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060Y1 - A straight pipe for transferring ready mixed concrete - Google Patents

A straight pipe for transferring ready mixed concre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060Y1
KR200165060Y1 KR2019990014232U KR19990014232U KR200165060Y1 KR 200165060 Y1 KR200165060 Y1 KR 200165060Y1 KR 2019990014232 U KR2019990014232 U KR 2019990014232U KR 19990014232 U KR19990014232 U KR 19990014232U KR 200165060 Y1 KR200165060 Y1 KR 200165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portion
concrete
uncured concrete
convey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2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규
Original Assignee
김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규 filed Critical 김창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060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각종 공사현장에서 구조물공사시에 미경화콘크리트 타설이 요구되는 작업위치로 미경화콘크리트를 이송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특히 미경화콘크리트의 이송시 관체부 내를 통과하는 골재에 의하여 집중적인 충격이나 마찰을 받아 관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의 단면형상으로 그 내주면(13)이 평활하게 성형되어서 미경화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통로(14)를 가진 관체부(11)와, 상기 관체부(11)의 양측 끝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12)로 구성되는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에 있어서, 상기 관체부(11)의 내주면(13) 전체에 걸쳐서 소정의 두께로서 내마모성 고무재를 일체로 접착하여 덧입힌 보호고무층(15)을 형성하여서, 상기 관체부(11)의 통로(14)를 따라 이송되는 미경화콘크리트에 의한 충격이나 마찰이 관체부(11)의 내주면(13)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보호고무층(15)에서 완충되도록 함으로써, 관체부(11)의 파손을 방지하여 주도록 한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이다.This proposal is to transfer unhardened concrete to the working position where unhardened concrete i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structures at various construction sites. In particular, intensive impact is caused by aggregate passing through the pipe part during the transfer of unhardened concre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cured concrete conveying unit straight pipe for preventing damage to a tubular part due to friction,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is smoothly formed in a cylindrical cross-section to convey a passage 14 for conveying uncured concret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11 in the straight pipe unit for conveying unconsolidated concrete, comprising an excavated tubular portion 11 and a flange portion 12 protruding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tubular portion 11. (13) A passage 14 of the tubular portion 11 is formed by forming a protective rubber layer 15 which is integrally bonded to the wear-resistant rubber material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over the whole. Impact or friction due to the uncured concrete to be transported along the shock absorber in the protective rubber layer (15) without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3) of the tubular portion (11),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tubular portion (11) It is a straight pipe unit for conveying unhardened concrete.

Description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 {A Straight Pipe for Transferring Ready Mixed Concrete}Unit pipe for transfer of unhardened concrete {A Straight Pipe for Transferring Ready Mixed Concrete}

본고안은 각종 공사현장에서 구조물공사시에 미경화콘크리트 타설이 요구되는 작업위치로 미경화콘크리트를 이송할 때 사용되는 유니트직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체의 내부에 내마모성 고무재를 소정의 두께로 덧입힌 보호고무층을 형성함으로써, 미경화콘크리트의 이송시 관체의 내부를 통과하는 골재로 인한 집중적인 충격이나 마찰을 보호고무층이 완화시켜 주어서 관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에 관한 것이다.This proposal relates to a unit pipe used for transferring uncured concrete to a work position where uncured concrete i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structures at various construction sites, and in particular, abrasion-resistant rubber material is added to the inside of the tub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By forming a coated protective rubber layer, the protective rubber layer mitigates the intensive impact or friction caused by the aggregates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pipe during transfer of the uncured concrete. It is about.

이하에서 사용되는 '미경화콘크리트 펌핑장치'라 함은 이송장치를 차량의 부움대에 장착하여 미경화콘크리트를 펌핑시키는 장치가 장착된 차량장착식(일명 콘크리트 펌프카)의 형태와, 가설된 콘크리트의 이송장치에 차량견인식에 의한 독립적인 별도의 펌핑장치등을 총괄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미경화콘크리트 펌핑장치는 고층건축물이나 구조물등의 시공시에 미경화콘크리트의 타설이 요구되는 장소로 간편하게 이송시켜 주기 위하여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 term 'uncured concrete pumping device' used below refers to a vehicle mounted type (also called a concrete pump car) equipped with a device for pumping uncured concrete by mounting a conveying device to a buoyancy of a vehicle, and Independently referred to as a separate pumping device, such as by the vehicle towing conveying device, such an uncured concrete pumping device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a place that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uncured concrete during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or structures There is a trend that is being widely used to give.

상기의 미경화콘크리트 펌핑장치는 혼합된 미경화콘크리트를 가압시켜 공급하여 주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유니트직관들과 유니트곡관들을 소요길이 만큼 연결 조립하여서 된 이송부로서 미경화콘크리트의 타설이 요구되는 작업장의 위치로 이송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above uncured concrete pumping device is a supply part for pressurizing and supplying the mixed uncured concrete, and a transfer part which is assembled by assembling the unit straight pipes and the unit bent pipes from the supply part as long as necessary, and requires the pouring of uncured concrete It is configured to be transferred and supplied to the position of.

이러한 미경화콘크리트 펌핑장치는 미경화콘크리트를 먼거리나 높은 층고에 도달시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가압 공급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때 미경화콘크리트의 이송을 위하여 연결 조립되는 유니트직관이나 유니트곡관은 상당한 토출압으로 통과하면서 이송되는 미경화콘크리트에 의하여 반복적인 충격을 받게 된다.The uncured concrete pumping device needs to be sufficiently pressurized in order to reach the uncured concrete at a long distance or a high floor height, and the unit straight pipe or unit bent pipe which is connected and assembled for the transfer of the uncured concrete passes through a considerable discharge pressure. It is repeatedly impacted by the uncured concrete being transported.

따라서,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은, 일반적인 유체 이송관과는 다른 구조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제작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즉, 일반적인 유체 이송관은 내부를 통하여 이송되는 액체나 기체 등이 유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그 액체나 기체의 통과시에 별다른 충격이나 마찰을 일으킴이 없이 이송되며, 이러한 유체 이송관은 단지 액체나 기체가 통과시에 발생되는 내압에 대응하는 정도의 설계 단면적을 가지도록 제작되어지면 그것으로 구조적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straight pipe for conveying unhardened concrete needs to be manufactured in consideration of structural aspects different from the general fluid conveying pipe. That is, in general, the fluid transfer pipe is transported without causing any impact or friction when the liquid or gas is passed through the liquid or gas. When designed to have a design cross-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generated at the time of passage, it can maintain the structural strength.

그러나, 상기의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에 있어서는 내부를 통과하는 물질이 자갈, 쇄석재, 모래, 시멘트 및 물등으로 혼합된 미경화콘크리트의 혼합물로써 미경화콘크리트내에 포함되어 있는 단단한 경도를 가진 골재, 특히 자갈이나 쇄석재에 의한 반복적인 충격 및 마찰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제작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uncured concrete conveying unit straight pipe, the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inside is a mixture of unhardened concrete mixed with gravel, crushed stone, sand, cement and water, etc. In particular, there was a need to be manufactured as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damage due to repeated impact and friction caused by gravel or crushed stone.

이전의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을 위한 유니트직관(1)은 도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단면형상으로서 그 내주면(4)이 평활하게 성형되어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을 위한 통로(5)를 가지는 관체부(2)와, 상기 관체부(2) 양측 끝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3)로서 구성되어 클램프(6)에 의하여 이웃하는 유니트직관들과 유니트곡관간에 연결조립되어 사용되었다.Previously, the unit pipe 1 for conveying uncured concrete has a cylindrical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The body part 2 and the flange part 3 protruding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pipe part 2 are used to connect and assemble between adjacent unit straight pipes and the unit bent pipe by the clamp 6.

이러한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1)을 통한 미경화콘크리트의 이송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미경화콘크리트 펌핑장치의 공급부로부터 가압 공급되는 미경화콘크리트가 상당한 토출압력으로 유니트직관(1)을 통과하게 된다.In detail describing the transfer process of the uncured concrete through the unit pipe (1) for conveying the uncured concrete, the uncured concrete that is pressurized and supplied from the supply portion of the uncured concrete pumping unit Will pass.

이때, 미경화콘크리트에 혼합된 골재, 특히 자갈 및 쇄석재가 좌충우돌하면서 관체부를 타격하면서 진행하게 되고, 그 미경화콘크리트에 혼합된 모래는 관체부(2)와 마찰되어 관체부 내주면을 마모시키면서 이송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ggregate, especially gravel and crushed stone mixed with the unhardened concrete, bumps into the tubular portion while rubbing, and the sand mixed with the uncured concrete is rubbed with the tubular portion 2 to transpor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The process is repeated.

이러한 과정에서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1)은 도1b 및 도1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송되는 미경화콘크리트에 포함된 자갈이나 쇄석재 및 모래의 충격 및 마찰에 대응하는 직관 자체의 구조가 근본적으로 취약하여,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골재의 충격에 의하여 관체부(2)의 취약한 어느 일부분에 마모된 부분이 발생되고, 계속적인 충격이나 마찰로 인하여 그 마모된 부분이 확대되면서 결국에는 미경화콘크리트의 이송도중에 관체부가 파열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unit pipe 1 for conveying unhardened concrete has a structure of a straight pipe corresponding to the impact and friction of gravel or crushed stone and sand included in the uncured concrete to be conveyed, as shown in FIGS. 1B and 1C. Is fundamentally vulnerable, causing a worn portion to any vulnerable portion of the tubular portion 2 due to the impact of aggregates repeatedly applied, and eventually uncured as the worn portion expands due to continuous impact or friction. The pipe ruptures during the transport of concret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은,Therefore, the conventional straight tube for conveying uncured concrete,

첫째, 미경화콘크리트가 관체부(2)내를 통과하면서 골재에 의하여 반복적인 충격이나 마찰을 받게 됨으로써 그 관체부(2)가 쉽게 파열되어서 수명이 단축되어지는 문제점과,First, the uncured concrete is subjected to repeated impact or friction by the aggregate while passing through the tubular portion 2, and the tubular portion 2 is easily ruptured to shorten the life,

둘째, 미경화콘크리트의 이송을 위한 작업과정에서 관체부(2)에 파열부위가 발생되어 그 파열부위를 통하여 미경화콘크리트가 상당한 토출압으로 유출됨으로써 미경화콘크리트내에 포함되어 있는 골재가 튀어 나가 인명피해를 주게 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초래하는 문제점과,Second,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uncured concrete, a rupture part is generated in the tubular part 2, and the uncured concrete flows out at a considerable discharge pressure through the rupture part, so that the aggregate contained in the uncured concrete pops out. Problems that caus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셋째, 미경화콘크리트의 이송도중에 관체부(2) 파열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작업시작 전에 관체부(2)를 두드리는 점검작업을 실시하는 세심한 주의와 관찰등을 함으로써 교환이나 보수등의 예방조치가 요구되었으며,Third,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ue to rupture of the pipe part 2 during the transfer of unhardened concrete, it is necessary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pipe parts 2 before the start of work and to perform replacement or maintenance. Preventive measures were required,

넷째, 미경화콘크리트의 이송도중에 관체부(2)가 파열된 유니트직관(1)을 교환함에 따른 번거로움과 함께 전체 작업공정의 진행을 방해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유니트직관 사용상의 유용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결점을 수반하게 되었다.Fourth, the us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use of the unit intuition due to the trouble that the pipe part 2 replaces the ruptured unit tube 1 during the transfer of the uncured concrete and interferes with the progress of the entire work process. This deterioration came with the drawback.

한편, 관체의 산업분야에서는 관체의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관체의 내주면에 코팅막을 형성하는 기술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dustrial field of the tubular body, a technique for forming a coating film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durability of the tubular body has been steadily developed.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중의 하나로서 1995년 국내 특허공보 제4098호에 게재된 공고번호 제95-9558호의 내용중에 튜브의 내주면에 코팅막을 형성하여서 된 코팅튜브가 개시되어 있다. 이 코팅튜브(7)는 도2의 도시와 같이,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서 가요성을 가지는 튜브(7a)와, 그 튜브(7a)의 내주면에 테플론이라 불리우는 불소수지를 코팅하여서 형성된 코팅막(7b)으로 구성된다.As one of the related arts, a coating tube is disclosed in which a coating film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tube in the contents of Publication No. 95-9558 publish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4098 in 1995. As shown in Fig. 2, the coating tube 7 is made of soft plastic and has a flexible tube 7a, and a coating film 7b formed by coating a fluorine resin called Tefl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7a. It consists of

이와같이 구성되어 상기 선출원 기술에서 적용되는 코팅튜브(7)의 내부에는 액체가 통과하며, 통과하는 액체의 량을 제어하기 위한 액체조절용 전자밸브의 일 작동부재인 와이어(8)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코팅튜브(7)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8)는 상하왕복이동하면서 액체조절용 전자밸브의 일 작동부재로서 이용되는데 이러한 와이어(8)는 왕복이동할 때 코팅튜브(7)의 내주면과 반복적으로 마찰된 다.In this way, the liquid passes through the coating tube 7 applied in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technology, and a wire 8, which is one operating member of the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liquid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liquid passing therethrough, is installed. In the above, the wire 8 installed inside the coating tube 7 is used as one operation member of the solenoid valve for liquid adjustment while moving up and down, and the wire 8 is repeat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ating tube 7 when reciprocating. Rubbed All.

이때, 상기 코팅튜브(7)는 그 내주면에 코팅된 불소수지 코팅막(7b)이 와이어(8)의 원활한 미끄럼이동을 유도하여 주어서 와이어(8)의 마모를 방지하여 준다. 즉, 상기한 코팅튜브(7)는 그 내주면에 형성되는 코팅막(7b)의 재료료서 윤활성이 강한 불소수지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그 코팅막(7b)과 반복적으로 마찰되는 와이어(8)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한 코팅튜브(7)는 그 내부에 액체를 통과시키고, 와이어를 보호하여 주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coating tube 7 prevents abrasion of the wire 8 by inducing a smooth sliding movement of the wire 8 by the fluorine resin coating film 7b co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at is, since the coating tube 7 is made of a material of the coating film 7b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ating film 7b and has a strong lubrication property, the wire 8 repeatedly rubbed with the coating film 7b is worn out. Prevent it. Therefore, the coating tube 7 performs a role of passing the liquid therein and protecting the wire.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코팅튜브는 유동성 액체를 통과시키고 와이어의 미끄럼이동을 안내하여 주는 관체로서의 역할에서는 나름대로 큰 효과를 볼 수 있으나, 그 관체가 가요성 튜브로서 제작되기 때문에 일정한 형태가 요구되는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으로 전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ating tube can have a great effect in its role as a tube that passes the fluid liquid and guide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wire. Not suitable for use as a unit pipe for conveying concrete.

한편으로 상기 코팅튜브의 불소수지 코팅막에 착안하여 미경화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유니트직관의 내주면에 불소수지 코팅막을 형성한다면 관체의 파손이 방지될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fluorine resin coating film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pipe for conveying the uncured concrete by paying attention to the fluorine resin coating film of the coating tube, it may be considered that breakage of the tubular body will be prevented.

하지만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에서 상기와 같이 얇은 불소수지 코팅막만 형성하여서는 미경화콘크리트가 통과하면서 관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뾰족한 쇄석재, 모래등의 접촉으로 인해 코팅막이 금방 벗겨지게 되어서 실 사용상 별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다.However, if only the thin fluorine resin coating film is formed in the straight pipe of the uncured concrete conveying unit, it is not able to buffer the impact on the pipe while the uncured concrete passes, and also the coating film due to the contact with sharp crushed stone and sand. This peels off quickly, so you can't expect any effect from the use of the thread.

즉,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에서 불소수지가 코팅된 관체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과 별다른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ipe body coated with the fluorine resin in the straight pipe of the uncured concrete conveyance cannot expect a different effect from the conventional straight pipe of the uncured concrete conveyance described above.

또한,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에서 상기와 같은 불소수지를 두껍게 덧입혀서 사용한다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해소될 것이란 가정도 해 볼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assumed that the above problems will be solved if the above-mentioned fluorine resin is thickly coated in the straight pipe unit for uncured concrete.

그러나 테플론 등의 불소수지는 윤활성 및 절연성이 탁월하기 때문에 각종의 베어링부재 또는 절연재로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나, 여타 부재들에 비하여 그 부재가격이 대단히 높기 때문에 다른 곳에는 극히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할 때에 불소수지를 두껍게 덧입혀서 미경화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관체의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경제적인 여건상 현실적으로 어렵다.However, fluorine resins such as Teflon are suitable for use as various bearing members or insulating materials because of excellent lubricity and insulation, but are extremely limited in other places because of their high price. Considering this point, it is practically difficult in terms of economic conditions to use the pipe for conveying uncured concrete by thickly coating fluorine resin.

더욱이 윤활성이 강한 불소수지를 딱딱한 관체의 내주면에 일체로 두껍게 부착시키기에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상호 부착시키더라도 그 관체를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으로 적용하면, 미경화콘크리트의 이송도중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으로 인해 관체와 불소수지의 접합면에서 재료분리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Furthermore, it is not only technically difficult to attach the lubricating fluorine resin thickl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rigid tube, but also when the tube is applied as a unit pipe for uncured concrete, even when attached to each other, Due to the continuous shock and vibration, material separation occurs at the junction between the tube and the fluorocarbon resin.

따라서, 상기와 같이 딱딱한 강도를 갖는 관체의 내주면에 불소수지를 두껍게 덧입혀서 미경화콘크리트 유니트직관으로서 사용하기에는 경제적, 기술적인 측면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실제적으로 어려우며 여러 문제점에 마주치게 된다.Therefore, it is practically difficult without solving the economical and technical aspects to use as an uncured concrete unit pipe by thickly coating a fluorine resi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tube having rigid strength as described above, and encounters various problems.

이에 따라 본고안의 목적은 유니트직관의 관체 내부를 미경화콘크리트가 통과할때에 미경화콘크리트내에 포함되어 있는 골재에 의하여 반복적이며, 집중적인 충격 또는 마찰로부터 관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면서, 경제적,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현실적으로 이용가능하도록 관체의 내부에 내마모성 고무재를 소정의 두께로 덧입힌 보호고무층을 형성함으로써,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economical and technical protection against repeated and concentrated impact or friction by aggregate contained in unhardened concrete when uncured concrete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pipe of the unit. By forming a protective rubber layer coated with a wear-resistant rubber material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inside of the tubular body to be practically available in terms of phosphorus,

첫째, 보호고무층이 미경화콘크리트의 골재에 의한 충격이나 마찰을 완충시켜 주어 관체의 파손됨을 방지하여서 관체의 내구성을 증진시켜 주며,First, the protective rubber layer cushions the impact or friction caused by the aggregate of unhardened concret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pipe,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ipe.

둘째, 보호고무층의 마멸상태에 대한 점검이 용이하고, 그 보호고무층의 보수 또는 교환이 용이하여 계속적으로 사용가능케 하여서 유니트직관의 전체적인 수명을 연장시켜 주며,Second, it is easy to check the abrasion state of the protective rubber layer, and it is easy to repair or replace the protective rubber layer so that it can be used continuously to extend the overall life of the unit intuition.

셋째, 상기 관체부의 파손에 의한 교환이나 보수에 따른 번거로움이나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주어서 유니트직관 사용상의 유용성 및 신뢰성을 제고하여 주는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을 제공하는데 있다.Third, to provide a unit pipe for conveying uncured concrete to improve the us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use of the unit pipe by reducing the hassle or maintenance costs due to replacement or repair due to breakage of the pipe portion.

도1a, 도1b 및 도1c는 종래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1a는 미경화콘크리트의 이송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1b 및 도1c는 미경화콘크리트의 이송도중에 관체가 파열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측단면도Figure 1a, Figure 1b and Figure 1c shows a unit pipe for conveying the conventional hardened concrete, Figure 1a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ransfer state of the uncured concrete, Figures 1b and 1c is a pipe rupture during the transfer of the uncured concrete One side view showing state

도2는 종래 액체조절용 코팅튜브가 적용되는 기술을 나타내는 예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echnique in which the conventional coating liquid control tube is applied

도3a는 본고안에 따른 유니트직관을 나타낸 정단면도Figure 3a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unit intu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proposal

도3b는 도3a도의 A-A선 단면도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A

도4는 본고안에 따른 유니트직관 상호간의 연결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Figure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assembly state between the unit intu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proposal

도5는 본고안 유니트직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Figure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nit intu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Code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직관 2:관체부 3:플랜지부1: intuitive 2: pipe 3: flange

4:내주면 5:통로 6:클램프4: inner side 5: passage 6: clamp

7:코팅튜브 7a:튜브 7b:코팅막7: Coating tube 7a: Tube 7b: Coating film

8:와이어 10:유니트직관 11:관체부8: Wire 10: Unit intuitive 11: Conduit

12:플랜지부 13:내주면 14:통로12: Flange part 13: Inner side 14: Pathway

15:보호고무층 16:클램프15: Protective rubber layer 16: Clamp

이하, 본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본고안은 도3a 및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단면형상으로 그 내주면(13)이 평활하게 성형되어서 미경화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통로(14)를 가진 관체부(11)와, 상기 관체부(11)의 양측 끝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12)로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과 기술적 개념을 같이한다.3A and 3B, the inner body 13 of the cylindrical cross-sectional shape is smoothly formed, as shown in Figures 3a and 3b, and the tubular portion 11 having a passage 14 for conveying uncured concrete; In terms of the flange portion 12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tubular portion 11, the technical concept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straight pipe for uncured concrete transfer.

다만, 본고안의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10)은, 상기 관체부(11)의 내주면(13) 전체에 걸쳐서 소정의 두께로서 내마모성 고무재를 일체로 접착하여 덧입힌 보호고무층(15)을 형성하여서, 상기 관체부(11)의 통로(14)를 따라 이송되는 미경화콘크리트에 의한 충격이나 마찰이 관체부(11)의 내주면(13)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보호고무층(15)에서 완충되도록 함으로써, 관체부(11)의 파손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However, the straight pipe 10 for conveying the uncured concre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rubber layer 15 which is integrally bonded to the wear-resistant rubber material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over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of the tubular portion 11. And the impact or friction caused by the uncured concrete conveyed along the passage 14 of the tubular portion 11 is not transmitted directl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of the tubular portion 11 but is buffered in the protective rubber layer 15. In order to prevent damage of the tubular part 11, it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structure.

상기 관체부(11)는 통상적으로 금속재로 만들어지며, 원통형상의 단면형상으로서 그 내주면(13)이 평활하게 형성되어 통로(14)를 이루도록 하여서, 그 관체부(11)의 통로(14)를 따라 통과되는 미경화콘크리트를 이송하여 주도록 한다.The tubular portion 11 is usually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has a cylindrical cross-sectional shape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is smoothly formed to form the passage 14, along the passage 14 of the tubular portion 11. Transfer uncured concrete to pass.

상기 플랜지부(12)는 관체부(11) 양끝단부 외면에 일체로서 그 관체부(11)보다 큰 직경으로 돌출되어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클램프(16)에 의하여 유니트직관(10) 상호간이나 유니트곡관과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lange portion 1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both end portions of the tube portion 11 so as to protrude to a larger diameter than the tube portion 11 so as to have a constant thickness, so that the unit straight pipe 10 is mutually connected by the clamp 16. It also performs a function that enables connection with a unit pipe.

상기 보호고무층(15)은 미경화콘크리트 통과시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고 쇄석재, 모래등의 마찰로 인한 마모등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정도의 내구성과 내마모성의 갖는 고무재질로서, 관체부(11)의 내주면(13) 전체에 걸쳐서 일체로서 접합형성된다. 이때 보호고무층은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하여서 완충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ective rubber layer 15 is a rubber material having durability and abrasion resistance to the extent that can absorb and mitigate the shock when passing through the uncured concrete, and can sufficiently cope with abrasion due to friction of crushed stone, sand, etc., the tube portion 11 Is formed integrally over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At this time, the protective rubber layer is preferably to have a thick thickness to increase the buffer strength.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은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압 공급되는 미경화콘크리트 통과시의 충격이나 마찰에 그대로 노출되어져서 관체부(11)가 쉽게 파손되는 이전의 유니트직관과는 달리, 미경화콘크리트 통과시 마찰되는 관체부의 내주면(13)에 충격흡수성과 내마모성이 높은 고무재로서 보호고무층(15)을 형성하여서, 관체부(11)가 미경화콘크리트의 통과시 골재에 의한 충격이나 마찰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내구성이 부여됨으로써, 유니트직관(10)이 쉽게 파손됨이 없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Unlike the previous unit straight pipe which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4, the tubular portion 11 is easily damaged by being exposed to the impact or friction when passing through the uncured concrete that is pressurized. The protective rubber layer 15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of the tubular portion that is rubbed upon passing of the uncured concrete, and the rubber portion 15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having high impact absorption and abrasion resistance. By providing durability that can sufficiently cope with fric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extending the life by preventing the unit straight pipe 10 is not easily broken.

한편, 본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관체부(11)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통로(14)로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내주면(13)에 보호고무층(15)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부(11)의 통로(14)는 어느 일측의 직경은 작게 형성하되 그 일측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면서 점차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통로(14)의 내주면(13)에 보호고무층(15)을 형성하여서 된 테이퍼진 유니트직관(10)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ular portion 11 is formed by forming the protective rubber layer 15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extending horizontally as a passage 14 having a constant diameter as a whole. As shown in FIG. 5, the passage 14 of the tubular portion 11 has a smaller diameter on one side but extends longer from one side and gradually increases in diameter, and thu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of the passage 14. It turns out that it can also be used for the tapered unit piping 10 formed by forming the protective rubber layer 15 in.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고안의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유니트직관은 경제적, 기술적인 측면에서 현실적으로 이용가능하도록 관체부의 내주면을 보호고무층으로서 감싸지도록 형성하여서, 미경화콘크리트가 관체부내를 통과할 때에 골재에 의한 집중적인 충격이나 마모로부터 관체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The uncured concrete conveying unit straight pipe constructed and implemented in this manner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as a protective rubber layer so as to be practically available from an economical and technical aspect, so that the uncured concrete passes through the tubular portion. By protecting the tubular part from intensive shock and wear caused by

첫째, 미경화콘크리트 통과시에 발생되는 골재의 집중적인 충격이나 마찰로부터 관체부를 확실하게 보호하여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며,First, it protects the pipe part reliably from the intensive impact or friction of aggregate generated when passing unhardened concrete, and prevents it from being easily broken.

둘째, 관체부의 내주면 전체에 보호고무층을 형성하여 관체부의 내구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유니트직관의 전체 수명을 연장시켜 주며,Second, the protective rubber layer is formed on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pipe, thereby extending the overall life of the unit pipe.

셋째, 관체부를 보호하는 보호고무층이 마멸되면 그 마멸된 부위를 점검하기가 용이하여 해당부분의 보호고무층만을 보수 교환하여 계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주는 등의 효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Third, when the protective rubber layer protecting the tubular part is worn out, it is easy to check the worn part, and it is a useful design having the effect of allowing the continuous use of the protective rubber layer of the corresponding part.

Claims (1)

원통형의 단면형상으로 그 내주면(13)이 평활하게 성형되어서 미경화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통로(14)를 가진 관체부(11)와, 상기 관체부(11)의 양측 끝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12)로 구성되는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에 있어서, 상기 관체부(11)의 내주면(13) 전체에 걸쳐서 소정의 두께로서 내마모성 고무재를 일체로 접착하여 덧입힌 보호고무층(15)을 형성하여서, 상기 관체부(11)의 통로(14)를 따라 이송되는 미경화콘크리트에 의한 충격이나 마찰이 관체부(11)의 내주면(13)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보호고무층(15)에서 완충되도록 함으로써, 관체부(11)의 파손을 방지하여 주도록 한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직관.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of the cylindrical cross-sectional shape is smoothly formed to form a tubular portion 11 having a passage 14 for conveying uncured concrete, and protrude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tubular portion 11. In the unit pipe for the uncured concrete conveyance unit consisting of a flange portion 12, the protective rubber layer coated by integrally bonding the wear-resistant rubber material as a predetermined thickness over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of the tubular portion 11 ( 15 to form a protective rubber layer 15 without impact or friction due to the uncured concrete conveyed along the passage 14 of the tubular portion 11 directl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of the tubular portion 11. In order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tubular part (11), the unit pipe for uncured concrete conveyance to prevent the breakage.
KR2019990014232U 1996-09-16 1999-07-19 A straight pipe for transferring ready mixed concrete KR200165060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387U KR19980016094U (en) 1996-09-16 1996-09-16 Unit pipe for transfer of unhardened concret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387U Division KR19980016094U (en) 1996-09-16 1996-09-16 Unit pipe for transfer of unhardened concre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060Y1 true KR200165060Y1 (en) 2000-02-15

Family

ID=194668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387U KR19980016094U (en) 1996-09-16 1996-09-16 Unit pipe for transfer of unhardened concrete
KR2019990014232U KR200165060Y1 (en) 1996-09-16 1999-07-19 A straight pipe for transferring ready mixed concret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387U KR19980016094U (en) 1996-09-16 1996-09-16 Unit pipe for transfer of unhardened concre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16094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8268A (en) * 2019-01-15 2019-04-05 湖南新达力管业有限公司 A kind of pump 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94U (en)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5311B2 (en) Device for limiting the bending radius of a flexible duct
US7967031B2 (en) Delivery pipe for the transport of solids
US9885448B2 (en) Rubber polyurethane liner
EP0396451B1 (en) Swivel joint
WO2006101320A1 (en) Tip connecting apparatus for concrete discharge hose in a concrete pump car
JP3516711B2 (en) Flexible tube having means for early visual detection of dysfunction and end flange
CN107687558B (en) Combined buckle arrestor for submarine fiber reinforced composite flexible pipe
KR200165060Y1 (en) A straight pipe for transferring ready mixed concrete
CA2133250A1 (en) Device for conveying thick substances containing a great deal of solid material
CN101660635B (en) Conveying pipe, concrete conveying machine
KR0140398Y1 (en) Curved unit pipe for delivering concrete
EP0050390B1 (en) Flexible tube for conveying a mixture of a liquid and a solid material
CN105299370B (en) Concrete conveying pipe and concrete pumping equipment
KR102129596B1 (en) Apparatus for absorbing pressure above peak value upon concrete pumping
JPH0535118Y2 (en)
KR20190108931A (en) Elbow assembly for concrete pump car
CN217130683U (en) Material conveying elbow pipe
JP2007146996A (en) Wear resistant hose
NL2009136C2 (en) A wear resistant and flexible hose.
JPS5821976Y2 (en) Sleeve hose for dredging
SU1740849A1 (en) Hose
KR100394478B1 (en) Reinforcement method for basalt tube and its expedient
CN205781694U (en) Flexible joint protection device
RU2018765C1 (en) Compensator for pipe line
JP2004204982A (en) Inner face coated-steel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3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