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384Y1 -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384Y1
KR200164384Y1 KR2019940027890U KR19940027890U KR200164384Y1 KR 200164384 Y1 KR200164384 Y1 KR 200164384Y1 KR 2019940027890 U KR2019940027890 U KR 2019940027890U KR 19940027890 U KR19940027890 U KR 19940027890U KR 200164384 Y1 KR200164384 Y1 KR 200164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cathode ray
bead
effective portion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7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559U (ko
Inventor
서영준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40027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384Y1/ko
Publication of KR9600155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5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3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전자빔이 통과하는 어퍼쳐를 보유하는 유효부와, 이 유효부의 주변에 형성되는 비이드와, 상기 유효부에 거의 수직으로 구부러진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스커트부의 변형 및 마스크프레임과의 용접에 의한 열변형을 방지하고,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유효부와 스커트부의 경계로 되는 밴딩부에 제2 비이드를 마련하되,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장변 혹은 단변에 복수개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새도우마스크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새도우마스크를 도시한 일부 절개 단면도.
제3도는 일반적인 새도우마스크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새도우마스크를 도시한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효부 3 : 스커트부
4 : 스커트부 41 : 밴딩부
42 : 제2 비이드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커트부의 변형 및 마스크프레임과의 용접에 의한 열변형을 극복할 수 있도록 개선한 인바제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인 새도우마스크 방식의 음극선관은 적어도 패널, 펀넬, 넥크로 구성된 벌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넥크에는 전자총이, 그리고 상기 패널의 내면에는 R, G, B의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으며, 이 형광체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떨어져 새도우마스크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새도우마스크는 전자총에서 방출된 3개의 전자빔을 패널내면에 도포된 R, G, B의 각각 대응하는 형광체에 랜딩되도록 할당하는 것으로서, 프레임에 결합되어 새도우마스크 구조체를 구성하며, 이 구조체는 코너 스프링에 의해 패널 내측에 설치된다.
종래에 공지된 인바제 새도우마스크 구조체를 제3도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빔이 통과하는 어퍼쳐를 포함하며 대략 직사각형으로 된 유효부(1)와, 이 유효부(1)의 주변에 형성된 강도보강용의 비이드(2)와, 프레임과의 용접을 위하여 거의 수직으로 접어 구부린 스커트부(3)로 이루어지는 새도우마스크(4)와, 상기 스커트부(3)가 용접되는 직립부(5)와 코너스프링이 배치되는 만곡부를 갖는 프레임(6)과,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는 코너핀에 새도우마스크 구조체를 현가하기 위한 코너스프링(7)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이러한 새도우마스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마스크(4)는 프레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편평한 새도우마스크 소재를 온간 프레스 방법으로 성형하여, 상기 스커트부(3)가 유효부(1)에 대하여 거의 수직을 이루도록 밴딩되어 진다. 또, 이렇게 밴딩된 스커트부(3)는 프레임(6)의 소정부위에 스폿용접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새도우마스크(4)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온간프레스에 의하여 점선과 같이 성형된 초기 상태의 스커트부(31)는 스프링 백 현상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벌어짐이 발생하게 되고, 더불어 스커트의 끝말림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커트부(3)의 벌어짐과 끝말림에 의하여 새도우마스크(4)와 프레임(6)의 용접은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해 새도우마스크에 곡율 변화가 발생하게 되어, 결국 화상이 찌그러지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새도우마스크(4)와 프레임(6)의 용접 공정에 있어서, 새도우마스크는 상당히 얇은 편평한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프레임(6)에 스폿용접으로 결합된 스커트부(3)의 용접부에서는 열에 의한 마스크 꺼짐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스커트부(3)의 비용접부에서는 상기 용접부에 대응하는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새도우마스크 소재는 매우 얇기 때문에, 성형된 새도우마스크의 취급시 작업자가 조금만 부주의 하거나 다소의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변형이 생기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커트부의 변형 및 마스크프레임과의 용접에 의한 열변형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한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새도우마스크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강하여, 취급상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전자빔이 통과하는 어퍼쳐를 포함하며 대략 장방형으로 된 유효부와, 이 유효부의 주변에 형성된 비이드와, 상기 유효부에 거의 수직으로 구부러진 스커트부로 구성되는 새도우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유효부와 스커트부의 경계로 되는 밴딩부에 제2 비이드를 마련하되,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장변 혹은 단변에 복수개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를 제안하고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새도우마스크의 전체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절개 도시한 일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의 설명 부호 4는 새도우마스크 전체를 가르키고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새도우마스크(4)는 전자빔이 통과하는 어퍼쳐를 포함하며 대략 직사각형으로 된 유효부(1)와, 이 유효부(1)의 주변에 강도 보강용으로 형성되는 비이드(2)와, 상기 유효부(1)에 거의 수직으로 밴딩 형성되는 스커트부(3)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유효부(1)와 스커트부(3)의 경계부 즉, 모서리에는 밴딩부(41)가 마련되어 지는바, 이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테두리를 보유하게 된다.
이러한 밴딩부(41)에는 본 고안의 목적에 따라, 스커트부(3)의 강도 보강을 위해 제2 비이드(4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비이드(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를 타격하여, 상기 유효부(1) 및 스커트부(3)에 대하여 45 방향으로 강도 보강용의 홈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제2 비이드(42)는 요입 형성될 뿐 아니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용이한 구조로서 별도의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한 제2 비이드(42)는 장변측에 3개 단변측에 2개가 형성되어지는 바, 본 고안에서는 그 수를 한정하고 있지는 않으며, 새도우마스크의 크기에 따라 2 이상 복수개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새도우마스크에 의하면, 종래에 문제시 되었던 스프링백 현상에 의한 스커트부의 벌어짐 및 끝말림 현상을 제2 비이드(52)를 설치하여 극소화함으로써, 프레임과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새도우마스크의 구조적인 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고안의 효과]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는 스커트부의 벌어짐 및 끝말림 현상의 극소화와 새도우마스크의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도 보강용의 제2 비이드를 형성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새도우마스크의 스커트부의 벌어짐과 끝말림 현상이 제거됨으로써, 프레임과의 조립시 취급이 용이하고, 용접특성이 양호하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게다가, 새도우마스크와 프레임의 결합시 용접부와 비용접부의 상대적인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새도우마스크를 채용하는 음극선관의 표시특성을 바람직하게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

  1. 전자빔이 통과하는 어퍼쳐를 보유하는 유효부와, 이 유효부의 주변에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비이드와, 상기 유효부에 거의 수직으로 밴딩 형성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에 있어서, 유효부(1)와 스커트부(3)의 경계로 되는 밴딩부(41)에 제2 비이드(42)를 마련하되, 장변 혹은 단변에 2개 이상의 복수개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2019940027890U 1994-10-25 1994-10-25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200164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890U KR200164384Y1 (ko) 1994-10-25 1994-10-25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890U KR200164384Y1 (ko) 1994-10-25 1994-10-25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559U KR960015559U (ko) 1996-05-17
KR200164384Y1 true KR200164384Y1 (ko) 2000-01-15

Family

ID=1939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7890U KR200164384Y1 (ko) 1994-10-25 1994-10-25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3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559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85431A (en) Shadow-mask cathode-ray tube including a masking member comprising a skirt having indentations and projections overlapping and attached to a frame
US4327307A (en)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US5072151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 frame
KR200164384Y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JPH0463501B2 (ko)
KR940000301B1 (ko) 샤도우 마스크의 프레임 어셈블리 지지부를 가진 칼라 화상 튜브
CA2099646C (en) Cathode-ray tube having internal magnetic shield with strengthening ribs
US3588568A (en) Rectangular shadow-mask-type color picture tube with barrel-shaped mask frame
KR200150025Y1 (ko) 음극선관용 인바제 새도우마스크
US5689150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 frame
JPH05198277A (ja) 陰極線管及び締まり嵌め爆縮保護バンドの形成法
US6683402B2 (en) Color display tube provided with a color selection electrode
KR20060034296A (ko) 음극선관용 프레임/마스크 조립체
KR940006546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930008826B1 (ko) 새도우 마스크-프레임 조립체 지지부를 갖는 컬러 수상관
KR940011642B1 (ko) 개선된 인바제 새도우마스크 구조체의 조립방법
KR200147271Y1 (ko) 마스크 프레임 구조체
US20030001483A1 (en) Mask-frame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
KR200151015Y1 (ko) 칼라 음극선관
US5233266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frame assembly support
JP2796314B2 (ja) 縁をそなえたカラー選別電極を有するカラー表示管
KR200164481Y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EP0939424A2 (en) Color picture tube
JP3269744B2 (ja) カラー陰極線管
KR950002051Y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