그의 일측단이 하부케이스(6)에 힌지 고정되며, 그의 외주면은 자유단측으로 갈수록 폭이 멀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록커(38)와, 상기 록커(38)의 외측 하부 케이스(6)에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록커(38)의 자유단을 내외측으로 회동시키는 노브(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 코오드.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은 릴(10)의 릴업(50) 중앙부 내, 외측으로 마련되어 있는 회전단자판(52)(54)과, 상기 릴업(50)의 중앙부 상측에서 고정축(28)에 고정되는 지지판(6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그의 하단부가 상기 회전 단자판(52)(54)과 탄성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접촉단자(60)(62)와, 상기 접촉단자(60)(62)와 콘센트(16)를 연결하여 주는 단자선(56)(5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 코오드.
KR2019950008841U 1995-04-27 1995-04-27 연결코오드 KR200165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841U KR200165899Y1 (ko) 1995-04-27 1995-04-27 연결코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841U KR200165899Y1 (ko) 1995-04-27 1995-04-27 연결코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872U KR960035872U (ko) 1996-11-21
KR200165899Y1 true KR200165899Y1 (ko) 2000-01-15

Family

ID=1941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8841U KR200165899Y1 (ko) 1995-04-27 1995-04-27 연결코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8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406U (ko) * 2008-01-18 2009-07-22 이헌규 전선 연결 권취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176Y1 (ko) * 2002-11-11 2003-08-14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코드 릴의 전기 접속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406U (ko) * 2008-01-18 2009-07-22 이헌규 전선 연결 권취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872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2079B2 (en) Power cord winding and releasing device
US5700150A (en) Electrical outlet type extension cord reel with auxiliary outlet
US2979576A (en) Cord reel for electrical appliances
US4901938A (en) Electrical cord retractor
US7032854B2 (en) Cord shortener
US6230860B1 (en) Mobile phone battery charger with power cord winding mechanism
US6199784B1 (en) Automatically rewindable wire device
US2429675A (en) Cord adjusting and storage reel
US6378797B1 (en) Structure of wire winding box
US9190824B2 (en) Cord reel
WO2001073911A1 (en) Cord rewinder device and horizontally-mounted electrical cord rewinder device for a vacuum cleaner
KR200165899Y1 (ko) 연결코오드
US20030045163A1 (en) Power supply apparatus with power cord securing device
JPH0665104B2 (ja) コード自動巻き装置の接点装置
US6502777B2 (en) Wire-winding box capable of unidirectionally winding wire
KR102420750B1 (ko) 전선의 정리 및 길이 조절이 용이한 멀티탭
EP1367016B1 (en) Lawnmower with a cable storage device
KR200258703Y1 (ko) 멀티탭
JP2003112857A (ja) ケーブル巻取り装置
KR101094166B1 (ko) 이미용 전기기구 수납 및 전원공급장치
KR200147579Y1 (ko) 전선권취장치
JP3072683U (ja) 給電器
KR200303295Y1 (ko) 양립 릴이 구비된 케이블
KR20090000234U (ko) 가전기기의 전선 권취장치
CN111916946A (zh) 一种插座组件及其浴室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