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619Y1 - 필름부분현상과재활용을가능케하는착탈식장치 - Google Patents

필름부분현상과재활용을가능케하는착탈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619Y1
KR200164619Y1 KR2019990015334U KR19990015334U KR200164619Y1 KR 200164619 Y1 KR200164619 Y1 KR 200164619Y1 KR 2019990015334 U KR2019990015334 U KR 2019990015334U KR 19990015334 U KR19990015334 U KR 19990015334U KR 200164619 Y1 KR200164619 Y1 KR 200164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rtridge
unused
reel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3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filed Critical 이상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6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60Measuring or indicating length of the used or unused film; Counting number of exposures
    • G03B1/62Measuring or indicating length of the used or unused film; Counting number of exposures involving locking or stop-motion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2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utting-off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1)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사진촬영용 필름 카트리지 제조 및 현상분야
(2) 고안의 목적
현재 유통되고 있는 사진기용 필름은 필름 전체를 다 사용하지 않고 현상할 경우, 사용되지 않은 부분이 사용된 부분의 현상과정에서 소실 되어, 전체 필름 중 사용되지 않은 부분을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이를 피하려면 사용자가 필름 전체를 다 사용할 때까지 현상을 미루거 나, 사용하지 않은 필름 부분을 포기해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이점을 개선하여 필름 일부만을 사용한 후, 사용된 부분만 현상하고 미사용된 부분은 후에 재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3) 고안의 구성
필름 카트리지의 릴의 회전방향과 정도에 따라 필름 이동 길이를 기억 하는 제어필름과 제어필름을 회전 릴에 고정시키는 부착링, 부착링의 설치에 관계하는 확장고리 그리고 필름 카트리지 위에 착탈식으로 설 치할 수 있는 메인보드가 주요 구성부분이다.
(4) 고안의 효과
본 장치(고안)는 필름 카트리지에서 필름이 빠져나갔다가 릴에 되감겨 카트리지 내부로 다시 들어오는 과정이 몇 차례 진행된 후, 간단한 장 치조작에 의해 필름 카트리지에서 빠져나갔던 필름의 가장 긴 길이만 큼의 필름만 카트리지에서 빠져나오고 그 이상은 카트리지에서 빠져나 오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이를 이용하면 전체필름 중에 실제 촬영에 사용된 부분과 사용되지 않은 부분을 구분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 부분현상과 재활용을 가능케 하는 착탈식 장치{ device that make it possible to develope used parts of film and to recycle rest of the film }
기존의 필름 카트리지는 암실역할을 하는 외부몸체와 필름을 감는 릴, 그리 고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단순한 구조로 릴의 회전에 의해 필름이 카트리 지 내,외부로 이동하는 단순한 동작만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사진 촬영 과 정에서 필름 전체를 다 소모하지 않았을 경우, 필름은 사용된 부분과 미사용 된 부분으로 나누어지지만, 그 두 부분을 구분할 수가 없어 사용된 부분만을 현상하고 미사용된 부분을 재활용하는 등의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프로 사진사나 일부 현상소에서는 수작업을 통해 전체 필름 중 실제 사용된 부분만을 대략적으로 분리해 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정밀도가 떨어지 고 작업을 대량으로 간단하게 처리하기 곤란하다.
위와 같은 기존 분야의 문제점을 제거한 필름 카트리지와 그것을 이용한 현 상방법이 각각 실용신안(출원번호 : 20-1999-0007762)과 특허(출원번호 :10-1999-0016529)로 출원, 심사 청구되어 있다.
첫째, 프로 사진사나 일부 현상소에서 사용하는 필름 분리 방법은 정밀도가 떨어지므로 정확하게 전체 필름 중 사용된 부분과 미사용된 부분을 구분해 낸다.
둘째, 기 출원된 개량형 필름 카트리지(출원번호 : 20-1999-007762)의 경우, 제작과정이 복잡하여 생산비용이 높고, 카트리지 자체의 재활용이 불가능하 므로, 위 출원물과 동일한 동작을 하면서도 생산단가가 낮고, 재활용이 가능 하게 한다.
[도1] 은 메인보드의 상, 하 입체도
[도2] 는 일반 필름 카트리지의 상부 입체도
[도3] 은 메인보드의 입체도
[도4] 는 메인보드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5] 는 메인보드의 단면도
[도6] 은 부착링의 입체도
[도7] 은 부착링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8] 은 확장고리의 입체도
[도9] 는 확장고리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10] 은 확장고리에 부착링을 고정시킨 것
[도11] 은 확장고리에 부착링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어테이프를 부착링에 연결한 것
[도12] 는 [도11]을 메인보드에 삽입시킨 것의 평면도
[도13] 은 [도11]을 메인보드에 삽입시킨 것의 입체도
[도14] 는 제어테이프를 메인보드 내에 감는 방법
[도15] 는 확장고리, 부착링, 제어테이프가 설치된 메인보드와 필름 카트리 지를 연결하는 과정
[도16] 은 사진촬영후, 필름을 되감은 뒤에 현상을 위해 필름을 빼내기 전에 장치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장치내부에서 일어나는 변화과정
본 고안은 기 출원된 개량형 필름 카트리지(출원번호 : 20-199-007762 이하 기 출원물)를 개량한 것이므로, 기 출원물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1. 구성부분별
1-1. 메인보드 : 기 출원물의 경우, 필름 카트리지상의 여유공간에 제어로프(본 고안에서는 제어필름) 등을 설치하였는데, 이 때문에 제 작과정이 복잡해지고, 재활용이 어려워져서 필름 카트리지상의 공간대 신 메인보드라는 구성부분에 필요공간을 확보하여 제어테이프를 메인 보드 내에 설치한 뒤, 필름카트리지 상단과 메인보드를 결합시킨다.
[도1], [도3], [도4], [도5]
1-1-1. [도3]의 1번 : 필름카트리지와 본 고안물을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필 름카트리지의 필름출구부분([도2]의 2번)이 연결부분([도3]의 3번과 4 번)과 충돌하여 연결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
1-1-2. [도3]의 2번 : 기 출원물에서 이동제어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약간(제어테이프의 두께보다 작은)의 분리된 틈이 있고, 메인보드 하 부판과 분리되어 있어서 기 출원물에서 이동제어장치가 동작하는 것과 동일하게, 필름카트리지의 릴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어테이프의 이동을 허용 또는 차단한다.
1-1-3. [도3]의 3번 : 본 고안물과 필름 카트리지를 연결시킬 때, [도2]의 3 번 부분과 밀착되면서 고안물이 필름 카트리지에 연결되도록 한다.
1-1-4. [도3]의 4번 : 본 고안물과 필름 카트리지를 연결시킬 때, [도2]의 2 번 부분과 밀착되면서 고안물이 필름 카트리지에 연결되도록 한다.
1-1-5. [도3]의 5번 : 기 출원물에서 저장공간 1과 2를 나누어주는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 출원물의 해당부분과 동일하다.
1-1-6. [도3]의 6번 : 확장고리에 연결된 부착링을 메인보드에 삽입할 때, 확장고리가 들어가는 부분
1-1-7. [도3]의 7번 : 본 고안물에 필름 카트리지를 연결할 때, [도2]의 1번 부분이 들어가기 위한 구멍
1-1-8. [도3]의 8번 : 기 출원물에는 없는 부분으로, 전체 필름 중 미사용된 부분이 카트리지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부분으로 [도3] 의 2번에서 8번까지 호의 길이가 필름 한 컷의 길이(약 3.6 cm)가 되 는 지점에 위치한다.
1-1-9. [도3]의 9번 : 기 출원물에서 제어로프가 이동제어장치제어홀의 입구 를 막지 않게 하기 위한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
1-1-10. [도3]의 10번 : [도3]의 8번에서 [도3]의 9번까지 [도3]의 5번의 안 쪽을 따라 메인보드 하부 판에 홈이 뚫려 있는 것으로, 기 출원물에서 는 현상과정에서 이동제어장치([도3]의 2번에 해당)를 제어하기 위해, 이동제어장치제어홀(구멍)을 이용하였으나, 본 장치에서는 이부분과 [ 도3]의 8번을 통해 기 출원물에서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킨다.
1-2. 부착링 : 기 출원물에서는 제어로프(본 고안에서는 제어테이프)를 필름 카트리지의 릴([도2]의 1번)에 부착시키게 되어 있으나, 장치의 재활 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어테이프를 필름 카트리지의 릴에 직접 부착하지 않고 부착링에 연결한 뒤, 부착링을 필름 릴에 부착했다가 후에 떼어낼 수 있게 하는데 사용되는 부분으로, 필름 릴의 반지름보 다 작은 반지름의 원으로, 원의 일부가 [도6]에서와 같이 개방되어 있 고, 탄성과 유연성을 가진 재료(연성 플라스틱 등)로 만들어져서, 힘 을 가해 벌릴 수 있고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간 다.
[도6], [도7]
1-3. 확장고리 : 부착링을 [도10]과 같이, 벌리는 기능을 갖는 부분으로 본 장치와 필름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며, 이것이 제거됨 과 동시에 연결이 완료된다.
[도8], [도9]
1-4. 제어테이프 : 기 출원물에서 제어로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장치에서 는 평면을 유지하려는 탄성과 유연성을 가진 테이프를 사용한다.
2. 연결과정
2-1. 부착링과 제어테이프의 연결 : [도6]의 1번 또는 2번에 [도11]에서와 같이 연결시킨다.
2-2. 제어테이프가 연결된 부착링과 확장고리의 연결 : [도11]에서와 같이 연결한다. 그러면 부착링이 벌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2-3. 2-2의 결과물을 메인보드에 삽입 : 확장고리가 [도3]의 6번에 들어가게 하고, 제어테이프가 [도12],[도13]과 같이 [도3]의 2번을 거쳐 [도3] 의 1번 공간으로 빠져나오게끔 한다.
2-4. 메인보드에 제어테이프를 설치 : [도14]의 왼쪽 그림의 화살표방향으로 메인보드를 회전시키면 [도14]의 오른쪽 그림처럼 제어테이프가 감기 게 된다.
2-5. 2-4의 결과물과 필름 카트리지의 연결 : [도15]의 맨 좌측 그림처럼 2- 4의 결과물을 필름 카트리지의 상부에 끼우면, [도3]의 3과 4가 각각 [도2]의 3과 2에 각각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2-6. 확장고리의 제거 : 2-5의 결과물에서 [도15]의 맨 우측 그림처럼 확장 고리를 장치에서 위로 빼낸다. 확장고리를 빼내게 되면 부착링이 다시 원래 크기로 줄어들면서 필름 카트리지의 릴([도2]의 1)에 고정되어, 릴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3. 현상과정
3-1. 샤프(필기구)끝부분처럼 끝-[도3]의 10번 홈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이 뾰족한 장치를 [도3]의 10번 홈의 [도3]의 9번쪽 끝에 넣는다.
3-2. 홈을 따라 장치를 [도3]의 8번 끝에 닿을 때까지 이동시켜 고정시킨다. 이 과정에서 장치내부에서는 [도16]과 같이 [도3]의 5 안쪽 공간에 위 치한 제어테이프의 일부가 3-1의 장치에 걸려서 이동하는 과정이 일어 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3]의 5바깥쪽에 위치한 제어테이프는 [도3]의 2에 의해 [도3]의 5 안쪽 공간으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이 과 정에서는 [도3]의 5 바깥쪽에 위치한 제어테이프에는 아무런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다.
3-3. 빛이 차단된 공간에서 필름 카트리지의 필름출구([도2]의 5)를 통해 필 름을 빼낸다. 필름은 장치에 의해 사용된 부분만 카트리지 밖으로 빠 져 나오다가, 사용된 부분이 끝나면 더이상 카트리지에서 빠져나오지 않는다.
3-4. 이후의 현상방법은 기 출원된 특허(출원번호 : 10-1999-0016529)의 방 법과 동일하다.
첫째, 메인보드는 사출성형을 통해 생산할 수 있는 구조이고, 고안 전체가 기존의 필름카트리지와는 별도로 생산 가능하므로, 생산단가가 낮아지고 장 치의 재활용도 가능해 진다.
둘째, 기 출원된 개량형 필름 카트리지(출원번호 : 20-1999-0007762)의 경 우, 현상과정에서 자동카메라의 동작특성에 의해, 이동제어장치를 고정시키 고 필름을 빼낸 후 필름 릴을 한바퀴정도 감아 필름 일부를 다시 카트리지 안으로 넣게 되어, 불편함과 동시에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고안은 그 부분을 보안하여 정밀도를 높이고 현상과정을 더욱 단순화시킨다.

Claims (1)

  1. 제어테이프, 확장고리, 부착링, 메인보드로 구성되어 카메라용 필름 카트리 지에 장착하면 카트리지에서 일정길이의 필름이 빠져나갔다가 되감긴 후, 간 단한 조작을 통해 카트리지에서 빠져나갔던 길이만큼의 필름만 카트리지에서 빠져나오도록 허용하고 그 이상의 필름이 카트리지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차 단하는 기능을 가진 착탈식 장치
KR2019990015334U 1999-06-07 1999-07-29 필름부분현상과재활용을가능케하는착탈식장치 KR20016461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976U KR19990035203U (ko) 1999-06-07 1999-06-07 필름부분현상과재활용을가능케하는착탈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976U Division KR19990035203U (ko) 1999-06-07 1999-06-07 필름부분현상과재활용을가능케하는착탈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619Y1 true KR200164619Y1 (ko) 2000-02-15

Family

ID=195775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976U KR19990035203U (ko) 1999-06-07 1999-06-07 필름부분현상과재활용을가능케하는착탈식장치
KR2019990015334U KR200164619Y1 (ko) 1999-06-07 1999-07-29 필름부분현상과재활용을가능케하는착탈식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976U KR19990035203U (ko) 1999-06-07 1999-06-07 필름부분현상과재활용을가능케하는착탈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35203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203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1319A (en) Apparatus for loading a film cassette into a camera
JP2755459B2 (ja) 二重露光を防止するためのカメラ装置
US4335948A (en) Film retriever
RU1836652C (ru) Фотокассета
US4074870A (en) Film retrieval device
DE68921321T2 (de) Bandkassettenspule mit durch ein dichromatisches Giessverfahren geformtem Oberteil.
KR200164619Y1 (ko) 필름부분현상과재활용을가능케하는착탈식장치
JP3036715B2 (ja) 写真フイルムの巻込み方法及び装置並びに写真フイルムの引出し分離方法及び装置
US4244535A (en) Separable film spool and method of loading film cassette therewith
EP0397083B1 (en) Metering defeat mechanism
KR920008532A (ko) 필름 노출상태 표시기용 체결수단을 갖는 필름 카세트를 사용하는 카메라 장치
US2239188A (en) Film cartridge loader
US2911163A (en) Spools for photographic film and the like
US3980254A (en) Film strip leader alignment aid
US4254919A (en) Method of loading film cassette
GB1555398A (en) Camera including a device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a photographic film is being properly woing onto or off a spool
CA1191730A (en) Photographic film assemblage
US4744527A (en) Film cassette
US5758198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oading a single-use camera and single-use camera loadable thereby
US5165619A (en) Method of accommodating photographic film with elongated leader member in photographic-film cartridge
US4860966A (en) Film cassette
US4173315A (en) Universal 35mm film cartridge for rewind and no-rewind operation
EP0453864A2 (en) A photographic film cassette
CA1319291C (en) Spool, cartridge and method for fastening a photographic film
US5755396A (en) Photo film spool and mold set for form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