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079Y1 - 투 포원 연사기 - Google Patents

투 포원 연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079Y1
KR200163079Y1 KR2019970009892U KR19970009892U KR200163079Y1 KR 200163079 Y1 KR200163079 Y1 KR 200163079Y1 KR 2019970009892 U KR2019970009892 U KR 2019970009892U KR 19970009892 U KR19970009892 U KR 19970009892U KR 200163079 Y1 KR200163079 Y1 KR 200163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obbin
thread
cover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655U (ko
Inventor
장재모
Original Assignee
장재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모 filed Critical 장재모
Priority to KR2019970009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079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6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6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0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86Multiple-twist arrangements, e.g. two-for-one twisting devices ; Threading of yarn; Devices in hollow spindles for imparting false twi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부품의 개수를 줄여 간단하면서 고속회전에 적합한 연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부에는 내부는 공간부(24)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의 하부에는 일체로 된 돌기(20)를 형성하여 보빈(25)을 조립하는 보빈하우징(2)이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빈 하우징(2)에 조립된 보빈(25)에 감긴 실(W)을 덮개(1)의 사도(10)로 안내하는 사가이드(23)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가이드고정돌기(22)가 형성된 가이드설치부재(21)와, 상기 사가이드(23)를 통하여 안내된 실(W)을 안내하는 사도(10)와 내주에는 걸림턱(29)을 형성한 덮개(1)와, 상기 덮개(1)의 하부가 얹혀지도록 하고 상기 보빈하우징(2)을 내부에 조립설치하기 위한 공간부(34)와 중앙부에는 축을 삽입시켜 회전 가능하도록 크기의 샤프트홀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일체로 원형의 돌기(33)을 형성하며 상기 덮개(1)의 사도(10)를 통한 실(W)을 안내하는 사도(30)을 형성하여 고정용 프레임에 조립하기 위한 회전체(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포원 연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포원 연사기
본 고안은 투포원 연사기(TWO FOR ONE TWIST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부품의 개수를 줄여서 고속회전에 적합한 구조로 하여 한번의 회전으로 방적사용 실을 두 번 꼬아주도록 하는 연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포원 연사기는 일명 더블트위스트라고 불리는 것으로 방적사용 실을 한번의 회전으로 두 번 꼬아주도록 하는 구조이다.
종래의 투포원 연사기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 커버(4)에 넣어진 실(W)이 중공스핀들(40)에 지지된 실 안내기(41)를 거쳐 상기 중 공스핀들(40)의 내부 공간부(42)를 통해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보빈커버(4)가 지지부내에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반(44)의 중앙공간부를 통해 하향 이동한 실(W)은 그 하단에 부착한 밑판(45)의 내부에 내장한 실 안내구(46)를 통해 외부로 이동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체의 실 안내기(47)를 거쳐 상향 이동되는 실(W)은 피드로울러(48)를 경유한 후 캡에 근접되게 설치된 테이크업 로울러(49)에 의해 권취보빈(49a)에 팽팽하게 감겨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밑판(45)의 하단은 볼스타베어링(45a)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벨트(6)를 통해 모터의 회전력을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모터에 의해 양측에 다수개씩 설치한 보빈커버(4)를 회전시키면서 1회전시 2번의 꼬여지는 방적사용 실(W)을 얻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투포원 연사기에 의하여서는 밑판(45)과 실 안내구(46)에 의해 이루어지는 실 안내수단의 통로가 좁고 부품의 개수가 많으므로 고장이 자주 발생하면서 실(W)이 절단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함은 물론 A/S에 어려움이 많았다.
그리고, 본체의 실 안내기(41)를 통해 상향 공급되는 실(W)이 피드로울러(48)를 거치고 다시 캠과 연동하는 테이크업 로울러(49)를 경유하여 권취보빈(49a)에 팽팽하게 감기도록 하는 구조에서는 실(W)이 경유하는 것이 많으므로 실에는 많은 힘이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실이 끊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하나의 모터의 회전력을 벨트(6)를 통해 공급받는 모든 보빈커버(4)이 같이 회전하도록 하였으므로, 실(W)의 공급상태와 같은 작업상의 오차에 의해 모든 보빈커버(4)에 동일한 장력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못하여 회전이 불일치 됨은 물론 어느 한 부위의 고장 시에도 모터의 동력을 받는 모든 보빈커버가 정지해야 하는 번거로움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애의 연사기는 2도 (가)(나)에 보인 바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사기의 고속 회전에 응할 수 있도록 보빈(50, 59)를 얹혀 놓기 위한 받침대(51, 58)의 하부에 자석(52, 56)을 조립하고 연사기를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53)에 자석(54, 57)를 조립시켜 받침대(51, 58)의 하부에 조립된 자석(52, 57)과 프레임(53)에 조립된 자석(54, 57)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을 볼스타베어링(55)에 벨트(6)에 동력을 전달시켜 연사기가 고속회전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받침대(51, 58)와 프레임(53)에 각각의 자석(52, 54, 56, 57)을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받침대(51, 58)의 하부와 프레임(53)에 자석(52, 54, 56, 57)을 부착하기 위하여서는 많은 부품이 소요된다.
그리고 ,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연사기를 장시간 사용으로 자석의 자력이 상실되어 자석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어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속회전에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고속회전에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부품의 개수를 줄여 간단하면서 고속회전에 적합한 연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은 내부에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의 하부중앙부에는 일체로 된 돌기를 형성하여 보빈을 조립하고 외부 중앙부에는 볼스타베어링이 조립된 샤프트와 결합된 보빈하우징과, 상기 보빈하우징에 조립된 하부에는 가이드고정부재를 형성된 가이드설치부재와, 중앙부에는 일체로 된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와 몸체에는 상기 인입용 가이드를 거친 실을 안내하는 사도와 내주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회전체에 조립되는 덮개와, 원통의 형상으로 되어 상기 덮개의 하부에 위치하며 몸체에는 상기 덮개의 사도를 통하여 공급되는 실을 안내하는 사도를 형성하여 상기 보빈하우징을 내부에 조립설치하기 위한 공간부와 중앙부에는 샤프트를 삽입시켜 회전 가능하도록 크기의 샤프트홀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일체로 원형의 돌기를 형성하며 고정용 프레임에 조립하기 위한 회전체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제 1 도는 종래의 투포원 연사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제 2 도의 (a)(b)는 종래의 투포원 연사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 3 도은 본 고안 투포원 연사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덮개 10 : 사도
11 : 안내부재 2 : 보빈하우징
20 : 돌기 21 : 가이드설치부재
22 : 가이드고정돌기 23 : 사가이드
24 : 공간부 25 : 보빈
26 : 샤프트 29 : 걸림턱
3 : 회전체 30 : 사도
31 : 베어링 32 : 중앙홀
33 : 원형의 돌기 6 : 벨트
W : 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모터의 회전력을 벨트(6)로 연사기의 내부에 안치된 보빈(25)의 실(W)을 두 번 꼬아 방적사용 실(W)을 꼬는 연사기에 있어서,
내부에는 공간부(24)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24)의 하부중앙부에는 일체로 된 돌기(20)를 형성하여 보빈(25)를 조립하고 외부중앙부에는 볼스타베어링(35)이 조립된 샤프트(28)와 결합된 보빈하우징(2)과, 상기 보빈하우징(2)에 조립된 보빈(25)에는 보빈(25)에 감긴 실(W)을 덮개(1)의 사도(10)로 안내하는 사가이드(23)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가이드고정돌기(22)를 형성된 가이드설치부재(21)와, 중앙부에는 일체로 된 안내부재(11)와 상기 안내부재(11)와 몸체에는 상기 사가이드(23)를 거친 실(W)을 안내하는 사도(10)와 내주에는 걸림턱(29)을 형성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회저체(3)에 조립되는 덮개(1)와, 원통의 형상으로 되어 상기 덮개(1)의 하부에 위치시켜 몸체에는 상기 덮개(1)의 사도(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실(W)을 안내하는 사도(30)를 형성하여 상기 보빈하우징(2)을 내부에 조립설치하기 위한 공간부(24)와 중앙부에는 샤프트(28)를 삽입시켜 회전이 가능하도록 크기의 샤프트홀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일체로 원형의 돌기(33)를 형성하며 고정용 프레임에 조립하기 위한 회전체(3)으로 구성되는 투포원 연사기의 구조이다.
상기 보빈하우징(2)은 내부에는 공간부(24)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24)의 하부중앙부에는 일체로 된 돌기(20)를 형성하여 보빈(25)을 조립하고 외부중앙부에는 볼스타베어링(35)이 조립된 샤프트(28)와 결합된다.
상기 공간부(24)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그 공간내부에는 원통의 보빈(25)을 제치시킨다.
상기 돌기(20)는 보빈하우징(2)에 일체로 형성하여 실(W)을 감은 보빈(25)를 돌기(20)에 압입시켜 안치시켜 고속으로 회전시에 보빈(25)이 보빈하우징(2)으로부터 빠지거나 보빈(25)의 유동을 방지하여 일정한 힘으로 보빈(25)에 권취된 실(W)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샤프트(28)는 일부에 볼스타베어링(35)을 조립하여 보빈하우징(2)의 외부의 중앙부에 위치토록 보빈하우징(2)에 조립하여 사프트(28)의 일부의 볼스타베어링(35)에는 벨트(6)과 접촉되도록 하여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샤프트(28)와 다음에 설명하는 원형의 돌기(33)사에는 베어링(31)을 조립하여 사프트(28)의 회전의 최소의 마찰력으로 회전토록 한다.
가이드설치부재(21)는 환형으로 되어 상기 보빈하우징(2)에 조립된 보빈(25)의 상부에 위치하고 보빈(25)에 감긴 실(W)을 덮개(1)의 안내부재(11)의 사도(10)로 안내하는 사가이드(23)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가이드 고정돌기(22)를 형성하여 보빈(25)의 지관에 삽입시켜 보빈(25)에 가이드 설치부재(21)를 설치한다.
상기 사가이드(23)는 가이드설치부재(21)의 단부에 원으로 형성되어 보빈(25)에 권취된 실(W)을 마찰력으로 최소화하여 실(W)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고정돌기(22)는 원형으로 형성하여 원형으로 된 보빈(25)의 지관에 삽입시켜 보빈(25)에 가이드설치부재를 설치하여 보빈(25)과 함께 회전토록 한다.
덮개(1)는 중앙하부에는 일체로 된 안내부재(11)와 상기 안내부재(11)와 몸체에는 상기 사가이드(23)를 거쳐서 공급되는 실(W)을 권취보빈(25)으로 보내는 배출부재와 내주에는 걸림턱(29)을 형성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회전체(3)에 조립된다.
상기 안내부재(11)는 덮개(1)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덮개(1)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덮개(1)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실(W)을 안내하는 사도(10)를 형성한다.
상기 사도(10)는 다음에 설명하는 회전체(3)에 형성된 사도(30)와 일치토록 형성하여 보빈(25)에서 공급되는 실(W)이 보빈하우징(2)의 회전에 의하여 일차로 꼬여서 안내부재(11)의 사도(10)로 공급되어 그 일차로 꼬인 실(W)을 안내부재(11)와 몸체의 사도(10)을 통과하여 배출부재의 사도(10)를 거쳐서 권취보빈(25)으로 공급되어 재차 꼬이게 된다.
상기 걸림턱(29)은 덮개(1)의 내주에 형성하여 회전체(3)에 얹혀 조립되어 회전체(3)의 회전시에 같이 회전되도록 한다.
회전체(3)은 원통의 형상으로 되어 상기 덮개(1)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보빈하우징(2)을 내부에 조립하기 위한 공간부(34)와 중앙부에는 샤프트(28)을 삽입시켜 회전 가능하도록 크기의 사프트홀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일체로 원형의 돌기(33)를 형성하여 고정프레임에 조립된다.
상기 공간부(34)에는 내부에 보빈하우징(2)을 위치시켜 중앙부에 형성된 샤프트홀에 샤프트(28)가 회전토록 삽입시켜 놓는다.
상기 원형의 돌기(33)는 회전체(3) 하부에 일체로 형성하여 그 원형의 돌기(33)내부에 베어링(31)을 이용하여 샤프트(28)에 회전되도록 조립하고 외주는 고정프레임에 베어링(31)으로 회전토록 조립하며 그 원형의 돌기(33)의 일부에는 벨트(6)를 이용하여 회전체(3)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빈(25)에 감겨져 있는 실(W)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6)에 의하여 샤프트(28)을 회전시켜 회전하면서 실(W)을 공급하면서 1차로 꼬이게 되고 보빈(25)의 실(W)이 사가이드(23)를 통하여 덮개(1)와 회전체(3)에 형성된 사도(10, 30)를 지나면서 덮개(1)와 회전체(3)의 회전으로 재차 꼬이게 되어 실(W)이 두 번 꼬이게 된다.
이때 보빈하우징(2)과 회전체(3)사이에는 베어링(31) 이외의 다른 장치가 없어 단순하면서도 고속 회전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연사기의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게되어 연사기의 효율을 올릴 수 있게 되며 또 고속회전에 대응할 수 있어 생산량을 증가할 수 있는 대단히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하부에는 내부는 공간부(24)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의 하부에는 일체로 된 돌기(20)를 형성하여 보빈(25)을 조립하는 보빈하우징(2)이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빈하우징(2)에 조립된 보빈(25)에 감긴 실(W)을 덮개(1)의 사도(10)로 안내하는 사가이드(23)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가이드고정돌기(22)가 형성된 가이드설치부재(21)와,
    상기 사가이드(23)를 통하여 안내된 실(W)을 안내하는 사도(10)를 중앙에 형성한 안내부재(11)와, 상기 보빈하우징(2)을 거친 실(W)을 안내하는 사도(10)와 내주에는 걸림턱(29)을 형성한 덮개(1)와,
    상기 덮개(1)의 하부가 얹혀지도록 하고 상기 보빈하우징(2)을 내부에 조립설치하기 위한 공간부(34)와 중앙부에는 축을 삽입시켜 회전 가능하도록 크기의 샤프트홀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일체로 원형의 돌기(33)를 형성하며 상기 덮개(1)의 사도(10)를 통한 실(W)를 안내하는 사도(30)를 형성하여 고정용 프레임에 조립하기 위한 회전체(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포원 연사기.
KR2019970009892U 1997-05-03 1997-05-03 투 포원 연사기 KR200163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892U KR200163079Y1 (ko) 1997-05-03 1997-05-03 투 포원 연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892U KR200163079Y1 (ko) 1997-05-03 1997-05-03 투 포원 연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655U KR19980065655U (ko) 1998-12-05
KR200163079Y1 true KR200163079Y1 (ko) 1999-12-15

Family

ID=1950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892U KR200163079Y1 (ko) 1997-05-03 1997-05-03 투 포원 연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0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655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9771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twisted yarn
KR100456713B1 (ko) 단추 구동형 다중 연사기
KR200163079Y1 (ko) 투 포원 연사기
EP1149941A1 (en) Motor-driven three-axis friction false twisting device
US4280668A (en) Thread-storage and delivery device for textile machines
EP1006222B1 (en) Twisting unit
EP1144739B1 (en) Yarn covering apparatus and method
US6131841A (en) Yarn supply apparatus for textile machines
US4302930A (en) Self-threading yarn brake mechanism
US3336742A (en) Yarn twist controlling device
ES2942736T3 (es) Máquina textil con husos accionados por un solo motor
US4578939A (en) Choke guard for twisting machine spindle
KR200149609Y1 (ko) 섬유기계용 실공급기의 텐션장치
CN218404552U (zh) 捻线机复合电锭
JP3246546B2 (ja) 単錘駆動型多重撚糸機
CN210286290U (zh) 络丝机电机绕线锭子
US5398493A (en) Spindle device capable of eliminating a rotational drive mechanism for a tubular spindle by using a spinning stream of compressed air
KR200176971Y1 (ko) 합연기능을 갖는 스핀들 구조
KR200151558Y1 (ko) 자기부상형 합연사 스핀들
KR950000381B1 (ko) 감기장치가 붙은 2중 연사(撚絲) 스핀들
JPH0376832A (ja) 二重撚糸機
KR950000495Y1 (ko) 피복사 제조장치
KR960001602Y1 (ko) 연사기의 실 안내장치
KR200204615Y1 (ko) 슬라이드파스너 성형기의 심봉고정장치
KR200178917Y1 (ko) 연사기용 드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