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797Y1 -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797Y1
KR200164797Y1 KR2019970024235U KR19970024235U KR200164797Y1 KR 200164797 Y1 KR200164797 Y1 KR 200164797Y1 KR 2019970024235 U KR2019970024235 U KR 2019970024235U KR 19970024235 U KR19970024235 U KR 19970024235U KR 200164797 Y1 KR200164797 Y1 KR 200164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door
refrigerator
accommodated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905U (ko
Inventor
조병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4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797Y1/ko
Publication of KR199900109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9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7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에 병이나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한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와, 상기 냉장실의 개폐를 이루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아로 이루어진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아의 내측부에는 상기 도아선반에 수납되는 큰 병류가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안착되도록 소정깊이를 갖는 다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아선반의 상단부에는 도아선반에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수납된 큰 병류가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된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아선반에 큰 병류를 수납시 도아선반의 상측 여유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도 큰 병류가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수납되도록 하므로써 도아선반에 보다 편리하게 큰 병류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
본 고안은 병이나 캔류를 수납하기 위한 냉장고용 도아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아선반의 상측 여유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도 큰병이나 캔을 용이하게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용 도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2)과 냉동실(3)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1)와, 상기 냉장실(2)의 개폐를 이루도록 상기 본체(1)의 일측으로 힌지결합되는 도아(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아(4)는 내측부의 최상부로 계란을 수납하기 위하여 적절한 점유체적을 갖는 계란꽂이선반(5)이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도아(4)의 하부에는 큰 병류 또는 음식물이나 음료가 들어 있는 부피가 큰 용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적정한 점유체적을 갖는 병꽂이선반(7)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병꽂이선반(7)과 계란꽂이선반(5) 사이에는 작은 병이나 식품등을 수납하기 위한 다용도선반(6)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도아선반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도아(4)를 열어 각각의 선반(5),(6),(7)에 음식물이나 병류 및 식품을 적절하게 수납한 후, 다시 도아(4)를 닫고 필요시 마다 도아(4)를 오픈하여 음식물 및 음료등을 취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병꽂이선반(7)에는 음식물이나 음료가 들어 있는 큰 병류 또는 용기를 수납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상기 병꽂이선반(7)은 큰 병류나 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한정되어 있다.
그리고, 다용도선반(6)에는 상측의 여유가 부족하여 길이가 큰 병류는 수납할 수 없고, 병꽂이선반(7)에는 큰 병류를 수납할 수 있으나 상,하로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사용시 불편함이 많았다.
즉, 상기 병꽂이선반은 수납공간과 형상이 일정하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아선반의 상측 여유공간이 부족할 경우 큰 병이나 용기를 상,하로 수납하지 못하고 눕혀서 수납하므로써 사용상에 불편함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아선반에 큰 병류를 수납시 도아선반의 상측 여유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도 큰 병류를 도아선반에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수납하여 보다 편리하게 큰 병류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도아선반이 장착된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도아선반이 장착된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가"부분에서 본, 본 고안에 의한 도아선반의 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의 요부단면도
도 4는 "가"부분에서 본, 본 고안에 의한 도아선반의 구조를 도시한 타실시예의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냉장고 11:본체
12:넹장실 13:냉동실
20:도아 21:내측부
22:안착홈 30:도아선반
34:상단부 35:고정홈
36:수납면 37:수납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와, 상기 냉장실의 개폐를 이루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아로 이루어진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아의 내측부에는 상기 도아선반에 수납되는 큰 병류가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안착되도록 소정깊이를 갖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아선반의 상단부에는 도아선반에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수납된 병류가 고정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에 의하면, 도아선반에 큰병류를 수납시 도아선반의 상측 여유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도 큰 병류가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수납되도록 하므로써 도아선반에 보다 편리하게 큰 병류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인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에 대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도아선반이 장착된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가"부분에서 본, 본 고안에 의한 도아선반의 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있어서, (10)은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형성시킴과 동시에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11)와, 상기 냉장실(12)의 개폐를 이루도록 상기 본체(11)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아(20)로 이루어진 냉장고로써, 상기 도아(20)의 내측부(21)에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나 음료가 들어 있는 병이나 용기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점유 체적을 갖는 다단의 도아선반(30)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아선반(30)은 최상부에 계란을 수납하기 위한 계란꽂이선반(31)과, 하부에 큰 병이나 작은 병을 수납하기 위한 병꽂이선반(33) 및 작은 병이나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다용도선반(32)으로 구분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아선반(30)의 상단부(34)에는 도아선반(30)에 수납되는 큰 병류가 지지되도록 다수개의 고정홈(3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도아선반(30)에 수납되는 큰 병류가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안착되도록 상기 상기 도아(20)의 내측부(21)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다수개의 안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도아(20)의 내측부(21)에 형성된 안착홈(22)과 도아선반(30)의 상단부(34)에 형성된 고정홈(35)에 큰 병류가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수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장고의 도아(20)를 열고 도아(20)의 내측부(21)에 구비된 도아선반(30)에 음식물이나 기타 식품 및 음료가 들어 있는 큰 병이나 용기를 수납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도아선반(30)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도아선반(30)에 음식룸이나 식품 및 큰병이나 용기를 적절하게 수납한 후 도아(20)를 닫고, 필요시 마다 도아(20)를 열어 도아선반(30)에 수납되어 있는 음식물이나 식품을 취득하게 된다.
한편, 도아선반(30)에 큰 병류를 수납시 도아선반(30)의 상측 여유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는 큰 병류를 도아선반(30)에 기울려서 수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도아(20)의 내측부(21)에 형성된 안착홈(22)에 큰 병류의 하측면이 안착되면서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도아선반(30)의 상단부(34)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도아선반(30)의 상단부(34)에 지지되는 큰 병류는 도아선반(30)의 상단부(34)에 형성된 고정홈(35)에 안착되어 도아선반(30)에 수납된 병류가 유동됨이 없이 일정한 상태로 도아선반(30)에 수납되는 것이다.
또, 상기 도아선반(30)의 상단부(34)로 형성돤 고정홈(35)과 상기 도아(20)의 내측부(21)로 형성된 안착홈(22)은 도아선반(30)에 수납되는 큰 병류가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수납되도로 한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도아선반(30)의 상측 여유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도 큰 병류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 병류가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수납되어 있으므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큰 병류를 취득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도아선반의 타실시예을 보인 것으로서, 도 4는 "가"부분에서 본, 본 고안에 의한 도아선반의 구조를 도시한 타실시예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상기 도아선반(30)의 수납면(36)으로는 도아선반(30)에 수납된 큰 병류가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수납되도록 소정깊이를 갖는 다수개의 수납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타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인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동일한 작용효과는 반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도아선반(30)의 수납면(36)으로 형성된 수납홈(37)에 안착되도록 큰 병류를 수납하게 되면, 상기 수납홈(37)에 큰 병류가 안착되면서 큰 병류가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도아선반(30)의 상단부(34)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아선반(30)의 상단부(34)에 접촉한 큰 병류는 도아선반(30)의 상단부(34)에 형성된 고정홈(35)에 안착되어 유동됨이 없이 도아선반(30)에 수납되어 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도아선반(30)의 상측 여유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도 도아선반(30)에 수납되는 큰 병류가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수납되므로써 보다 편리하게 도아선반(30)에 큰 병류를 수납하여 보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아선반에 큰 병류를 수납시 도아선반의 상측 여유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도 큰 병류가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수납되도록 하므로써 도아선반에 보다 편리하게 큰 병류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냉장실(12)과 냉동실(13)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11)와, 상기 냉장실(12)의 개폐를 이루도록 상기 본체(11)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아(20)로 이루어진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아(20)의 내측부(21)에는 상기 도아선반(30)에 수납되는 큰 병류가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안착되도록 소정깊이를 갖는 다수개의 안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도아선반(30)의 상단부(34)에는 도아선반(30)에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수납된 큰 병류가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고정홈(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아선반(30)의 수납면(36)으로는 상기 도아선반(30)에 수납되는 병이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안착되도록 소정깊이를 갖는 다수개의 수납홈(3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아선반(30)의 고정홈(35)과 상기 도아(20)의 내측부로(21) 형성된 안착홈(22)은 도아선반(30)에 수납되는 큰 병이 예각의 기울기를 갖고 수납되도록 한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
KR2019970024235U 1997-08-30 1997-08-30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 KR200164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235U KR200164797Y1 (ko) 1997-08-30 1997-08-30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235U KR200164797Y1 (ko) 1997-08-30 1997-08-30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905U KR19990010905U (ko) 1999-03-25
KR200164797Y1 true KR200164797Y1 (ko) 2000-01-15

Family

ID=1950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235U KR200164797Y1 (ko) 1997-08-30 1997-08-30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7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905U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449B2 (en) Multi-functional beverage storage rack for a refrigerator
US8608263B2 (en) Beverage container storage and dispensing compartment for a refrigerator
US7610774B2 (en) Refrigerator door with can and bottle holder
WO2006011084A1 (en) A cooling device
KR200164797Y1 (ko)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
JP2002228352A (ja) 冷蔵庫の多機能棚
KR100233445B1 (ko) 냉장고의 병꽂이 선반
KR200165778Y1 (ko) 냉장고용 홈바도어의 구조
KR100237696B1 (ko) 냉장고의 계란꽂이 선반
KR100392397B1 (ko)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
KR200171453Y1 (ko) 냉장고의 병 가드
KR100838334B1 (ko) 냉장고의 병제품 보관장치
JPH10103852A (ja) 冷蔵庫扉の収納容器
KR19990021442A (ko)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
KR100255865B1 (ko) 냉장고
KR200165904Y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커버 구조
KR200221008Y1 (ko) 서랍이 구비된 냉장고
CA2421902C (en) Multi-functional beverage storage rack for a refrigerator
JPH09126639A (ja) 収納物転倒防止ストッパ
JPH03110375A (ja) 冷蔵庫
KR100412943B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KR200357274Y1 (ko) 냉장고용 도어선반
KR200164794Y1 (ko) 냉장고용 도아의 가변선반
KR20030040841A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KR970002756Y1 (ko) 냉장고의 물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