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569Y1 - 창호구조 - Google Patents

창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569Y1
KR200163569Y1 KR2019990013627U KR19990013627U KR200163569Y1 KR 200163569 Y1 KR200163569 Y1 KR 200163569Y1 KR 2019990013627 U KR2019990013627 U KR 2019990013627U KR 19990013627 U KR19990013627 U KR 19990013627U KR 200163569 Y1 KR200163569 Y1 KR 200163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s
contact
window structure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호식
Original Assignee
윤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호식 filed Critical 윤호식
Priority to KR2019990013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5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5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창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 레일부가 각각 형성된 내,외측 레일부를 포함하는 상,하측 문틀, 내,외측 문짝 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좌,우측 문틀을 구비하는 문틀; 내,외측 문짝 결합부에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내,외측 레일부에 각각 슬라이딩되는 내,외측 문짝을 구비하는 문짝; 및 내, 외측 문짝의 일단에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내, 외측 문짝 결합부에 설치된 밀착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창호구조{structure of windows and doors}
본 고안은 창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방풍/방음/방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창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기와 실외 공기를 교환하여 실내의 환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건물 등에는 창문과 이 창문을 고정 유지하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가 설치된다. 상기 창호는 벽체의 일부를 제거하여 사각의 틀을 구성하고 여기에 내창문틀과 외창문틀을 고정한 후 내창문틀과 외창문틀에 유리가 장착된 슬라이딩 바아를 장착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구조는 실내측과 실외측 창문틀과 슬라이딩 바아의 재료로서 녹이 슬지 않는 알루미늄 재질이 사용된다. 따라서, 알루미늄의 특성상 샤시의 조립과정에서 틈새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방음/방수/방풍 효율이 약 30% 정도에 이르지 못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소위, 하이샤시로 창호구조를 구성하여 방음/방수/방풍 효율을 약 60-70%로 상승시키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창호구조에 목재를 부가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으나 이 또한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은 여전하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제작이 용이하며 비용이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문틀과 문짝의 형상을 개선하고 문틀 결합부에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진 밀착부재를 개재시킴으로써 방풍/방수/방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및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구조의 좌,우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창호구조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구조의 상,하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창호구조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좌측 문틀 11...상측 문틀 12...외측 문짝 결합부
14,24...삽입홀 16,26...모헤어부재 20...우측문틀
21...하측 문틀 22...내측 문짝 결합부 30...외측 문짝
31,41...오목홈 32,42...좌측 문짝 34,44...우측 문짝
40...내측 문짝 50,60...밀착부재 55,65...고리부재
70,80...유리부재 72,82...접착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창호구조에 있어서: 상,하 레일부가 각각 형성된 내,외측 레일부를 포함하는 상,하측 문틀, 내,외측 문짝 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좌,우측 문틀을 구비하는 문틀; 상기 내,외측 문짝 결합부에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내,외측 레일부에 각각 슬라이딩되는 내,외측 문짝을 구비하는 문짝; 및 상기 내,외측 문짝의 일단에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내,외측 문짝 결합부에 설치된 밀착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내, 외측 문짝 결합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내, 외측 문짝의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홈에 형합될 수 있는 한 쌍의 돌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측 문짝과 상기 외측이 접촉되는 부위에 상호 형합 가능하도록 상기 내,외측 문짝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고리부재;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재 또는 상기 고리부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구조의 좌우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창호구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창호구조는 벽체(2)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측 문틀(10,20)과, 좌측 문틀(10)에 형성된 좌측 문짝 결합부(12)에 결합될 수 있는 외측 문짝(30)과, 우측 문틀(20)에 형성된 우측 문짝 결합부(22)에 결합될 수 있는 내측 문짝(40)이 구비된다.
상기 좌,우측 문틀(10,20)의 좌,우측 문짝 결합부(12,22)에는 각각 소정 형상의 삽입홀(14,24)이 형성된다. 이 삽입홀(14,24)에는 한 쌍의 돌기(52,62)가 각각 형성된 밀착부재(50,60)가 삽입된다. 상기 밀착부재(50,60)는 삽입홀(14,24)에 끼워질 수 있도록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성형된다. 또한, 좌,우측 문짝 결합부(12,22)의 양단에는 각각 한 쌍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이 설치홈에는 모헤어(mohair)부재(16,26)가 설치된다. 상기 모헤어부재(16,26)는 내측 문짝(30) 및 외측 문짝(40)에 접촉되어 방음/방풍 효과를 높이는데 이용된다.
상기 외측 문짝(30) 및 내측 문짝(40)은 유리부재(70,80)를 사이에 두고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과 같은 접착부재(72,82)에 의해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는 좌,우측 문짝(32,34,42,44), 및 상,하측에 결합되는 상,하측 문짝(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외측 문짝(30)의 좌측 문짝(32)과 상기 내측 문짝(40)의 우측 문짝(44)의 단부에는 상기 밀착부재(50,60)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52,62)가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오목홈(31,41)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오목홈(31,41)과 돌기(52,62)가 밀착됨으로써 방수/방음/방풍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외측 문짝(30)의 우측 문짝(34)과 상기 내측 문짝(40)의 좌측 문짝(42)에는 각각 고리 설치부(35,45)가 형성되고, 이 고리 설치부(35,45)에는 각각 소정 형상의 고리부재(55,65)가 설치된다. 상기 고리부재(55,65)는 외측 문짝(30)의 우측 문짝(34)과 내측 문짝(40)의 좌측 문짝(42)이 결합될 때, 그들 사이에 발생되는 간격을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알루미늄 재질로 문짝과 함께 성형됨으로써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던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프로필렌수지를 이용하여 별도로 성형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리부재(55,65)는 각각 고리 설치부(35,45)에 끼워질 수 있는 삽입부(56,66,)와, 틈새를 메워 줄 수 있도록 서로 형합되는 접촉부(58,68)를 구비한다. 상기 접촉부(58,68)에는 소정 형상의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외측 문짝(30,4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좌측 문틀(10) 및 우측 문틀(20)에는 피스홀(10a, 10b, 20a, 20b)이 각각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구조의 상,하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창호구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창호구조는 내측 레일부(13,23) 및 외측 레일부(15,25)가 각각 형성된 상,하측 문틀(11,21)이 구비된다. 상기 내측 레일부(13,15)에는 내측 문짝(40)이 결합되고, 상기 외측 레일부(15,25)에는 외측 문짝(30)이 결합된다. 상기 외측 문짝(30)은 각각 상,하측 문짝(36,38)을 구비하고, 상기 상,하측 문짝(36,38)은 접착부재(72)에 의해 유리부재(70)에 결합된다. 상기 내측 문짝(40)은 각각 상,하측 문짝(46,48)을 구비하고, 상기 상,하측 문짝(46,48)은 접착부재(82)에 의해 유리부재(8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하측 문짝(36,38,46,48)은 2단의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외측 레일부(13,23,15,25)는 상기 상,측 문짝(36,38,46,48)의 2단의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각각 2단으로 레일이 형성되고, 하측 레일부(23,25)에는 레일 돌출부(23a,23b,25a,25b)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하측 문짝(11,21)의 내,외측 레일부(13,15,23,25)의 측면에는 각각 소정 형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 제2밀착부재(13a,15a,23a,25b)가 설치된다. 상기 제2밀착부재(13a,15a,23a,25b)는 내,외측 문짝(30,40)의 상,하측 문짝(36,38,46,48)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밀착홈(37,39,47,49)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창호구조의 부가적인 방수/방음/방풍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는 부재이다.
상기 하측 문틀(21)의 내,외측 레일부(23,25)의 상부 측면에는 각각 제1,2스토퍼부재(27,29)가 설치된다. 상기 제1,2스토퍼부재(27,29)는 소위, 오사이 처리에 의해 하측 문틀(21)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제1,2스토퍼부재(27,29)를 하측 문틀(21)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외측 문짝(30)을 외측 레일부(15,25)에 먼저 설치한 후 제1스토퍼부재(29)를 설치하게 되면, 외측 레일부(15,25)는 내측 레일부(13,25)와 구획되면서 외측 문짝(30)이 레일을 탈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내측 문짝(40)을 내측 레일부(13,23)에 결합한 후 제2스토퍼(27)를 설치함으로써 내측 문짝(40)이 탈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내,외측 문짝(30,40)의 상,하측 문짝(36,38,46,48)에는 피스홀(36a,36b, 38a, 38b, 46a, 46b, 48a, 48b)이 각각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호구조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면서도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밀착부재, 고리부재에 의해 방풍/방음/방수 성능을 약 60-70% 정도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창호구조에 있어서:
    상,하 레일부가 각각 형성된 내,외측 레일부를 포함하는 상,하측 문틀, 내,외측 문짝 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좌,우측 문틀을 구비하는 문틀;
    상기 내,외측 문짝 결합부에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내,외측 레일부에 각각 슬라이딩되는 내,외측 문짝을 구비하는 문짝; 및
    상기 내,외측 문짝의 일단에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내,외측 문짝 결합부에 설치된 밀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내, 외측 문짝 결합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내, 외측 문짝의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홈에 형합될 수 있는 한 쌍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문짝과 상기 외측이 접촉되는 부위에 상호 형합 가능하도록 상기 내,외측 문짝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고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 또는 상기 고리부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구조.
KR2019990013627U 1999-07-12 1999-07-12 창호구조 KR200163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627U KR200163569Y1 (ko) 1999-07-12 1999-07-12 창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627U KR200163569Y1 (ko) 1999-07-12 1999-07-12 창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569Y1 true KR200163569Y1 (ko) 2000-02-15

Family

ID=1958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627U KR200163569Y1 (ko) 1999-07-12 1999-07-12 창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5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194B1 (ko) 2015-11-12 2017-07-27 변광희 절곡조립식 창틀 및 창호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194B1 (ko) 2015-11-12 2017-07-27 변광희 절곡조립식 창틀 및 창호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472B1 (ko) 커튼월의 이중 결합구조
US6434898B1 (en) Flush glazed door
US20020083663A1 (en) Insulated metal cladding for wood door frame
SK96195A3 (en) Assembled set of profile assemblies from metal and wood for door and window frames
KR102161499B1 (ko) 단열 창짝
KR200163569Y1 (ko) 창호구조
KR100309793B1 (ko) 폐 스틸렌폼을 이용한 복합 창호
KR100890036B1 (ko) 이중창호 시스템
KR200387196Y1 (ko) 조립식창호
KR101148286B1 (ko)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KR102078728B1 (ko) 저비용 고효율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0307748Y1 (ko) 문틀의 프레임 연결구
KR200324248Y1 (ko) 창호틀 조립체
KR200163582Y1 (ko) 복합창호
CN111219123A (zh) 复合材料窗的制造方法
KR200331500Y1 (ko) 문틀용 프로파일
DE50108896D1 (de) Glasleistenbefestigung
KR100510923B1 (ko) 가변형 문틀커버
KR102078731B1 (ko) 스텐레스 절곡바를 이용한 원터치 조립형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0354525B1 (ko) 도어프레임의 댐핑구조
RU2367759C2 (ru) Система профилей
KR200283709Y1 (ko) 창문호차용 결로방지캡
KR200143469Y1 (ko) 창문 액자바용 지지체
KR200172196Y1 (ko) 창문틀의 댐핑구조
JP3605858B2 (ja) サッシ召合せ部の水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