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239Y1 - 싱크대다리 - Google Patents

싱크대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239Y1
KR200163239Y1 KR2019990012797U KR19990012797U KR200163239Y1 KR 200163239 Y1 KR200163239 Y1 KR 200163239Y1 KR 2019990012797 U KR2019990012797 U KR 2019990012797U KR 19990012797 U KR19990012797 U KR 19990012797U KR 200163239 Y1 KR200163239 Y1 KR 200163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flange
fastening
leg according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준
Original Assignee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준 filed Critical 김범준
Priority to KR2019990012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2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2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 다리에 관한 것으로, 싱크대의 싱크대바닥판에 설치되어 싱크대가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다수의 체결부재(14)가 설치되도록 다수의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싱크대바닥판(50)의 저부에 형성한 요홈(51)에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돌기(13)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플랜지(12)와, 상기 플랜지(12)와 일체로 하방향 소정길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높이조절부재(20)와 나사결합되록 나사부(11a)가 구비되는 몸체(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본 고안은 싱크대 다리를 견고하게 설치하게 되어 체결부위 손상을 방지하게 되며, 싱크대바닥판을 관통하지 않고도 견고히 결합되게 하고 다리가 설치되는 부위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다리 설치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싱크대 다리{SINK TABLE LEGS}
본 고안은 싱크대 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견고한 설치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결합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킨 싱크대 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Sink臺)는 물을 흘려 보내며 물건을 씻을 수 있도록 만든 곳으로서 통상 설거지대를 말하며 주로 주방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는 조리물을 다루는 조리대 및 가스렌지를 재치하는 렌지재치대를 포함하여 통칭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싱크대는 그릇 등을 수납하여 두는 공간을 구비하며, 통상 그 하단은 주방의 바닥과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다리가 구비되어 있다.
도 8은 종래 싱크대 다리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예시 단면도로서, 종래 싱크대 다리(60)는 싱크대바닥판(P)의 내측으로부터 나사못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B)를 이용하여 다리(60)의 상부를 결합시키는 구조였다. 미설명부호 'C'는 체결부재(B)의 상단을 커버하는 캡이다.
그러나 상기 예시한 종래 싱크대 다리(50) 설치구조는 싱크대바닥판(P)에 설치된 체결부재(B) 주변에 틈(K)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틈(K)으로 습기 및 벌레가 침투되면 체결상태가 약화되어 체결부위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다리(50)의 체결상태를 약화시켜 싱크대의 품질 및 수명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싱크대 바닥면에 설치되는 다리의 설치결합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싱크대 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돌기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플랜지에 구비된 결합부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몸체 하부에 높이조절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예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몸체 하부에 높이조절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부가되어 사용되는 클립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싱크대 설치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종래 싱크대 다리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예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싱크대 다리 11 ; 몸체
11a, 11b ; 나사부 12 ; 플랜지
12a ; 통공 12b ; 개방요홈
13 ; 결합돌기 13a, 13b ; 돌출선
14 ; 체결부재 20, 20' ; 높이조절부재
30 ; 클립 31 ; 다리결합부
32 ; 체결부 40 ; 앞가리개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싱크대의 싱크대바닥판에 설치되어 싱크대가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다수의 체결부재(14)가 설치되도록 다수의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싱크대바닥판(50)의 저부에 형성한 요홈(51)에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돌기(13)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플랜지(12);
상기 플랜지(12)와 일체로 하방향 소정길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높이조절부재(20)와 나사결합되록 나사부(11a)가 구비되는 몸체(11);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다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 싱크대 다리(10)는 원통형의 몸체(11)와, 이러한 몸체(11)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된 플랜지(12)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12)에는 나사못이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삽설되는 체결부로서 통공(12a)을 다수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플랜지(12)의 중앙부에는 상향 돌출된 결합돌기(13)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13)는 싱크대바닥판에 삽설되도록 구비된 것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연에 세로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선(13a)을 구비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연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돌출선(13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2)에 형성한 통공(12a)은 그 대신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13)의 외곽 일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갖는 개방요홈(12b)으로 대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는 하부 외주연에 나사부(11a)를 형성하는 바,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 구비되는 높이조절부재(20)가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몸체(11)의 하부는 높이조절부재(20)의 내부로 삽설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써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몸체(11)의 내주연에 나사부(11b)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된 높이조절부재(20')를 체결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 싱크대 다리에는 싱크대의 하부공간을 보이지 않고 정돈하기 위해 싱크대 하단과 바닥과의 사이 전면에 앞가리개를 설치하기도 하는 바, 이 때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1) 외주연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링 형태의 다리결합부(31)에 앞가리개의 상단을 고정하도록 하는 체결부(32)를 구비한 클립(3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클립(30)의 다리결합부(31)를 싱크대 다리의 몸체(1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 결합시키고, 클립(30)의 체결부(32)는 앞가리개(40)를 파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싱크대 다리(10)를 싱크대바닥판(50)에 설치하는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바닥판(50)에는 저부로부터 형성한 요홈(51)을 구비한다. 이러한 요홈(51)은 본 고안의 플랜지(12)에 구비된 결합돌기(13)에 대응하는 직경 및 깊이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싱크대 다리(10)의 결합돌기(13)를 싱크대바닥판(50)에 형성한 요홈(51)에 끼워 결합시키게 되며, 이때 플랜지(12)에 형성한 체결부인 통공(12a) 또는 개방요홈(12b)을 통해 볼트 등의 체결부재(14)로 체결 고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싱크대 다리 설치에 있어서는 싱크대바닥판을 관통하지 않고도 견고히 결합하게 되며 다리가 설치되는 부위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다리 설치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8)

  1. 싱크대의 싱크대바닥판에 설치되어 싱크대가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다수의 체결부재(14)가 설치되도록 다수의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싱크대바닥판(50)의 저부에 형성한 요홈(51)에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돌기(13)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플랜지(12);
    상기 플랜지(12)와 일체로 하방향 소정길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높이조절부재(20)와 나사결합되록 나사부(11a)가 구비되는 몸체(11);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2)의 결합돌기(13)는 외주연에 세로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선(13a)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다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2)의 결합돌기(13)는 외주연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선(13b)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다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14)가 설치되는 플랜지(12)의 체결부는 통공(12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다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14)가 설치되는 플랜지(11)의 체결부는 플랜지(12)의 외곽 일방향으로 개방된 개방요홈(12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다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나사부(11a)는 몸체(11)의 외주연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다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나사부(11b)는 몸체(11)의 내주연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다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에는 싱크대의 하부공간을 가리는 앞가리개(40)를 설치하도록 하는 클립(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다리.
KR2019990012797U 1999-07-01 1999-07-01 싱크대다리 KR200163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797U KR200163239Y1 (ko) 1999-07-01 1999-07-01 싱크대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797U KR200163239Y1 (ko) 1999-07-01 1999-07-01 싱크대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239Y1 true KR200163239Y1 (ko) 2000-02-15

Family

ID=1957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797U KR200163239Y1 (ko) 1999-07-01 1999-07-01 싱크대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2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6609A1 (en) Pushnut
KR101161704B1 (ko) 벽 장착용 물체를 부착하는 장치
KR100301158B1 (ko) 바람직하게는 가구의 지지벽에 힌지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금속고정수단용 조임판
CA2370662A1 (en) Floor construction comprising joists provided with level adjusting spacer screws, joists and spacer screws therefor
KR200222114Y1 (ko) 앞가리개 설치클립을 구비한 싱크대 다리
KR200163239Y1 (ko) 싱크대다리
US6314593B1 (en) Sanitary fitting
US20060156466A1 (en) Grab bar assembly
JPS58166113A (ja) 家具の固定用金具の取付け板
US6615413B1 (en) Toilet mounting assembly
KR101966705B1 (ko) 가림판 장착용 싱크대 다리
KR20150004216U (ko)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 지지부재
KR200402515Y1 (ko) 업소용 가스레인지의 다리연결구조
JPH0522647Y2 (ko)
CN217337889U (zh) 一种用于橱柜的可调节的地脚组件
JPH0414035Y2 (ko)
KR200227756Y1 (ko) 의자받침골조 마감재
JP2005185601A (ja) テーブルの脚構造
JPS6139201Y2 (ko)
KR200368873Y1 (ko) 책상 선반용 봉 결합구조
KR200246559Y1 (ko) 책상용간막이고정구
KR100535499B1 (ko) 엔진 커버의 결합 장치
KR200284608Y1 (ko) 호형절곡부 하면에 호형받침구를 부착한 의자받침틀
KR950009898Y1 (ko) 조립식 욕실의 벽체 연결장치
KR19990034995U (ko) 가구용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