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793Y1 - 식품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식품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793Y1
KR200165793Y1 KR2019980002825U KR19980002825U KR200165793Y1 KR 200165793 Y1 KR200165793 Y1 KR 200165793Y1 KR 2019980002825 U KR2019980002825 U KR 2019980002825U KR 19980002825 U KR19980002825 U KR 19980002825U KR 200165793 Y1 KR200165793 Y1 KR 200165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orage container
food storage
main body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838U (ko
Inventor
심용보
김정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2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79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6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8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7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식품저장용기(100)의 본체(100)에는 상기 식품저장용기(100)의 운반시 이용자가 사용하도록 된 운반부재(20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운반부재(200)는,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걸림턱(112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끝단에 절곡부(211)가 갖춰진 결합수단(210)과, 상기 결합수단(210)의 타측끝단에 양끝단이 결합되도록 된 연결수단(220)과, 상기 연결수단(220)과 결합되어 이용자가 파지하도록 된 파지수단(23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220)은, 상기 연결수단(22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된 보강부(221)와, 상기 보강부(221)와 결합수단(210)사이에 결합되어 운반부재(200)의 착탈시 탄성절곡되도록 된 탄성부(222)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식품저장용기(100)의 이동시 이용자가 상기 운반부재(200)의 파지수단(230)을 이용해 이동시키게 되므로 이용자의 파지불안형상이 제거됨은 물론, 상기 본체(110)의 수용부(111)내에 식품이 충만되게 수납되어 있더라도 이용자가 상기 파지수단(230)을 파지한 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저장용기
본 고안은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을 저장/보관하도록 된 식품저장용기에 관한것으로, 특히 본체에 운반부재가 설치되어져, 상기 운반부재를 이용하여 식품저장용기를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된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식품저장용기(1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용부(111)가 형성되고 상단 외측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돌기부(112)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110)와, 상부면에 결합된 뚜껑돌기(121)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0)의 상부면에 착탈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11)를 개폐시키도록 된 뚜껑(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부(112)와 타측면에 형성된 돌기부(112a)의 끝단에는 소정길이의 걸림턱(112a)이 본체(110)의 아랫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뚜껑돌기(121)를 잡고 뚜껑(120)을 본체(100)로 부터 탈거시킨 후, 상기 본체(100)내부의 수용부(111)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을 수납시킨다음, 상기 뚜껑(120)을 본체(100)로 밀폐시키게 되면, 이용자가 원하는 식품을 상기 수용부(111)내에 용이하게 저장/보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용자의 필요에 의해 상기 식품저장용기(100)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이용자가 돌기부(112)의 밑면에 손가락을 밀착시킴과 더불어 힘을주어 들어올리게 되면 본체(110)가 지면에서 이탈되므로, 이용자는 상기 식품저장용기(100)를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이용자의 손가락은 상기 돌기부(112)에 형성된 걸림턱(12a)에 걸려지게 되는 것이 방지게 되므로, 이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돌기부(112)에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그러나, 수용부(111)에 식품이 충만되게 수납되고 이용자가 식품저장용기(100)를 장거리의 장소로 이동시킬 경우, 돌기부(112)만을 이용하여 상기 식품저장용기(100)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식품저장용기(100)의 중량에 의해 이용자의 파지불안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이에따라 이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식품저장용기의 운반시 이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운반부재를 본체의 돌기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하여, 수용부에 식품이 충만되게 수납된 식품저장용기의 장거리 이동시 이용자가 상기 운반부재를 이용하여 식품거장용기를 운반시키게 되므로, 이용자의 파지불안현상이 제거됨은 물론, 이에따라 이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된 식품저장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는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외측면 상단에는 그 둘례를 따라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서로 반대위치의 돌기부 끝단에는 소정길이의 걸림턱이 아랫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착탈되어 수용부를 개폐시기도록 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식품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단에 절곡부가 갖춰진 결합수단과 상기 결합수단을 연결하도록 된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용자가 파지하도록 된 파지수단으로 이루어진 운반부재가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이, 상기 연결수단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된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와 결합수단사이에 결합된 탄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저장용기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부재가 본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4와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부재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식품저장용기 110 : 본체
111 : 수용부 112 : 돌기부
112a : 걸림턱 120 : 뚜껑
121: 뚜껑돌기 200 : 운반부재
210 : 결합수단 211 : 절곡부
220 : 연결수단 221 : 보강부
222 : 탄성부 230 : 파지수단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부재가 본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본 고안의 식품저장용기(1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뚜껑(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용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 외측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돌기부(1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부(112)와 타측면에 형성된 돌기부(112a)의 끝단에는 소정길이의 걸림턱(112a)이 본체(110)의 아랫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120)의 상부면에는, 소정크기의 뚜껑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저장용기(100)의 운반시 이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운반부재(200)가 설치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운반부재(200)는, 상기 본체(110)의 걸림턱(112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단에 절곡부(211)가 갖춰진 결합수단(210)과, 상기 결합수단(210)의 타측끝단을 연결하도록 된 연결수단(220)과, 상기 연결수단(2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용자가 파지하도록 된 파지수단(23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220)은, 상기 연결수단(22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된 보강부(221)와, 상기 보강부(221)와 결합수단(210)사이에 결합되어 운반부재(200)의 착탈시 탄성절곡되도록 된 탄성부(222)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운반부재(200)의 설치과정 및 사용상태에 대해 도3 내지 도5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체(110)의 상부에 뚜껑(12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운반부재(200)중 결합수단(210)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연결수단(220)의 탄성부(222)가 상방향으로 탄성절곡됨으로 인해, 상기 결합수단(210)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결합수단(210)의 절곡부(211)가 돌기부(112)의 걸림턱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운반부재(200)를 식품저장용기(100)의 상부에 밀착시킨 후, 외측으로 벌린 상기 결합수단(210)을 놓아주게 되면, 상기 결합수단(210)이 탄성부(2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절곡부(211)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12a)에 단단히 고정되게 됨으로써, 운반부재(200)가 식품저장용기(100)에 설치되게 된다.
이후, 이용자의 필요에 의해 상기 식품저장용기(100)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운반부재(200)의 파지수단(230)을 잡고 힘을 주어 본체(110)를 지면에서 이탈시킨 후, 이용자는 원하는 장소로 상기 식품저장용기(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수용부(111)에 식품이 충만되게 수납되어 식품저장용기(100)의 중량이 무거울 경우에도, 이용자는 상기 운반부재(200)의 파지수단(230)을 이용해 상기 식품저장용기(100)를 이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식품저장용기(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210)과 연결수단(220) 및 파지수단(230)으로 구성된 운반부재(200)가 본체(110)의 돌기부(112)에 형성된 걸림턱(112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식품저장용기(100)의 이동시 이용자가 상기 운반부재(200)의 파지수단(230)을 이용하도록 된 본 고안의 식품저장용기(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돌기부(112)를 잡고 식품저장용기(100)를 이동시키도록 된 종래의 식품저장용기(100)보다, 상기 식품저장용기(100)의 이동시 이용자의 파지불안현상이 게거될 뿐만 아니라, 이에따라 이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절곡부가 갖춰진 결합수단과 연결수단 및 파지수단으로 구성된 운반부재가 본체의 돌기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식품저장용기의 이동시 이용자가 상기 파지수단을 이용해 이동시기게 되므로 이용자의 파지불안현상이 제거됨은 물론, 상기 본체의 수용부내에 식품이 충만되게 수납되어 있더라도 이용자가 상기 파지수단을 파지한 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는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외측면 상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서로 반대위치의 돌기부 끝단에는 소정길이의 걸림턱이 아랫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착탈되어 수용부를 개폐시키도록 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식품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단에 절곡부가 갖춰진 결합수단과 상기 결합수단을 연결하도록 된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용자가 파지하도록 된 파지수단으로 이루어진 운반부재가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이, 강성보강을 위한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와 결합수단사이에 결합된 탄성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용기.
KR2019980002825U 1998-02-28 1998-02-28 식품저장용기 KR200165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825U KR200165793Y1 (ko) 1998-02-28 1998-02-28 식품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825U KR200165793Y1 (ko) 1998-02-28 1998-02-28 식품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838U KR19990036838U (ko) 1999-09-27
KR200165793Y1 true KR200165793Y1 (ko) 2000-01-15

Family

ID=1953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825U KR200165793Y1 (ko) 1998-02-28 1998-02-28 식품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7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511A (ko) * 2018-01-23 2019-07-31 주식회사 지에스메탈 밀폐용기 겸용 냄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511A (ko) * 2018-01-23 2019-07-31 주식회사 지에스메탈 밀폐용기 겸용 냄비
KR102074369B1 (ko) * 2018-01-23 2020-02-06 주식회사 지에스메탈 밀폐용기 겸용 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838U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0962A (en) Bottle handle for plastic prong bottle
EP0147165B1 (en) Portable container
JPH0450704B2 (ko)
KR200165793Y1 (ko) 식품저장용기
IE47025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arrier
US5884955A (en) Handle grip and grip assembly
KR200165794Y1 (ko) 식품저장용기
KR200165795Y1 (ko) 식품저장용기
JPS6119071Y2 (ko)
KR200194570Y1 (ko) 식품저장용기
KR200165790Y1 (ko) 식품저장용기
KR200363093Y1 (ko) 조리용기용 운반 손잡이
KR200292315Y1 (ko) 잡고 들기가 편리한 운반상자의 조립식 손잡이 상부테
KR20150106294A (ko) 포장용 용기
US3503644A (en) Self-adjusting gripping handle
KR102278866B1 (ko) 탈착식 바스켓을 구비한 카트
JP2000006936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KR200161133Y1 (ko) 식품저장용기
JP4355183B2 (ja) ゴミ入れ容器の連結構造
KR200453669Y1 (ko) 용기 손잡이
KR101059050B1 (ko) 낚시용 용기
KR200257052Y1 (ko) 냉장고용 반찬용기
JP2528030Y2 (ja) 電気掃除機の梱包装置
KR200316201Y1 (ko) 운반용 손잡이
KR200262144Y1 (ko) 식품저장용기의 손잡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