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220Y1 - 카메라의촬영상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의촬영상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220Y1
KR200163220Y1 KR2019990012773U KR19990012773U KR200163220Y1 KR 200163220 Y1 KR200163220 Y1 KR 200163220Y1 KR 2019990012773 U KR2019990012773 U KR 2019990012773U KR 19990012773 U KR19990012773 U KR 19990012773U KR 200163220 Y1 KR200163220 Y1 KR 200163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mage
convex mirror
support plate
targe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7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숙
Original Assignee
유병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숙 filed Critical 유병숙
Priority to KR20199900127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촬영 기능을 구비한 대상제품(200) 또는 카메라(100)에 볼록거울(141)과 같은 영상 확인요소(140)가 결합되어 촬영하고자 하는 사람 및 물건과 같은 피사체의 촬영되는 영상의 구도, 범위 및 형태를 확인 및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카메라로 작업자 및 물건을 촬영하면서 카메라 본체에 결합된 거울에 투영된 영상으로 촬영되는 영상의 구도, 범위 및 형상을 확인 및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종래에는 촬영되는 영상을 카메라의 표시창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카메라의 전방에 위치한 작업자가 촬영되는 영상의 구도, 범위 및 형태를 확인할 수 없거나, 카메라에 결합된 별도의 고가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확인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간단하게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매우 간단한 장치로 되어 있으므로 원가의 부담없이 보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적용되는 제품의 신뢰성 및 가치를 향상시키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Method to certify photograph image and apparatus thereof}
본 고안은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기능을 구비한 대상제품의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하면서 대상제품 또는 카메라의 본체에 볼록거울과 같은 영상 확인요소를 결합하여, 촬영자의 촬영되는 영상의 구도 범위 및 형상을 간단하게 확인 및 수정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카메라는 촬영자가 카메라의 투사창을 통하여 촬용되는 사람과 물건 등의 피사체를 확인하면서 촬영하도록 되어 있고, 카메라 앞에 위치하여 촬영되는 사람은 촬영되는 모습을 확인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되는 사람의 마음에 드는 촬영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카메라에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결합하여 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촬영되는 형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장치가 보급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것은 고가의 비용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통상의 제품에는 범용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카메라의 본체에 볼록거울과 같은 영상 확인요소를 결합하여, 촬영자의 촬영되는 영상의 구도, 범위 및 형상을 간단하게 확인 및 수정하면서 촬영할 수 있게 되는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을 데스크탑 컴퓨터에 적용한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노트북 컴퓨터에 적용한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3a는 화상전화기에 적용한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3b는 로크수단을 보인 부분 종단면도.
도 4a는 스틸 및 디지탈 카메라에 적용한 형태를 보인 정면도.
도 4b는 거울 결합수단를 보인 사시도.
도 5a, 도 5b는 휴대폰에 적용한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6a, 도 6b는 각도조절 지지수단을 보인 종단면도.
도 7a, 7b, 7c는 이미지 위치를 판단용 표식부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카메라의 텔리, 와이드조절에 따른 영상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카메라 110 : 받침대
120 : 본체 130 : 렌즈
140 : 영상 확인요소 141 : 볼록거울
142 : 지지판 150 : 기초 표시부
151 : 중앙 표시선 152 : 주변 표시선
153 ; 중심 표시선 154 : 종방향 표시선
155 : 횡방향 표시선 160 : 영상영역 표시부
161 : 영역표시선 162,163 : 영역 표시선
300 : 각도조절 지지수단 200 : 대상제품
230 : 화상전화기 233 : 디스플레이
233a : 삽입홈 300 : 각도조절 지지수단
310 : 볼 조인트 311 : 고정부
312 : 가변 지지판 313 : 구형홈
313 : 구형홈 314 : 볼
350 : 슬라이드 결합수단 351 : 로커
360 : 힌지 결합수단 410 : 걸림구
411 : 걸림레일 420 : 연결부
421 : 걸림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는 상기 대상제품 또는 카메라에 영상 확인요소가 결합되어 촬영하고자 하는 사람 및 물건과 같은 피사체의 촬영되는 영상의 구도, 범위 및 형태를 확인 및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영상 확인요소에는 거울, 특히 볼록거울을 사용하는 것이 넓은 면적을 투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확인요소 또는/및 핀홀 카메라는 본체에 방향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 지지수단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물론 고정형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각도조절 지지수단에는 예를들어 볼 조인트가 이용된다.
이 볼 조인트는 예를들어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대상제품 또는 카메라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에 구형홈이 형성되고, 볼록거울 또는/및 핀홀 카메라가 부착되는 가변 지지판에 형성된 볼이 고정부의 구형홈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대상제품의 케이스에 볼록거울이 전면에 부착된 지지판이 슬라이드 결합수단으로 삽입, 취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결합수단은 대상제품의 케이스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지지판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로커에 의해 삽입 및 취출된 위치에서 로크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대상제품의 케이스에 볼록거울이 전면에 부착된 지지판이 힌지 결합수단으로 결합되어 회전식으로 펼치거나, 접어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볼록거울을 접은 경우 사용자가 화장용을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대상제품이 독립형 카메라인 경우 카메라에 구비된 상면 걸림구(악세사리 슈)에 볼록거울이 부착된 지지판을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걸림구는 양측부에 걸림레일이 절곡 형성되고, 지지판의 하면 중간부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걸림구의 걸림레일에 연결부의 걸림홈을 끼워맞춤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볼록거울에는 피사체의 촬영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기초 표시부와 영상영역 표시부가 표시된다.
상기 볼록거울 또는/및 핀홀 카메라의 각도조절수단, 볼록거울의 슬라이드 결합수단, 볼록거울의 힌지 결합수단, 걸림구를 이용한 끼워맞춤수단은 대상제품을 가릴 것이 없이 적용하기 적합하다면 임의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본 고안을 데스크탑 컴퓨터에 적용한 형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을 노트북 컴퓨터에 적용한 형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100은 카메라를 보인 것으로, 이 카메라(100)는 받침대(110) 위에 본체(120)가 결합되고, 본체(120)에 렌즈(130)가 결합되어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210) 및 노트북 컴퓨터(220)와 같은 촬영기능을 구비한 대상제품(200)에 통상의 구조와 같이 고정형 또는 각도 조절형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100)에는 영상 확인요소(140)가 결합되어 촬영하고자 하는 사람 및 물건과 같은 피사체의 촬영되는 영상의 형태를 확인 및 수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영상 확인요소(140)에는 거울, 특히 볼록거울(141)을 사용하는 것이 넓은 면적을 투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확인요소(140)와 카메라(100)는 본체(120)에 예를들어, 방향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 지지수단(300)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물론 고정형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도 6a, 도 6b는 각도조절 지지수단을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각도조절 지지수단(300)에는 볼 조인트(310)가 이용되며, 이 볼 조인트(310)는 대상제품(200) 또는 카메라 본체(120)에 고정되는 고정부(311)에 구형홈(313)이 형성되고, 볼록거울(141)이 부착되는 가변 지지판(312)에 형성된 볼(314)이 고정부(311)의 구형홈(313)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각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b에 도시된 각도조절 지지수단(300)은 가변 지지판(312)에 볼록거울(141)이 부착됨과 아울러 핀홀 카메라(100)가 함께 부착되어 가변 지지판(312)을 조절함에 따라 볼록거울(141)과 카메라(100)가 함께 위치 조절되도록 되어 있으며, 볼 조인트(310)는 도 6a와 같이 적용된다.
또한, 상기 영상 확인요소(140)는 카메라(100)에 부착하는 대신, 데스크탑 컴퓨터(210) 및 노트북 컴퓨터(220)의 본체에 부착하여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스크탑 컴퓨터(210)와 노트북 컴퓨터(220)에 적용할 수 있고, 이외에 화상송신 기능을 갖는 탁상용 및 휴대용 화상전화기, 셀룰러폰(핸드폰, 휴대폰등), 독립형 스틸, 디지탈 및 비디오 카메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카메라가 부설된 제품, 그리고 독립형 카메라와 같은 촬영기능을 구비한 대상제품(200)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데스크탑 컴퓨터(210) 및 노트북 컴퓨터(220)에 적용한 경우에는 카메라(100)로 촬영을 하여 편집, 출력, 전송 등의 작업을 행하면서 볼록거울(141)에 비치는 투영상을 보면서 촬영 구도 및 범위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으므로 촬영자의 마음에 드는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3a에는 본 고안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를 화상전화기에 적용한 형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b에는 로크수단을 보인 부분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3b의 다른 실시예는 대상제품(200)에 화상전화기(230)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 화상전화기(230)는 전화기 본체(231)의 일측부에 송수화기(232)가 구비되고, 후방부에 디스플레이(233)가 경사지게 결합되고, 디스플레이(233)의 상측 중간부에 핀홀형 카메라(100)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화상전화기(230)의 디스플레이(233) 케이스에 볼록거울(141)이 전면에 부착된 지지판(142)이 슬라이드 결합수단(350)으로 삽입, 취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결합수단(350)은 디스플레이(233)의 케이스에 삽입홈(233a)을 형성하여, 지지판(142)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로커(351)에 의해 삽입 및 취출된 위치에서 로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커(351)는 디스플레이(233)의 케이스에 형성한 홈에 스프링과 잠금구를 삽입한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지지판(142)에는 상기 로커(351)가 걸려 고정되는 잠김홈(142a),(142b)이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는 화상전화기(230)를 이용하여 음성, 화상전송 모드 통신을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233)에 결합된 지지판(142)을 취출시켜 영상 확인요소(140)의 지지판(142)에 부착된 볼록거울(141)을 이용하여 촬영 구도, 범위 및 형상을 확인하고 조절하면서 통신을 행하고, 영상 확인요소(14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지판(142)을 디스플레이(233)의 삽입홈(233a) 내측으로 밀어 넣어 보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42)을 삽입하게 되면 로커(351)가 지지판(142)의 상부 잠김홈(142a)에 걸려 삽입된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되고, 지지판(142)을 취출하는 경우에는 로커(351)가 지지판(142)의 하부 잠김홈(142b)에 걸려 취출된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도 4a는 본 고안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를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 스틸 및 디지탈 카메라에 적용한 형태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4b에는 거울 결합수단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4b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촬영기능을 구비한 대상제품(200)에는 스틸,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독립형 카메라(100)가 이용되고 있으며, 카메라(100)에 플래쉬와 같은 부착물을 결합하기 위하여 구비된 걸림구(410)에 볼록거울(141)이 부착된 지지판(142)을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100)의 상면 중간부에 구비된 걸림구(410)는 양측부에 걸림레일(411)이 절곡 형성되고, 지지판(142)의 하면 중간부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420)에는 걸림홈(421)이 형성되어 통상의 플래쉬와 같이, 걸림구(410)의 걸림레일(411)에 연결부(420)의 걸림홈(421)을 일치시키고, 지지판(142)을 밀어 넣으면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는 영상 확인요소(140)의 볼록거울(141)을 필요에 따라 독립형 카메라(100)에 간단히 결합하여, 독립형 카메라(100)로 촬영을 할 때에도 촬영 구도, 범위 및 형상을 확인하고 조절하면서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a, 도 5b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휴대폰에 적용한 형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촬영기능을 구비한 대상제품(200)으로 휴대용 화상전화기(240)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 휴대용 화상전화기(240)는 예를들어 커버(241)가 힌지 결합되고, 본체에 디스플레이(242)가 구비되어 있으며, 본체의 상단 중간부에 핀홀형 카메라(100)가 결합되어 있다.
이 휴대용 화상전화기(240)는 상기 탁상용 화상전화기(230)와 같이, 볼록거울(141)이 전면에 부착된 지지판(142)이 본체에 슬라이드 결합수단(350)으로 삽입, 취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휴대용 화상전화기(240)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음성 및 화상을 전송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 휴대용 화상전화기(240)로 화상 기능의 통신을 할 때에 볼록거울(141) 지지판(142)을 취출시켜 촬영되는 구도, 범위 및 형상을 확인하고 조절하면서 통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제품은 일정한 장소에 재치시키고 사용하는 탁상용 제품과는 다르게 손에 들고 자유자재로 움직이면서 통신을 하는 것이므로, 휴대용 화상전화기(240)의 위치 및 방향이 수시로 변경되지만, 휴대용 화상전화기(240) 본체를 수시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볼록거울(141)과 핀홀 카메라(100)가 본체와 함께 움직이면서 항상 같은 방향 및 위치를 비추게 되므로 항상 현재의 촬영 구도, 범위, 모습 및 표정을 확인 및 조절하면서 원하는 좋은 촬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b에서 휴대용 화상전화기(240)는 볼록거울(141)이 전면에 부착된 지지판(142)이 본체에 힌지 결합수단(360)으로 결합되어, 촬영을 할 때에는 도 5b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거울(141)과 지지판(142)을 회전식으로 펼쳐 사용하고, 촬영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볼록거울(141)과 지지판(142)을 접어 보관 및 휴대하게 되며, 이와 같이 접게 되면 볼록거울(141)이 후방으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화장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얻게 된다.
상기 볼록거울(141)에는 피사체의 촬영되는 영상의 구도 및 범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기초 표시부(150)와 영상영역 표시부(160)가 표시되어 있다.
도 7a는 볼록거울(141)의 전면 중앙부에 원형의 중앙 표시선(151)이 표시됨과 아울러 주연부에 장방형의 주변 표시선(152)이 표시되어 있다.
도 7b는 볼록거울(141)의 전면 중앙부에 원형의 중앙 표시선(151)이 표시됨과 아울러 주연부에 장방형의 주변 표시선(152)이 표시되어 있으며, 종,횡 표시선(154),(155)이 십자형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7c는 볼록거울(141)의 전면 중앙부에 원형의 중앙 표시선(151)이 표시됨과 아울러 주연부에 장방형의 주변 표시선(152)이 표시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종방향 표시선(154)과 횡방향 표시선(155)이 일정한 간격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8은 카메라의 텔리, 와이드조절에 따른 영상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의 정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거울(141)의 전면에 텔리, 와이드 조절에 따른 영상의 구도, 범위 및 형태를 확인 및 조절할 수 있도록 영상영역 표시부(160)가 표시되어 있 이 영상영역 표식(160)은 복수개의 영역 표시선(161),(162),(163)으로 이루어지며, 촬영되는 크기를 복수개의 영역 표시선(161),(162),(163)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기초 표시부(150)와 영상영역 표시부(160)는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만 표시하거나,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는 사용자가 데스크탑 컴퓨터(210)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카메라(100)의 본체(120)에 결합된 볼록거울(141)에 영상이 투영되므로, 이 볼록거울(141)에 투영되는 영상을 보면서 카메라(100)에 촬영되는 영상의 구도, 범위 및 형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촬영 구도 및 모습을 수정하면서 마음이 드는 형태로 촬영 및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 볼록거울(141)에는 중심 표시선(153), 중앙 표시선(151), 종방향 표시선(154) 및 횡방향 표시선(155)으로 된 기초 표시부(150)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볼록거울(141)에 투영되는 영상을 기초 표시부(150)에 의해 촬영 구도, 범위 및 형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적합한 형태로 수정하기가 쉬우며, 복수개의 영역 표시선(161),(162),(163)으로 된 영상영역 표시부(160)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텔리, 와이드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을 할 때에 촬영 구도, 범위 및 형태를 영상영역 표시부(160)에 의해 쉽게 확인하면서 쉽게 수정하여 마음에 드는 촬영를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체(120)에 결합된 볼록거울(141)이 각도조절 지지수단(30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촬영 중 투영되는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가변 지지판(312)의 모서리부를 눌러 가변 지지판(312)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투영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도 조절은 장치에 따라 볼록거울(141)에 투영되는 영상과 카메라(100)에 촬영되는 영상을 비교하면서 필요한 경우 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는 촬영기능을 구비한 대상제품의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하면서 카메라 본체에 결합된 거울에 투영된 영상으로 촬영되는 영상의 구도, 범위 및 형태를 확인 및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종래에는 촬영되는 영상을 카메라의 표시창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카메라의 전방에 위치한 작업자가 촬영되는 영상의 구도, 범위 및 형태를 확인할 수 없거나, 카메라에 결합된 별도의 고가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확인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간단하게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매우 간단한 장치로 되어 있으므로 원가의 부담없이 보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테이블 위에 올려 놓고 사용하는 탁상용은 물론이고, 손으로 들고 자유자재로 움직이면서 사용하는 휴대용 화상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제품인 경우에도 카메라와 블록거울이 항상 본체와 함께 움직이면서 촬영하고 투영하게 되므로 항상 실제의 촬영 구도, 범위 및 형상을 확인 및 조절하여 원하는 좋은 촬영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는 촬영기능을 구비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의 퍼스널 컴퓨터, 탁상용 및 휴대용 화상전화기, 화상전송용 셀룰러폰(핸드폰, 휴대폰등), 독립형 스틸, 디지탈 및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대상제품의 신뢰성 및 가치를 향상시키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촬영기능을 구비한 대상제품(200)의 카메라(100)로 촬영되는 영상의 구도, 범위 및 형상을 확인 및 수정하기 위한 영상 확인요소(140)를 대상제품(200) 또는 카메라(100)에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확인요소(140)는 볼록거울(1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확인요소(140)는 방향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 지지수단(300)으로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 지지수단(300)에는 볼 조인트(310)가 이용되며, 이 볼 조인트(310)는 대상제품(200) 또는 카메라 본체(120)에 고정되는 고정부(311)에 구형홈(313)이 형성되고, 볼록거울(141)이 부착되는 가변 지지판(312)에 형성된 볼(314)이 고정부(311)의 구형홈(313)에 삽입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확인요소(140)는 본체(120)에 방향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 지지수단(300)으로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 지지수단(300)에는 볼 조인트(310)가 이용되며, 이 볼 조인트(310)는 대상제품(200) 또는 카메라 본체(120)에 고정되는 고정부(311)에 구형홈(313)이 형성되고, 볼록거울(141)과 핀홀 카메라(100)가 부착되는 가변 지지판(312)에 형성된 볼(314)이 고정부(311)의 구형홈(313)에 삽입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제품(200)의 케이스에 볼록거울(141)이 전면에 부착된 지지판(142)이 슬라이드 결합수단(350)으로 삽입, 취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 결합수단(350)은 케이스에 삽입홈(233a)을 형성하여, 지지판(142)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로커(351)에 의해 삽입 및 취출된 위치에서 로크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제품(200)에 볼록거울(141)이 전면에 부착된 지지판(142)이 힌지 결합수단(360)으로 결합되어, 회전식으로 펼치고, 접어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제품(200)의 독립형 카메라(100)에 구비된 상면 걸림구(410)에 볼록거울(141)이 부착된 지지판(142)을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걸림구(410)는 양측부에 걸림레일(411)이 절곡 형성되고, 지지판(142)의 하면 중간부에 형성된 연결부(420)에는 걸림홈(421)이 형성되어, 걸림구(410)의 걸림레일(411)에 연결부(420)의 걸림홈(421)을 끼워맞춤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거울(141)의 전면에 일반 촬영할 때에 영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초 표시부(1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거울(141)의 전면에 텔리, 와이드 조절에 따른 영상의 위치와 영역을 확인하기 위한 영상영역 표시부(1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
KR2019990012773U 1999-07-01 1999-07-01 카메라의촬영상확인장치 KR200163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773U KR200163220Y1 (ko) 1999-07-01 1999-07-01 카메라의촬영상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773U KR200163220Y1 (ko) 1999-07-01 1999-07-01 카메라의촬영상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220Y1 true KR200163220Y1 (ko) 2000-02-15

Family

ID=1957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773U KR200163220Y1 (ko) 1999-07-01 1999-07-01 카메라의촬영상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2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180B2 (en) Camera device
AU2011101746A4 (en) An attachment for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KR100842552B1 (ko) 파노라마 사진 촬영 방법
US20080239061A1 (en) Firs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070252674A1 (en) Face Image Correction
US20090115915A1 (en) Camera Based Feedback Loop Calibration of a Projection Device
US20080064437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tereoscopic Imagemaking Capability
US9658517B2 (en) Camera mounting device
KR20040066029A (ko) 정보 단말 장치
EP2479977A3 (en) Digital camera and portable telephone equiped with digital camera
KR20160097175A (ko) 회전 셀카봉
WO201519408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062578A (ja) カメラ撮影用ホルダ
KR200163220Y1 (ko) 카메라의촬영상확인장치
KR20070058263A (ko)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촬영방법
KR20010007200A (ko) 카메라의 촬영상 확인장치
JP2012010059A (ja) 撮影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遠隔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0214517A5 (ko)
KR101848833B1 (ko)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US7376345B2 (en) Camera reference device and method of taking a photographic image using a camera reference device
KR100742570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110013662A (ko) 미러볼이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JP201601909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492557B1 (ko) 휴대용 단말기
JP3962881B2 (ja) 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1117

Effective date: 2005022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