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235Y1 - 플러그밸브 - Google Patents

플러그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235Y1
KR200165235Y1 KR2019990014240U KR19990014240U KR200165235Y1 KR 200165235 Y1 KR200165235 Y1 KR 200165235Y1 KR 2019990014240 U KR2019990014240 U KR 2019990014240U KR 19990014240 U KR19990014240 U KR 19990014240U KR 200165235 Y1 KR200165235 Y1 KR 200165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leeve
plug valve
sealing structure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김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filed Critical 김동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2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측면에 다수의 리브를 부착함으로써 몸체의 내부에 작용하는 토크를 감소시키고, 실링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플러그 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실링 구조체는, 하부에 삽입홈(352)이 형성되고 상부에 경사지게 걸림턱(353)이 형성된 폼드 다이아프램(35)과, 폼드 다이아프램(35)의 삽입홈(352)에 끼워지는 웨지링(34)과, 스템(332)과 덮개(39)에 형성된 틈새에 위치하고 상기 폼드 다이아프램(35)의 걸림턱(353)에 결합되며 상기 조정볼트(40)에 의해 눌러질 수 있도록 구성된 방전 트러스트 칼라(37) 및, 덮개(39)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오링홈(391)에 끼워져 몸체(31)의 외부와 내부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오링(38)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31)의 유입구(311) 및 배출구(312)에는 몸체(31)의 내측방향으로 포트립(313)이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고, 몸체(31)의 상부 및 하부의 내측둘레에는 수평압력리브(314)가 띠를 형성하듯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포트립(313)의 양 측부에는 수직압력리브(3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플러그 밸브{Pulg valve}
본 고안은 플러그 밸브에 관한 것이며, 특히, 몸체의 내부에 작용하는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내측면에 다수의 리브를 부착하고 유체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 구조를 개선한 플러그 밸브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 밸브는 크게 윤활식과 비윤활식으로 나눠진다. 그리고, 윤활식 플러그 밸브는 제조회사에 따라 형태가 조금씩 변형되는 데, 그 중의 대표적인 예를 아래에서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러그 밸브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를 선 B-B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압력이 작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보이듯이, 종래기술의 플러그 밸브(10)는 몸체(11)를 포함한다. 이런 몸체(11)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1)의 상부에는 다른 여러 종류의 구성요소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개방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몸체(11)의 내부에는 대향면에 홀(121)이 각각 형성된 슬리브(12 ; sleeve)가 배치되어 있고, 이런 슬리브(12)의 안쪽에는 대향면에 홀(131)이 각각 형성된 플러그(13 ; plug)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슬리브(12)는 윤활유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테프론(teflon)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1차 실링(sealing)의 역할을 한다. 또한, 슬리브(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 있어서, 이런 슬리브(12)와 몸체(11)의 내측면의 사이에는 릴리프 스페이스(26)가 형성된다.
그리고, 플러그(13)에는 유체의 외부로의 누출을 예방하는 여러 가지의 구성요소들이 위치할 수 있도록 스템(1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스템(132)의 상부에는 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1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배치된 플러그(13)의 스템(132)의 둘레에는 2차 실링의 역할을 하는 PTFE 다이아프램(14 ; Poly Tetra Fluoro Ethylene diaphragm), 델타링(15 ; delta ring), 메탈 다이아프램(16 ; metal diaphragm), 트러스트 칼라(17; thrust collar) 및 방전판(18)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2차 실링 구조의 상부에는 덮개(19)가 배치되어 있고, 이런 덮개(19)에는 3개의 조정볼트(20 ; adjusting bolt)가 방전판(18)을 누름으로써 유체의 외부로의 누출을 예방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19)는 덮개볼트(21)에 의해 몸체(11)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19)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러그(13)의 스템(132)에는 허브(22), 네임 플레이트(23 ; name plate) 및 핸들(24)이 허브볼트(25)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 때, 허브볼트(25)는 스템(132)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선(133)에 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플러그 밸브(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조정볼트(20)가 방전판(18)과 트러스트 칼라(17)를 누르고, 트러스트 칼라(17)가 메탈 다이아프램(16)과 델타링(15) 및 PTFE 다이아프램(14)을 눌러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실링한다. 즉, 트러스트 칼라(17)의 하부의 삼각부분이 델타링(15)에 수직하게 작용함으로써, 그 힘이 트러스트와 레이디알 하중으로 변환되어 그 누르는 하중으로 실링을 유지한다.
그러나, 1차 실링의 역할을 하는 슬리브(12)가 손상될 경우에는 압력이 상부에 위치하는 2차 실링쪽으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40kg/㎝2의 유체가 누출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이 때에 플러그(13)의 상단에서 밑으로 누르는 힘(P)[플러그(13)의 외경이 60㎜이고, 스템(132)의 외경이 30㎜일 경우]은 수학식 1과 같다.
P = (π62/4 - π32/4) * 40kg/㎝2= 848.23kg
위와 같은 힘(P)이 2차 실링쪽으로 전달되면, 플러그(13)가 밑으로 내려가고, 트러스트 칼라(17)가 델타링(15) 및 PTFE 다이아프램(16)을 눌러주지 못하게 되어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밸브의 여러 가지 사용조건 중 사용온도는 플러그 밸브(10)의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즉, 플러그 밸브(10)를 높은 온도에서 사용할 경우, 몸체(11)의 내부에 위치하는 슬리브(12)가 높은 온도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는 데, 이 때에 릴리프 스페이스(26)가 없으면, 플러그(13)에 팽창력이 작용해 몸체(11) 내부의 작동 토크가 증가하고, 이로써 슬리브(12)가 몸체(11)로부터 이탈하거나 이탈된 부분이 플러그(13)에 의해 손상되는 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11)의 내부에 릴리프 스페이스(26)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릴리프 스페이스(26)가 형성된 종래기술의 플러그 밸브(1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에서 한 쪽에서 압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그 압력에 의해 플러그(13)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그 힘에 의해 압력이 없는쪽의 슬리브(12)면에서는 밸브(10)가 개방되어 있을 때보다 더 강한 실링력을 받게 된다.
그러나, 그와 반대로 압력이 작용하는 쪽의 슬리브(12)면에서는 실링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최악의 경우 압력이 릴리프 스페이스(26)로 유입되어 슬리브(12)를 플러그(13)의 빈공간으로 밀어 슬리브(12)를 변형시킨다. 그러면, 플러그 밸브(10)를 개방할 때 플러그(13)의 모서리가 회전하면서 플러그(13)의 빈공간으로 밀려들어온 슬리브(12)를 최악의 경우 절단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플러그 밸브(10)는 트러스트 칼라(17)가 3개의 조정볼트(20)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데, 트러스트 칼라(17)가 스템(132)에 밀착되지 못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조립시에 기울어질 소지가 있어 사용시에 몸체(11)내의 작용 토크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3개의 조정볼트(20)의 조임량이 다를 경우에는 구조상 실링이 이루어질 수 없어 유체의 외부 누출의 위험이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플러그 밸브(10)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방전판(18)을 별도로 배치 구성함으로 그 구성요소가 복잡하다.
또한, 종래기술의 플러그 밸브(10)는 외부의 온도, 습기 및 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부품이 없어 이런 인자들에 의해 내부가 부식되어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측면에 다수의 리브를 부착함으로써 몸체의 내부에 작용하는 토크를 감소시키고, 실링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플러그 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러그 밸브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를 선 B-B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압력이 작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의 몸체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의 'C'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를 선 D-D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의 플러그와 슬리브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플러그 밸브 31 : 몸체
32 : 슬리브 33 : 플러그
34 : 웨지링 35 : 폼드 다이아프램
36 : 메탈 다이아프램 37 : 방전 트러스트 칼라
38 : 오링 39 : 덮개
40 : 조정볼트 46 : 릴리프 스페이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실링 구조체는, 하부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경사지게 걸림턱이 형성된 폼드 다이아프램(formed diaphragm)과, 상기 폼드 다이아프램의 삽입홈에 끼워지는 웨지링(wedge ring) 및, 스템과 덮개에 형성된 틈새에 위치하고 상기 폼드 다이아프램의 걸림턱에 결합되며 조정볼트에 의해 눌러질 수 있도록 구성된 방전 트러스트 칼라(antistatic thrust collar)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실링 구조체는 상기 덮개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오링홈에 끼워져 상기 몸체의 외부와 내부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오링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슬리브에는, 릴리프 스페이스(relief space)로 유입된 압력을 플러그의 빈공간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유입된 압력이 슬리브에 작용하지 않게 하여 슬리브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다수의 릴리프 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유입구 및 배출구에는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포트립(port lip)이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플러그의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유체를 상기 플러그의 안쪽으로 안내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의 내측둘레에는 수평압력리브가 띠를 형성하듯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트립의 양 측부에는 수직압력리브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몸체내에 작용하는 토크를 감소시킨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밸브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고안의 플러그 밸브(30)는 몸체의 내부에 작용하는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몸체의 내측면에 다수의 리브를 부착하고, 유체의 누출을 예방할 수 있도록 2차 실링 구조를 개선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기술의 플러그 밸브(10)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종래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6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의 몸체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의 'C'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를 선 D-D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밸브의 플러그와 슬리브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보이듯이, 본 고안의 몸체(31)는 그 하부가 폐쇄되어 있으며, 이런 몸체(31)의 유입구(311) 및 배출구(312)에는 몸체(31)의 내측방향으로 포트립(313 ; port lip)이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런 포트립(313)은 슬리브(32)에 각각 형성된 홀(321)에 끼워져 슬리브(32)의 내측방향으로 약간 돌출되게 배치되지만, 슬리브(32)의 내부에 위치하는 플러그(33)에는 닿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포트립(313)은 몸체(31) 내부의 사공간을 제거하여 어떠한 형태의 유체라도 제어 및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포트립(313)은 점액성 물질, 고형물질 등을 사용할 경우 이물질이나 고착된 유체 등이 밸브(30)의 개폐시에 플러그(33)의 표면에 붙어 슬리브(32)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즉, 포트립(313)이 슬리브(32)의 내측면에 약간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어서, 플러그(33)의 작동시에 그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도 8 및 도 10에 보이듯이, 포트립(313)은 슬리브(12)의 홀(121)에 끼워져 있으므로 유체가 빠른 속도로 밸브(30)의 내부를 통과할 경우, 그 유체를 유도하여 슬리브(12)와 직접적으로 맞부디쳐 마모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몸체(31)의 상부 및 하부의 내측둘레에는 수평압력리브(314)가 띠를 형성하듯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유입구(311) 및 배출구(312)에 각각 형성된 포트립(313)의 양 측부에는 수직압력리브(3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수평압력리브(314) 및 수직압력리브(315)는 몸체(31)의 내부 중 실질적으로 실링이 필요한 곳에만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즉, 도 11에 보이듯이, 플러그 밸브(30)는 실링면이 플러그(33)와 슬리브(32)가 면접촉을 하기 때문에, 다른 공정밸브(볼 밸브 - 선접촉함)보다 약 5배 정도의 작동 토크를 갖는다. 이와 같은 작동 토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포트립(313), 수평압력리브(314) 및 수직압력리브(315)를 실질적으로 실링이 필요한 곳에만 돌출시켜 완벽한 실링 면적을 갖도록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플러그 밸브(30)는 다수의 릴리프 홀(322)이 형성된 슬리브(32)가 사용된다. 이렇게 릴리프 홀(322)이 형성된 슬리브(32)를 사용하는 것은 릴리프 스페이스(46)로 유입된 압력을 플러그(33)의 빈공간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유입된 압력이 슬리브(33)에 작용하지 않게 하여 슬리브(33)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2차 실링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6, 도 8 및 도 9에 보이듯이, 본 고안의 플러그(32))의 스템(332)의 둘레에는 2차 실링의 역할을 하는 웨지링(34 ; wedge ring), 폼드 다이아프램(35 ; formed diaphragm), 메탈 다이아프램(36 ; metal diaphragm), 방전 트러스트 칼라(37 ; antistatic thrust collar) 및 오링(18)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폼드 다이아프램(35)은 스템(33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경(351)이 형성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웨지링(34)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3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폼드 다이아프램(35)에는 방전 트러스트 칼라(37)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턱(353)과, 평평한 메탈 다이아프램(36)이 배치될 수 있는 평탄부(35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전 트러스트 칼라(37)의 하부는 상기 폼드 다이아프램(35)의 걸림턱(353)에 끼워져 결합되고, 메탈 다이아프램(36)을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방전 트러스트 칼라(37)의 상부에는 스템(332)과 덮개(39)에 의해 형성되는 틈새에 끼워질 수 있는 삽입부(371)와, 조정볼트(40)가 누를 수 있는 평탄부(37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전 트러스트 칼라(37)의 삽입부(371)의 둘레에 배치되는 덮개(39)의 둘레에는 오링(38)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오링홈(39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오링(38)이 덮개(39)의 오링홈(391)에 끼워져 방전 트러스트 칼라(37)의 삽입부(371)의 둘레를 밀착하게 된다. 이렇게 배치된 오링(38)은 외부의 온도, 습기 및 공기 등의 영향에 의해 내부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와 내부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으로서, 온도 및 부식에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런 오링(38)은 2차 실링 구조에서 유체가 누출될지라도 외부로의 누출은 방지하는 실링기능도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2차 실링 구조는 자력식으로 실링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가령 플러그(33)가 외력을 받아 밑으로 내려간다 하더라도, 누출된 유체의 압력이 폼드 다이아프램(35)의 삽입홈(352)에 대해 바깥쪽 방향으로 작용하여 실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유체의 외부 노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2차 실링 구조는 방전 트러스트 칼라(37)가 스템(332)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상하이동하므로, 3개의 조정볼트(40)의 정확한 조임량과 상관없이 2차 실링 부품들을 동일한 수평력으로 누를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2차 실링 구조는 플러그(33)에서 생성된 정전기를 별도의 부품을 통해 방전시키지 않고 다른 기능을 하는 방전 트러스트 칼라(37)를 통해 방전시키므로 내부구조가 간단해 진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플러그 밸브는 2차 실링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유체의 외부 누출을 완벽하는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플러그 밸브는 포트립, 수평압력리브 및 수직압력리브를 몸체의 내부 중 실질적으로 실링이 필요한 곳에만 돌출되게 배치함으로써, 몸체의 내부에 작용하는 토크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플러그 밸브는 하부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그곳을 통한 유체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플러그 밸브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5)

  1. 유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유입구(311) 및 배출구(312)가 형성된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내부에 배치되는 슬리브(32)와, 상기 슬리브(32)의 내부에 배치되는 플러그(33)와, 상기 플러그(33)의 스템(332)의 둘레에 배치되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 구조체와, 상기 실링 구조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31)에 결합되는 덮개(39)와, 상기 실링 구조체를 눌러 실링력을 조정하는 조정볼트(40) 및, 상기 덮개(39)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스템(332)에 결합되어 상기 플러그(33)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핸들(24)을 포함하는 플러그 밸브에 있어서,
    상기 실링 구조체는, 하부에 삽입홈(352)이 형성되고 상부에 경사지게 걸림턱(353)이 형성된 폼드 다이아프램(35 ; formed diaphragm)과, 상기 폼드 다이아프램(35)의 삽입홈(352)에 끼워지는 웨지링(34 ; wedge ring) 및, 상기 스템(332)과 덮개(39)에 형성된 틈새에 위치하고 상기 폼드 다이아프램(35)의 걸림턱(353)에 결합되며 상기 조정볼트(40)에 의해 눌러질 수 있도록 구성된 방전 트러스트 칼라(37 ; antistatic thrust collar)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구조체는 상기 덮개(39)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오링홈(391)에 끼워져 상기 몸체(31)의 외부와 내부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오링(38)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32)에는, 릴리프 스페이스(46 ; relief space)로 유입된 압력을 상기 플러그(33)의 빈공간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유입된 압력이 슬리브(33)에 작용하지 않게 하여 슬리브(33)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다수의 릴리프 홀(3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의 유입구(311) 및 배출구(312)에는 몸체(31)의 내측방향으로 포트립(313 ; port lip)이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플러그(33)의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유체를 상기 슬리브(32)의 안쪽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의 상부 및 하부의 내측둘레에는 수평압력리브(314)가 띠를 형성하듯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트립(313)의 양 측부에는 수직압력리브(315)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몸체(31)내에 작용하는 토크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밸브.
KR2019990014240U 1999-07-19 1999-07-19 플러그밸브 KR20016523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129A KR20010010319A (ko) 1999-07-19 1999-07-19 플러그 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129A Division KR20010010319A (ko) 1999-07-19 1999-07-19 플러그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235Y1 true KR200165235Y1 (ko) 2000-02-15

Family

ID=196027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240U KR200165235Y1 (ko) 1999-07-19 1999-07-19 플러그밸브
KR1019990029129A KR20010010319A (ko) 1999-07-19 1999-07-19 플러그 밸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129A KR20010010319A (ko) 1999-07-19 1999-07-19 플러그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652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451B1 (ko) * 2013-04-02 2014-12-03 (주)플로닉스 불소수지 라이닝이 형성된 플러그 밸브의 상부밀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809B1 (ko) * 2007-09-05 2009-03-13 김인수 링거액 제조용 증류수 밸브
KR101223579B1 (ko) * 2010-08-11 2013-01-17 주식회사 쓰리젯 패킹 분리형 플러그 밸브
KR102591730B1 (ko) * 2021-12-13 2023-10-23 주식회사 쓰리젯 스템 밀봉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플러그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1443A (en) * 1975-06-20 1976-12-25 Tokico Ltd Ring seal
JPS5211427A (en) * 1975-07-18 1977-01-28 Tokico Ltd Control valve
US4685611A (en) * 1986-11-26 1987-08-11 Keystone International, Inc. Butterfly valve construction having a composite seat
JP2671763B2 (ja) * 1993-07-09 1997-10-29 日揮株式会社 ボールバルブ
JP2000130599A (ja) * 1998-10-26 2000-05-12 Nok Corp 密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451B1 (ko) * 2013-04-02 2014-12-03 (주)플로닉스 불소수지 라이닝이 형성된 플러그 밸브의 상부밀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319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0897B1 (ko) 회전 플러그 밸브
EP1809551B1 (en) Seal assembly for a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US4494730A (en) Plug valve with improved plastic sleeve
US4911408A (en) Seat assembly for ball valves
KR100508275B1 (ko) 패스닝 기구용 압축 기체 캐니스터와 중간 밀폐부에 끼워넣기 위한 어댑터 캡
EP0589684A1 (en) Sealings rings and sealed assemblies
JPH05272693A (ja) 自己換気型ドレン弁
KR200165235Y1 (ko) 플러그밸브
KR830002827B1 (ko) 혼합밸브
US5149055A (en) Shut-off valve
SK287899B6 (sk) Bushing arrangement for protecting seal cavity of rotary fluid equipment
US5377643A (en) Cylinder head sealing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465097A (en) Coupling
US7726506B2 (en) Container closure and closure lid for said container closure
KR20050109053A (ko) 볼 밸브
EP3822533B1 (en) Housing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housing device
DE60017142D1 (de) Dichtungsanordnung und dichtungselement dafür
EP1530002B1 (en) Valve for containers of pressurized fluids with dirt blocking device
EP0087824B1 (en) Plug valve
US5839717A (en) Valve with improved shaft retainer
JP4386414B2 (ja) 開閉弁
AU2011204925C1 (en) Ventil
KR200325295Y1 (ko) 밸브
CA1185951A (en) Rotary plug valve
KR900007571Y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