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198Y1 - 콘크리트구조물설치를위한거푸집시공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구조물설치를위한거푸집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198Y1
KR200163198Y1 KR2019990012742U KR19990012742U KR200163198Y1 KR 200163198 Y1 KR200163198 Y1 KR 200163198Y1 KR 2019990012742 U KR2019990012742 U KR 2019990012742U KR 19990012742 U KR19990012742 U KR 19990012742U KR 200163198 Y1 KR200163198 Y1 KR 200163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upport
concrete
constru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김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수 filed Critical 김병수
Priority to KR2019990012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1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1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04G11/087Fill-in form panels in the plane of two adjacent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체나 옹벽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설치를 위한 거푸집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공과 해체가 신속용이하면서 콘크리트 타설압력에 의해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하여 시공된 구조물의 외관이 미려토록 할 뿐 아니라, 여러번 반복하여 재사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지돌편(12)에 의해 결합홈(13)이 형성된 지지대(10)의 결합홈(13) 상에 결합부(23)가 형성된 거푸집(20)을 조립식으로 끼워 결합되게 하고, 지지대(10) 사이에는 간격유지봉(32)이나 쐐기(29) 및 체결나봉(30)을 이용하여 연결설치하므로서 견고한 거푸집 시공과 콘크리트 타설압력에 의한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설치를 위한 거푸집 시공장치{Constructing device of mold for concrete construction}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체나 옹벽공사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설치하는 거푸집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공과 해체가 신속용이하면서 견고하여 사용중 시공된 거푸집이 변형되지 않게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벽체나 옹벽공사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사용하고 있으며, 이때 거푸집 외면에는 각목으로 된 지지대를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 설치한 다음 서푸집 사이의 중간중간에는 간격유지를 위한 버팀목, 혹은 파이프를 끼워 넣은 다음 철사나 나사봉 등으로 죄어가면서 거푸집 공사를 하여야 하므로 거푸집 공사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것이었다.
뿐만아니라 거푸집공사시 간격유지를 위하여 중간중간에 파이프를 설치한 다음 나사봉을 나사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콘크리트 타설작업중 파이프가 파손된 부분을 통하여 파이프내로 몰탈이 유입되어 양생되므로 거푸집 해체작업시 나사봉의 제거가 곤란하여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시정하고자 콘크리트 벽체나 옹벽공사를 위한 거푸집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문적인 기술이 없는 작업자도 신속용이하게 거푸집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된 거푸집의 지지대는 사용중 휘어지지 않게 구성하여 시공된 벽체나 옹벽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질의 합성수지나 가볍고 견고한 금속소재를 이용하여 지지대를 압출성형하되, 지지대 상에는 거푸집이 끼워져 삽입고정되는 결합홈을 좌우에 구성하고, 상기한 구성의 지지대 상에 거푸집을 조립하여 끼워 넣은 방식으로 거푸집이 시공되도록 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에 사용되는 지지대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사용되는 지지대의 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사용되는 거푸집의 사시도
도 4 : 본 고안에 사용되는 거푸집의 배면구성도
도 5 : 본 고안의 시공상태 단면구성도
도 6 : 본 고안의 지지대와 거푸집의 분해사시도
도 7 : 본 고안에 사용되는 연결구의 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지지대 (11)--본체
(12)--지지돌편 (13)--결합홈
(14)--체결장공 (15)--거푸집 고정공
(16)--통공 (17)--사각공
(20)--거푸집 (22)--미장판
(23)--결합부 (24)--보강돌편
(29)--쐐기 (30)--체결나봉
(31)(33)--너트 (32)--간격유지봉
(34)--테이프 (35)--연결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 거푸집 시공장치에 사용되는 지지대(10)의 사시도이고, 도3은 지지대(10)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거푸집(20)의 사시도이다.
지지대(1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지지대(10)의 본체(11) 양측 단부에 지지돌편(12)을 돌출구성하므로서 상대적으로 결합홈(13)이 구성되게 하고, 본체(11) 양측부와 일측 지지돌편(12) 상에는 체결장공(14)과 거푸집 고정공(15)을 구성하고, 본체(11) 전후면에는 통공(16)과 사각공(17)이 각각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지지대(10)를 콘크리트 벽체나 옹벽공사를 하고자 하는 장소에 등간격으로 세워 고정설치한다.
이때 지지대(10)이 설치간격은 거푸집(20)의 폭간격과 동일하게 한다.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대(10)의 고정설치가 완료되면 지지대(10)의 결합홈(13) 상에 거푸집(20)을 끼워 결합하게 된다.
이때 일측 지지대(10)을 먼저 세운 다음 결합홈(13) 상에 거푸집(20)을 필요한 갯수로 끼우고, 고정공(15)을 통하여 쐐기(29)를 박아 거푸집(20)이 고정되게 하고, 그 일측에 다시 지지대(10)를 세우는 작업으로 거푸집공사를 할수도 있다.
거푸집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받침판(21) 전면에 합판 등으로 구성되는 미장판(22)을 고정설치하되, 받침판(21) 전면에 고정설치되는 미장판(22)의 높이는 받침판(21)과 동일하게 구성하나 폭은 약간 짧게 구성하여 도3에서와 같이 받침판(21) 상에 결합부(23)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받침판(21) 배면에는 종횡의 보강돌편(24)이 돌출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워 설치된 지지대(10) 상에 거푸집(20)을 끼워 넣게 되면 거푸집(20)의 결합부(23)가 지지대(10)의 결합홈(13) 상에 끼워지면서, 거푸집920)의 미장판(22)과 지지대(10)의 지지돌편(12)과 나란한 상태가 되게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공(15)에 쐐기(29)를 박아 지지대(10) 상에 거푸집(20)의 조립이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지지대(10) 상에 거푸집(20)의 결합이 완료되면 거푸집(20)과 지지대(10)의 보다 견고한 조립을 위하여 도5에서와 같이 지지대(10)의 측부에 구성된 체결장공(14)에 체결나봉(30)을 끼운 다음 너트(31)로 조립되게 하므로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할수도 있다.
동시에 지지대(10)의 상하부에서도 도5에서와 같이 간격유지봉(32)을 연결하여 거푸집(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즉 지지대(10) 상하부에 구성된 사각공(17)과 통공(16)을 통하여 간격유지봉(32)을 끼운 다음 지지대(10)의 외측부에서 너트(33)를 죄어고정케 하므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압력에 의해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케 하며, 이때 간격유지봉(32) 외면에는 구리스와 같은 물질을 도포한 다음 외면에 테이프(34)를 감아두므로서 거푸집 해체공사시 간격유지봉(32)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상기 시공작업시 벽체나 옹벽의 높이가 높아 지지대(10)가 짧을 경우에는 도6에서와 같이 구성된 연결구(35)를 이용하여 지지대(10)를 두개이상 조립연결사용할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40)은 콘크리트, (41)은 받침편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안의 거푸집 시공장치는 거푸집 시공시 거푸집(20)의 폭과 같은 간격으로 지지대(10)를 등간격으로 세워 고정설치한 다음 지지대(10)에 구성된 결합홈(13) 상에 거푸집(20)을 끼워 넣는 간단한 작업으로 거푸집의 시공이 완료되므로 신속용이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방법 이외에도 지지대(10)를 먼저 세워 설치한 다음, 일측 결합홈(13)에 거푸집(20)을 필요한 갯수로 끼우고, 다시 지지대(10)를 세워 설치하는 작업의 순서로도 시공이 된다.
또한 지지대(10) 사이를 체결나봉(30)과 간격유지봉(32)으로 연결하여 두므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압력에 의한 거푸집(20)의 간격벌어짐을 방지할 수 잇게 될 뿐 아니라 보다 견고한 시공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푸집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콘크리트(40)를 타설한 후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 해체를 하게 되며, 이때에도 체결나봉(30)과 간격유지봉(32)을 먼저 분리한 다음 거푸집(20)과 지지대(10)를 제거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완료되므로 해체작업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40) 내에 위치하는 간격유지봉(32)은 그 외면에 구리스가 도포된 상태에서 테이프(34)가 감겨져 있어, 간격유지봉(32)을 해체하고자 할때 너트(33)를 분리한 다음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테이프(34)는 콘크리트(40)내에 남고, 간격유지봉(32)만 간단히 분리된다.
거푸집 시공이 벽체나 옹벽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도6에서와 같이 구성된 연결구(35)를 이용하여 지지대(10)를 두개이상 연결조립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옹벽의 높이가 비교적 높더라도 지지대가 가볍고 튼튼하여 휘어지지 않으므로 상하단부에만 나사봉 또는 철사 등으로 지지하면 되므로 시공이 신속하며, 종래에 비하여 나사봉의 사용갯수도 줄일수 있게 되므로 경제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체나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함에 있어서, 지지대를 세워 고정하고, 그 사이에 거푸집을 끼워 조립한 다음, 간격유지봉이나 쐐기 및 체결나봉으로 체결고정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시공이 완료되므로 거푸집 시공작업이 신속용이할 뿐 아니라 시공작업중 지지대나 거푸집이 콘크리트 타설압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시공된 벽체나 옹벽의 외관이 미려하며, 또한 지지대나 거푸집을 여러번 재사용할수 있어 경제적인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콘크리트 벽체나 옹벽공사를 위한 거푸집을 시공설치함에 있어서, 결합홈(13)이 형성된 지지대(10)를 세워 설치하고, 상기 결합홈(13) 상에 결합부(23)가 형성된 거푸집(20)을 조립식으로 끼워 결합고정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설치를 위한 거푸집 시공장치.
KR2019990012742U 1999-07-01 1999-07-01 콘크리트구조물설치를위한거푸집시공장치 KR200163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742U KR200163198Y1 (ko) 1999-07-01 1999-07-01 콘크리트구조물설치를위한거푸집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742U KR200163198Y1 (ko) 1999-07-01 1999-07-01 콘크리트구조물설치를위한거푸집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198Y1 true KR200163198Y1 (ko) 2000-02-15

Family

ID=1957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742U KR200163198Y1 (ko) 1999-07-01 1999-07-01 콘크리트구조물설치를위한거푸집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1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9216B1 (ko) 조립식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축공법
US20090272876A1 (en) Modular formwork wall with dovetail joint connectors
KR101523987B1 (ko) 벽체 거푸집에 사용되는 h형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벽체용 에코 거푸집의 제작방법
WO2008004852A1 (en) Vertical construction joints
KR200163198Y1 (ko) 콘크리트구조물설치를위한거푸집시공장치
KR102128291B1 (ko) 철근 콘크리트 천장의 단열재 고정장치
US20210404176A1 (en) Method and module system for building a wall structure
US20170016237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Creating a Wall from a Flowable Material
KR100266905B1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및 그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구조물
KR200159182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198525Y1 (ko) 목재 벽체거푸집 해체용 금구
JP2001011991A (ja) 型枠用パネルおよび型枠
KR200157465Y1 (ko) 거푸집고정용 앵커
KR101426650B1 (ko) 건축물 골조 형성 구조
KR101780410B1 (ko) 거푸집 고정용 간격유지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구조체
KR100579448B1 (ko) 건축 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의 측면 보강장치
KR20090004113U (ko) 코너 벽면용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KR100420941B1 (ko) 매설사다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186918Y1 (ko) 유로폼 벽체거푸집 해체용 금구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200198993Y1 (ko) 유로폼과 갱폼의 간격유지용 체결구
KR200237667Y1 (ko)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100322412B1 (ko) 조립식철골조와이를이용한건축공법
KR200277931Y1 (ko) 거푸집 연결용 스페이서
KR960007039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