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618Y1 - 필름 카트리지 외부로 빠져나간 필름의 길이를 기록하고 후에그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필름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필름 카트리지 외부로 빠져나간 필름의 길이를 기록하고 후에그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필름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618Y1
KR200164618Y1 KR2019990015333U KR19990015333U KR200164618Y1 KR 200164618 Y1 KR200164618 Y1 KR 200164618Y1 KR 2019990015333 U KR2019990015333 U KR 2019990015333U KR 19990015333 U KR19990015333 U KR 19990015333U KR 200164618 Y1 KR200164618 Y1 KR 200164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rtridge
reel
rop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filed Critical 이상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60Measuring or indicating length of the used or unused film; Counting number of expos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6Holders for containing light-sensitive material and adapted to be inserted within the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1)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사진촬영용 필름 카트리지 제조분야
(2) 고안의 목적
현재 유통되고 있는 사진기용 필름은 필름 전체를 다 사용하지 않고 현상할 경우, 사용되지 않은 부분이 사용된 부분의 현상과정에서 소실되어, 사용되지 않았음에도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필름 사용자가 필름 전체를 다 사용할 때까지 현상을 미루거나, 사용하지 않은 필름 일부를 포기해야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여 사용하지 않고 남은 필름 잔량을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3) 고안의 구성
카트리지의 릴의 회전방향과 정도에 따라 필름 이동 길이를 기억하는 제어로프와 릴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어로프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장치로 구성되며, 이들은 필름 카트리지의 위, 아래 외부공간이나 카트리지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4) 고안의 효과
본 장치(고안)는 필름 카트리지에서 필름이 빠져나갔다가 릴에 되감겨 카트리지 내부로 다시 들어오는 과정이 몇차례 진행된 후, 간단한 장치조작에 의해 필름 카트리지에서 빠져나갔던 필름의 가장 긴 길이만큼만 카트리지에서 빠져나오고 그 이상은 카트리지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이를 이용하면 전체필름 중에 실제 촬영에 사용된 부분과 사용되지 않은 부분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필름 카트리지 외부로 빠져나간 필름의 길이를 기록하고 후에 그 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필름 카트리지 { film cartridge that can record the length of film which has been taken out and check it later }
기존의 필름 카트리지는 암실역할을 하는 외부몸체와 필름을 감는 릴, 그리고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단순한 구조로 릴의 회전에 의해 필름이 카트리지 내,외부로 이동하는 단순한 동작만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사진 촬영 과정에서 필름 전체를 다 소모하지 않았을 경우, 필름은 사용된 부분과 미사용된 부분으로 나누어지지만, 그 두 부분을 구분할 수가 없어 사용된 부분만을 현상하여 미사용된 부분을 재활용할 수 없다.
첫째, 필름 현상 과정에서 사용된 부분의 필름만을 현상하기 위해 필름의 사용된 부분과 미사용된 부분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사진촬영시에 사용된 부분의 길이를 기록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현상과정은 필름 특성상 시각이 차단된 상태에서 진행되므로 시각의 도움 없이도 사용된 부분의 필름과 미사용된 부분의 필름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대표도] 는 고안의 전체 구성
[도1] 은 필름 카트리지의 단면도와 가용공간 표시
[도2] 는 이동제어장치1의 측면도, 평면도
[도3] 은 이동제어장치1의 입체도
[도4] 는 이동제어장치2의 측면도, 평면도
[도5] 는 이동제어장치2의 입체도
[도6] 은 이동제어장치1의 고정부분표시
[도7] 는 이동제어장치2의 고정부분표시
[도8] 는 이동제어장치1의 설치 방향
[도9] 는 이동제어장치2의 설치 방향
[도10] 은 이동제어장치 고정구멍 위치
[도11] 은 로프 접근 차단 장치의 측면도, 평면도
[도12] 는 로프 접근 차단 장치의 위치
[도13] 은 이동제어장치 고정시 가하는 힘의 방향
[도14] 는 고안의 실시예로, 도1에서의 가용공간 1을 이용하여, 이를 이등분하여 릴에 가까운쪽을 제 2 저장공간, 먼 쪽을 제 1 저장공간으로 하고, 폭이 좁은 필름베이스(셀룰로우즈)를 제어로프로 사용한 것으로 칠이 되지 않은 부분이 제어로프를 나타내며, 편의상 로프의 길이를 짧게 하였음
1. 필름카트리지 외부로 빠져나간 필름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필름 카트리지의 전체 구성 : [대표도]
1-1. 저장공간
[도 1]에 표시된 공간중 하나를 2개의 공간으로 나누거나 [도 1]에 표시된 공간 중 두개를 각각 제 1 저장공간, 제 2 저장공간으로 사용하는데, 하나의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나눌 경우, 두 공간의 경계를 설치할 수도 있고, 설치 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설치할 경우, 제 1 저장공간은 제어로프가 모두 저장되고 이동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로 최소화시키고, 나머지 공간을 제 2 저장공간에 할당한다.
[도 1]에 표시된 공간 중 1,4 중 하나와 2,3 중 하나를 각각 제1,2저장공간으로 사용할 경우, 두 공간이 캡이나 외부몸체에 의해 차단되므로 캡이나 외부몸체에 구멍을 뚫어 제어로프가 연결되도록 한다.
1-1-1. 제 1 저장공간
제어로프가 초기(동작 전)에 저장(설치)되는 공간.
1-1-2. 제 2 저장공간
카트리지 내부릴을 포함하는 공간으로, 이동제어장치를 열어주는 방향으로 릴이 회전할 경우, 제1저장공간에서 이동된 제어로프가 릴에 감기면서 이곳에 저장되고, 이동제어장치를 닫는 방향으로 역회전할 경우엔, 릴에서 풀린 제어로프가 제1저장공간으로 되돌아가지 못하고 저장되는 공간.
1-2. 제어로프
1-2-1. 특성 : 저장공간의 높이의 반 이상의 두께를 갖고, 직선 모양을 유지하려는 탄성을 갖는 선.
예) 필름, 가는 구리선
1-2-2. 길이 : 카트리지에 저장되는 필름의 길이 이상.
1-2-3. 설치 : 초기상태(동작이전상태)에서는 제 1 저장공간에 설치(저장)하는데,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제어로프의 한쪽끝을 카트리지의 외벽이나, 캡에 고정(부착)시킬 수 있다.
제 1 저장공간에 저장된 로프의 한쪽 끝은 이동제어장치를 거쳐, 제 2 저장공간을 지나, 카트리지 내부 릴에 부착(고정)된다.
1-3. 이동제어장치
1-3-1. 형태 : [도 3], [도 5]
1-3-2. 특성 : [도 6], [도 7]에서 색칠되지 않은 부분은 유연성과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된다.
1-3-3. 설치 : 제 1 저장공간과 제 2 저장공간의 연결부분에 설치하는데, [도 6], [도 7]에 색칠된 부분은 공간에 고정시키고, 색칠되지 않은 부분은 고정시키지 않는다.
[도 8], [도 9]에 나타난 릴의 회전방향은 카트리지에서 필름이 빠져나갈 때의 릴의 회전방향을 나타낸 것으로, [도 8], [도 9]에 표현된 것처럼 릴이 회전하면서 제어로프를 당기면 제어로프가 이동제어장치의 입구를 벌려서 제어로프가 제 1 저장공간에서 릴을 포함한 제 2 공간으로 이동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엔 이동제어 장치의 입구가 자체의 탄성에 의해 닫혀서 제어로프가 제 1 공간으로 재이동할 수 없도록 설치한다.
1-3-4. 작용 : 제어로프가 한 방향(제1저장공간에서 제2저장공간으로)으로만이동하게끔 제어한다.
1-4. 이동제어장치 고정구멍 : [도 1]에 표시된 공간 중 2,3 공간을 이용할 경우, [도 10]에 표시된 것처럼 이동제어장치의 입구가 열리는 쪽의 근접부분에 캡에 구멍을 뚫고, 1,4 공간을 이용할 경우에도 1, 4 공간에 보조 덮개를 설치할 경우에,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구멍을 설치하고, 1,4 공간 중 하나와 2,3 공간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저장공간을 확보할 경우에는 이동제어장치의 위치와 캡의 사용여부에 따라 구멍을 결정한다.
1-5. 로프 차단 장치
1-5-1. 형태 : [도 11]
1-5-2. 기능 : [도 1]에 표시된 공간 중 하나를 둘로 나누어 저장공간을 확보할 경우, 제어로프가 이동제어장치에 밀착되어 이동제어장치를 고정구멍을 통해 이동제어장치의 입구를 인위적으로 닫는 동작을 방해 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한다.
1-5-3. 위치 : [도 12]
2. 작용
초기 상태에서는 제어로프가 제 1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있고, 로프의 한쪽 끝은 이동제어장치와 제 2 저장공간을 통해 릴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릴이 제어로프를 감는 방향(카트리지내부의 필름을 밖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릴이 제어로프를 당기는 힘이 제어로프가 이동제어장치의 입구를 열어주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된 이동제어장치의 입구가 열리면서 제어로프가 제 1 저장공간에서 이동하여 릴에 감기게 된다. 릴의 회전이 끝나면 이동제어장치의 입구는 탄성이 있으므로, 입구가 닫히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로프의 이동이 차단된다. 사진을 촬영할 경우, 카메라 내부에서 이 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제 1 저장공간에 저장돼 있던 제어로프가 릴이 회전한 만큼 즉, 카트리지로부터 빠져나간 필름의 길이만큼 릴에 감겨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릴이 역회전하면 즉, 카메라가 필름을 카트리지 내부로 회수하기 위해 카트리지에서 빠져나간 필름을 되감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어로프는 탄성이 있고, 그 두께가 저장공간의 반 이상이므로 릴에서 풀리면서 제 2 공간에 엉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저장되는데, 이때는 이동제어장치의 입구가 닫혀 있고, 역회전에 의해서는 입구를 열어주는 방향으로 힘이 생기지 않으므로, 릴에 감겨 있던 제어로프는 전부 제 2 저장공간에 저장되게 된다. 이때, 제 2 저장공간에 남아 있는 제어로프의 길이는 필름카트리지에서 빠져나갔다가 되감긴 필름의 길이와 같게 된다.
이 상태에서, 드라이버나 핀을 이용, 이동제어장치 고정구멍이 설치된 경우엔 이 구멍을 통해 드라이버나 핀을 삽입하여, 이동제어장치의 입구에 이동제어장치의 입구가 열리지 않게 [도 13]과 같은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이 상태에서 필름을 카트리지로터 빼내면 릴의 회전에 의해 제 2 저장공간에 있는 제어로프가 릴에 감기다가 제어로프가 다 소비되면 필름을 빼내는 힘이 이동제어장치의 입구를 열어주는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이동제어장치의 입구의 개방이 앞선 조작에 의해 차단된상태이므로 제어로프가 제 1 저장공간에서 더이상 공급되지 않으므로, 제어로프가 릴의 회전을 막아 릴은 더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카트리지로부터 필름을 빼낼 수 없게 된다. 이때 카트리지로부터 빼낸 필름의 길이는 이전에 카트리지로부터 빠져나왔던 필름의 길이와 같아지게 된다.
사진을 촬영할 때, 필름의 전체를 사용하지 않고 필름을 되감았을 경우, 필름 중 실제 사용된 부분만이 카트리지에서 빠져 나왔다 되감겨 들어가고 나머지 사용되지 않은 부분은 카트리지 내부에 저장되어 있었기 때문에, 본 고안에 의해 필름 카트리지로부터 빠져 나왔다 되감겼던 필름의 길이만큼만 필름 카트리지에서 빠져나오게 제어할 수 있게 되면 사진촬영시 사용된 필름과 사용되지 않은 부분의 필름(필름 잔량)을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사진기용 필름 카트리지 내외의 공간 두 곳을 이용, 한 공간(이하 공간1)에 선(이하 제어로프)을 설치하고 제어로프의 한쪽 끝을 제어로프가 한 방향으로만 이동하게끔 제어하는 장치(이하 이동제어장치)와 다른 한 공간(이하 공간2)을 거쳐 카트리지의 릴에 고정(부착)되게끔 설치하여, 릴의 회전을 두 방향으로 나누어 그 중 한 방향으로 릴이 회전할 경우, 공간1에서 공간2로 제어로프가 이동하고 역회전할 경우, 이동제어장치가 동작하여 공간2의 로프가 공간1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갖고, 이동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동제어장치 고정구멍)를 장착한 필름카트리지
KR2019990015333U 1999-05-08 1999-07-29 필름 카트리지 외부로 빠져나간 필름의 길이를 기록하고 후에그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필름 카트리지 KR20016461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762U KR19990034863U (ko) 1999-05-08 1999-05-08 필름카트리지외부로빠져나간필름의길이를기록하고후에그길이를확인할수있는필름카트리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762U Division KR19990034863U (ko) 1999-05-08 1999-05-08 필름카트리지외부로빠져나간필름의길이를기록하고후에그길이를확인할수있는필름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618Y1 true KR200164618Y1 (ko) 2000-02-15

Family

ID=195759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762U KR19990034863U (ko) 1999-05-08 1999-05-08 필름카트리지외부로빠져나간필름의길이를기록하고후에그길이를확인할수있는필름카트리지
KR2019990015333U KR200164618Y1 (ko) 1999-05-08 1999-07-29 필름 카트리지 외부로 빠져나간 필름의 길이를 기록하고 후에그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필름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762U KR19990034863U (ko) 1999-05-08 1999-05-08 필름카트리지외부로빠져나간필름의길이를기록하고후에그길이를확인할수있는필름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34863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863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5268A (en) Photographic film cassette
US4335948A (en) Film retriever
US3785725A (en) Processing composition release mechanism for film cassette comprising self-contained film processing system
JPH05224351A (ja) 一体のフィルムストリッパ及び光り遮断装置を有するフィルムカセット
KR200164618Y1 (ko) 필름 카트리지 외부로 빠져나간 필름의 길이를 기록하고 후에그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필름 카트리지
EP0397083B1 (en) Metering defeat mechanism
US4334750A (en) Film assemblage having film releasably attached to film spool
US5564643A (en) Photo film cassette having a film trailer attaching assembly
US5748989A (en) One-time-use camera with manual control lever and bi-directional overcenter spring for closing movable light shield of film cassette
US3175222A (en) Film cassette
US5530506A (en) Film take-up device in camera
US3212838A (en) Film cassette
CA2135324A1 (en) Film cassette spool with exposure indicator
KR890001453B1 (ko) 필름 권취 스푸울의 위치결정 제어 시스템을 가진 스틸 카메라
JP3371286B2 (ja) 写真用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
US5771400A (en) Camera with light-blocking plush to hold filmstrip against film platen
SU1597920A1 (ru) Сердечник дл намотки киноленты
US5526081A (en) Film take-up device in camera
KR200164619Y1 (ko) 필름부분현상과재활용을가능케하는착탈식장치
JPS5823022A (ja) フイルム簡易装填装置
JP3230186B2 (ja) 写真フィルム用カートリッジ
JPH09197541A (ja) カメラ用磁気ヘッド掃除装置
JPS6128185Y2 (ko)
JPH04298740A (ja) フィルム収納容器及び現像方法
JPS6262337A (ja) フオ−カルプレ−ンシヤツタのシヤツタ幕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