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133Y1 - 식품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식품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133Y1
KR200161133Y1 KR2019970027698U KR19970027698U KR200161133Y1 KR 200161133 Y1 KR200161133 Y1 KR 200161133Y1 KR 2019970027698 U KR2019970027698 U KR 2019970027698U KR 19970027698 U KR19970027698 U KR 19970027698U KR 200161133 Y1 KR200161133 Y1 KR 200161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food storage
main body
li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536U (ko
Inventor
남태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7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133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5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식품저장용기가, 내부에는 식품을 저장/보관하기 위한 수용부(211), (311)가 갖춰지고 외주면 소정부위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부(212), (312)가 일체로 형성됨은 물론 소정부취에 다수개의 결합홀(213), (313)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210), (310)와, 상기 결합홀(213), (313)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된 다수개의 결합돌기(222), (322)가 외측면의 소정부위에 일체로 형성된 뚜껑(220), (320)으로 이루어져, 상기 식품저장 용기(200), (300)의 이동시 사용자가 본체(210), (31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212), (312)를 파지함과 더불어 들어올린 후 이동시키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됨은 물론, 상기 식품저장용기(200), (300)의 제작비용이 절감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저장용기
본 고안은 김치나 각종 식품등을 저장/보관시키도록 된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식품저장용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식품저장용기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50)는 외관상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식품을 저장/보관하기 위한 수용부(도시되어있지 않음)가 갖춰짐은 물론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된 본체(10)와, 소정형상의 뚜껑돌기(21)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의 상부면에 착탈됨으로써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된 뚜껑(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뚜껑돌기(21)를 잡고 뚜껑(20)을 본체(10)로 부터 탈거시킨 후, 상기 본체(10)내부의 수용부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을 수납시킨 다음, 상기 뚜껑(20)을 본체(10)에 다시 밀폐시키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식품을 용이하게 저장/보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식품저장용기(50)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0)의 밑면이나 양측면을 잡고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어, 파지불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100)가 고안되었는 바, 외관상 상기 식품저장용기(100) 는, 내부에 식품을 저장/보관하기 위한 수용부(도시되어있지 않음)가 갖춰짐은 물론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된 본체(70)와, 소정형상의 뚜껑돌기(81)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70)의 상부면에 착탈됨으로써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된 뚜껑(80) 및, 상기 본체(70)의 외주면 소정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식품저장용기(100)의 이동시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된 손잡이수단(9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피 손잡이수단(90)은, 상기 본체(70)의 외주면을 따라 부착되도록 된 밴드(91)와, 상기 밴드(91)의 소정부위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된 고정부재(92)와, 상기 고정부재(9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된 파지부재 (93)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식품저장용기(100)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파지부재(93)를 손으로 잡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70)에서 펼친 후, 상기 식품저장용기(100)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어, 파지불안이 해소됨으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제1실시예의 문제점은 해결되었지만, 상기 손잡이수단(90)이 상기 본체(70)에 별도로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식품저장용기(100)의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체의 외주면에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져, 식품저장용기의 이동시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를 잡고 상기 식품저장용기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킴으로 인해 상기 제1실시예의 문제점인 파지불안 및 사용자의 편의성저하가 해소됨은 물론, 상기 제2실시예의 문제점인 식품저장용기의 제작비용이 과다소모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해소될 수 있도록 된 식품저장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식품이 수납되도록 수용부가 갖추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시키도록 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식품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종단면형상이 └ ┘모양으로 된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뚜껑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손잡이부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도록 된 다수개의 결합홀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에 사용되는 식품저장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제1실시예.
제2도는 종래에 사용되는 식품저장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제1실시예.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제1실시예.
제4도는 제3도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제1실시예.
제6도는 제5도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300 : 식품저장용기 210, 310 : 본체
211, 311 : 수용부 212, 312 : 손잡이부
213, 313 : 결합홀 220, 320 : 뚜껑
221, 321 : 뚜껑돌기 222, 322 : 결합돌기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제1실시예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내부에 식품을 저장/보관하기 위한 수용부 (211)가 갖춰짐은 물론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된 본체(210)와, 소정형상의 뚜껑돌기(221)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210)의 상부면에 착탈됨으로써 상기 수용부(211)를 개폐하도록 된 뚜껑(220)으로 이루어진 식품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210)의 상부면에는 종단면형상이 └ ┘모양으로 된 손잡이부(212)가 일체로 형성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뚜껑(220)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2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손잡이부(212)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222)와 결합되도록 된 다수개의 결합홀(2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식품저장용기(300)는 제5도와 제6도에 도 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식품을 저장/보관하기 위한 수용부(311)가 갖춰짐은 물론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된 본체(310)와, 소정형상의 뚜껑돌기(321)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310)의 상부면에 착탈됨으로써 상기 수용부(311)를 개폐하도록 된 뚜껑(320)으로 이루어진 식품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310)의 상부 외측면 소정 부위에는 종단면형상이 ┤├모양으로 된 손잡이부(3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뚜껑(320)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3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손잡이부(212)의 상측 본체(310)에는 상기 결합돌기(322)와 결합되도록 된 다수개의 결합홀(3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식품저장용기(300), (400) 중,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300)의 사용상태에 대해 제3도과 제4도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뚜껑돌기(221)를 잡고 뚜껑(220)을 본체(210)로 부터 탈거시킨 후, 상비 본체(210)내부의 수용부(211)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을 수납시킨 다음, 상기 뚜껑(220)을 본체(210)에 다시 밀폐시키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식품을 상기 식품저장용기(300)내에 용이하게 저장/보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210)에 밀폐된 뚜껑(220)을 상기 본체(210)로 부터 탈거시 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홀(213)에 결합된 결합돌기(222)를 손으로 눌러 상기 결합돌기(222)를 상기 결합홀(213)에서 이탈시킴과 더불어 뚜껑돌기(221)를 잡고 상기 뚜껑(220)을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뚜껑(220)을 상기 본체(210)로 부터 용이하게 탈거시켜 수용부(211)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210)에서 개방된 뚜껑(220)을 상기 본체(210)로 밀폐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뚜껑돌기(222)와 상기 결합홀(213)이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뚜껑(220)을 상기 본체(210)의 상부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뚜껑(220)을 상기 본체(210)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뚜껑(220)의 측면하부가 상기 본체(210)의 내부로 밀려들어감과 동시에 상기 결합돌기(222)가 상기 결합홀(213)에 삽입/결합됨으로써, 상기 뚜껑(220)을 상기 본체(210)에 용이하게 결합시켜 수용부(211)를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식품저장용기(100)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본체(210)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212)를 손으로 파지함과 더불어 상기 식품저장용기(300)를 들어올린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상기 식품저장용기(3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 된다.
따라서, 손잡이부(213)가 본체(21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본 고안의 식품저장용기(200)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식품저장용기(50)보다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도에 도시된 종래의 식품저장용기(100)보다 상기 식품저장용기(200)의 제작비용이 절감되게 된다.
그리고,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300)의 사용상태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200)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식품저장용기의 이동시 사용자가 본체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를 파지함과 더불어 들어올린 후 이동시키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됨으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뿐만 아니라, 상기 식품저장용기의 제작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식품을 저장/보관하기 위한 수용부가 갖춰짐은 물론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된 본체와, 상부면에 설치된 소정형상의 뚜껑돌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식품 저장용기에 있어서, 종단면형상이 └ ┘모양으로 된 손잡이부가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됨은 물론 상기 손잡이부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홀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결합홀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된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외측면의 소정부위에 일체로 형성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용기.
  2. 내부에 식품을 저장/보관하기 위한 수용부가 갖춰짐은 물론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된 본체와, 상부면에 설치된 소정형상의 뚜껑돌기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착탈됨으로써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식품 저장용기에 있어서, 종단면형상이 ┤├ 모양으로 된 손잡이부가 상부 외측면 소정부위에 일체로 형성됨은 물론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 소정부위에는 다수개의 결합홀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결합홀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된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외측면의 소정부위에 일체로 형성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용기.
KR2019970027698U 1997-10-06 1997-10-06 식품저장용기 KR200161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698U KR200161133Y1 (ko) 1997-10-06 1997-10-06 식품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698U KR200161133Y1 (ko) 1997-10-06 1997-10-06 식품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536U KR19990014536U (ko) 1999-05-06
KR200161133Y1 true KR200161133Y1 (ko) 1999-11-15

Family

ID=1951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698U KR200161133Y1 (ko) 1997-10-06 1997-10-06 식품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1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536U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4317A1 (en) Heat insulating cooking vessel
USD329597S (en) Combined can and closure
ES2098212T1 (es) Recipiente culinario con tapa que presenta una funcion de vertido.
KR200161133Y1 (ko) 식품저장용기
USD428667S (en) Handle for sponge applicator
KR19990023321U (ko) 식품저장용기
KR200165795Y1 (ko) 식품저장용기
KR200238404Y1 (ko) 가스와 버너의 수납기능을 갖는 코펠
CN212678894U (zh) 一种收纳箱的箱盖
KR200165794Y1 (ko) 식품저장용기
KR200165790Y1 (ko) 식품저장용기
JP3043057U (ja) 絵の具入れケース
KR200257052Y1 (ko) 냉장고용 반찬용기
KR200165793Y1 (ko) 식품저장용기
KR950005018Y1 (ko) 조립식 컵
KR20000019440U (ko) 손톱소제용구함
KR200309334Y1 (ko) 식품저장용기의 손잡이 구조
KR920000681Y1 (ko) 휴대용 반짇고리
KR200227286Y1 (ko) 물감저장용기
JPH0137462Y2 (ko)
KR200194570Y1 (ko) 식품저장용기
KR900000573Y1 (ko) 수저통의 결합장치
KR200312346Y1 (ko) 압력냄비
KR950004658Y1 (ko) 조립식 도시락
JPH04996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