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204Y1 - 바이스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스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204Y1
KR200164204Y1 KR2019990014678U KR19990014678U KR200164204Y1 KR 200164204 Y1 KR200164204 Y1 KR 200164204Y1 KR 2019990014678 U KR2019990014678 U KR 2019990014678U KR 19990014678 U KR19990014678 U KR 19990014678U KR 200164204 Y1 KR200164204 Y1 KR 200164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ise
fixing
screw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천
Original Assignee
이봉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천 filed Critical 이봉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25B1/2484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2Vices with sliding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이스를 지지물에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바이스 고정장치는 고정대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 상하 두께가 두꺼운 지지물은 지지할 수가 없으며, 또 가압편의 이동을 조임나사봉의 나사회전에만 의존해야 하므로 지지물의 두께에 따라 그 이동거리가 클 경우에는 바이스의 고정작업이 매우 더디고 힘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부에 지지물(D)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0)를 갖는 바이스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일측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축(21)과, 일단은 상하로 관통된 나사단관(24)을 형성하고 타단은 수직축(21)을 관통 삽입하는 작동관부(23)를 가져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바(22)와, 상단에는 가압판(26)을 갖고 하단부에는 손잡이(27)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단관(24)에 체결되어 나사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는 조임나사봉(25)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큰이동은 가동바를 승,하강시켜 이동시킨 후 작은 이동은 조임나사봉을 회전시켜 지지물에 지지되도록하므로 보다 쉽고 빠르게 바이스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스고정장치{A fixing apparatus for vise}
본 고안은 바이스를 지지물에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측단에 가압판이 부착된 조임나사봉을 설치한 가동바를 수직바에 관삽시켜 큰 이동은 가동바를 승,하강시켜 이동시킨 후 작은 이동은 조임나사봉을 회전시켜 지지물에 지지되도록하여 보다 쉽고 빠르게 바이스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바이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바이스고정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바이스의 하부에 지지물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0)를 갖고, 그 베이스(10)의 일측 하부에 하단이 수평으로 절곡되고 그 단부에 상하로 연통된 나사단관(12)이 형성된 고정대(11)를 형성하고, 고정대의 나사단관(12)에 체결되어 승하강되면서 상단에는 가압판(14)과 하단부에는 손잡이(15)가 형성된 조임나사봉(13)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고정장치의 작동은 베이스(10)와 가압판(14)의 사이에 작업 다이와 같은 지지물(D)을 위치시킨 후 손잡이(15)를 통하여 조임나사봉(13)을 회전시켜 가압판(14)을 지지물의 저면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가압하므로써 바이스(B)를 지지물(D)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이스 고정장치는 고정대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 상하 두께가 두꺼운 지지물은 지지할 수가 없으며, 또 가압편의 이동을 조임나사봉의 나사회전에만 의존해야 하므로 지지물의 두께에 따라 그 이동거리가 클 경우에는 바이스의 고정작업이 매우 더디고 힘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선단에 가압판이 부착된 조임나사봉을 설치한 가동바를 수직바에 관삽시켜 큰이동은 가동바를 승강하강시켜 이동시킨 후 작은 이동은 조임나사봉을 회전시켜 지지물에 지지되도록하여 보다 쉽고 간편하게 바이스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바이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이스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이스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이슥정장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21 - 수직축 22 - 가동바
23 - 작동관부 24 - 나사단관 25 - 조임나사봉
26 - 가압판 27 - 손잡이 28 - 요철
B - 바이스 D - 지지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이스 고정장치는,
하부에 지지물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를 갖는 바이스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측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축과,
일단은 상하로 관통된 나사단관을 형성하고 타단은 수직축을 관통 삽입하는 작동관부를 가져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바와,
상단에는 가압판을 갖고 하단부에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단관에 체결되어 나사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는 조임나사봉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이스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이슥정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스(B)의 하부에 지지물(D)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0)가 형성되고, 베이스(10)의 일측 하부에 수직축(21)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수직축의 후측면에는 요철(28)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축(21)에는 가동바(22)가 직각으로 결합되는데, 가동바(22)의 일단은 상하로 관통된 나사단관(24)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수직축(21)을 관통 삽입하는 작동관부(23)가 형성되어 수직축(21)을 타고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가동바(22)는 수직축(21)에 결합된 작동관부(23)을 축으로 회전하려는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어 결국 작동관부(23)의 후측하단은 수직축(21)의 후면을 가압하고, 작동관부(23)의 선단 상부는 수직축(21)의 전면을 가압하게 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더욱이 수직축(21)의 배면에는 요철(2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마찰력이 발생되어 후측단을 약간 들어올려 주어 모멘트를 제거하지 않는 이상 절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가동바(22)의 단관에는 조임나사봉(25)이 체결되며, 그 상단에는 지지물의 저면을 가압하는 가압판(26)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손잡이(2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바이스고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이스(B)를 고정시킬 때에는 하부의 베이스(10)를 작업다이와 같은 지지물(D)상면에 안착시켜 가압판(26)과 베이스판(10) 사이에 지지물(D)이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는 가동바(22)를 이동시켜 가압판(26)이 지지물(D)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수직축(21)상에서 승강 이동시킨다.
이동이 완료되어 가동바(22)를 자유롭게 하여도 작동관부(23)을 축으로 모멘트가 작용하여 수직축(21)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27)를 이용하여 조임나사봉(25)을 나사회전시켜 승강시키면 가압판(26)이 승강하여 지지물(D)의 저면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미 가동바(22)가 지지물(D)쪽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이기 때문에 조금만 이동하여도 지지물(D)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바이스(B)를 지지물(D)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도 조여진 조임나사봉(25)을 역회전시켜 가압판(26)을 약간만 후퇴시킨 후 가동바(22)의 단부를 약간들어 올리게 되면 가동바(22)는 수직축(21)을 타고 슬라이딩되어 쉽게 하강 이동하게 되므로 빠르게 분리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물에 바이스를 고정설치할 때 수직축을 작동관부로 관삽시킨 가동바를 지지물에 최대한 근접되게 이동시킨 후 조임나사봉을 조작하여 가압판을 지지물에 밀착 고정시키므로 보다 쉽고 간편하게 바이스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부에 지지물(D)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0)를 갖는 바이스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일측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축(21)과,
    일단은 상하로 관통된 나사단관(24)을 형성하고 타단은 수직축(21)을 관통 삽입하는 작동관부(23)를 가져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바(22)와,
    상단에는 가압판(26)을 갖고 하단부에는 손잡이(27)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단관(24)에 체결되어 나사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는 조임나사봉(2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축(21)의 배면에 요철(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고정장치.
KR2019990014678U 1999-04-20 1999-07-22 바이스고정장치 KR20016420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565 1999-04-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565 Division 1999-04-20 1999-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204Y1 true KR200164204Y1 (ko) 2000-02-15

Family

ID=1957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678U KR200164204Y1 (ko) 1999-04-20 1999-07-22 바이스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2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2790B2 (ja) ポンチ、ダイスまたは類似のツール等の細長い部品を曲げプレスの取付板に固定する装置
US4027867A (en) Workpiece holder
KR200164204Y1 (ko) 바이스고정장치
KR200183087Y1 (ko) 스탠드 고정장치
CN2887522Y (zh) 用于加工小物件的带锯床辅助夹紧装置
JP4063923B2 (ja) ワークバイスの中間爪ブロック
CN108723817B (zh) 一种夹持l形工件的夹具结构
CN210476264U (zh) 一种不伤工件漆面的双面加工夹具
CN217045523U (zh) 一种侧锁紧夹具
CN110381669B (zh) 一种玻璃基电路板夹具
CN219775412U (zh) 一种钣金机箱可调节式抱箍结构
CN214871718U (zh) 一种用于大理石加工的开槽装置
CN208888276U (zh) 一种原子力显微镜探针装卡辅助装置
US4231538A (en) Clamping devices
CN213289448U (zh) 一种铝合金配件的工件夹具
CN219485412U (zh) 一种五金加工用夹紧装置
CN220839794U (zh) 一种针规用夹具
CN215357276U (zh) 一种鱼尾板铣削加工用多角度转动夹具
CN220882009U (zh) 一种电池模组夹紧机构
CN215240478U (zh) 机械组件固定装置
CN218254742U (zh) 一种夹具
CN221020711U (zh) 一种钣金件的扣压夹具
CN219521894U (zh) 一种拉杆棘轮夹具释放装置
CN220719093U (zh) 一种便携式手动钣金夹具
CN221088880U (zh) 压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