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777Y1 -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 - Google Patents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777Y1
KR200162777Y1 KR2019970002755U KR19970002755U KR200162777Y1 KR 200162777 Y1 KR200162777 Y1 KR 200162777Y1 KR 2019970002755 U KR2019970002755 U KR 2019970002755U KR 19970002755 U KR19970002755 U KR 19970002755U KR 200162777 Y1 KR200162777 Y1 KR 200162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r hand
dial
international
hou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353U (ko
Inventor
강영복
Original Assignee
강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복 filed Critical 강영복
Priority to KR2019970002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777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3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3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7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계 각국의 주요도시의 시차별에 따른 현재시각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연부에 삼각형 모양으로 된 12개의 표시부(11)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되, 각각의 표시부(11)에는 각기 다른 표식을 부여함과 동시에 각 표시부(11)의 공간부에는 1시간 차이를 갖는 도시명을 기입하여서 된 국제문자판(1)을 시계의 중앙부에 결합하고, 원형의 몸체 내측으로 복수개의 보강대(21)가 형성된 시침의 외주면으로 12개의 지시부(22)가 외향 돌출됨과 동시에 각각의 지시부(22)에는 상기 문자판(1)의 표시부(11)에 부여되어있는 표식과 동일한 표식이 1대1 대응되도록 형성 되어있는 국제시침(2)을 상기 국제문자판(1)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세계 각국의 주요도시의 시차별에 따른 현재시각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
본 고안은 세계 각국의 주요도시의 시차별에 따른 현지시각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주연부에 소정의 표식이 부여된 12개의 표시부를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하여서 된 문자판을 구비하고, 상기 문자판의 상측으로 12개의 지시부가 외향 돌출형성되어있는 국제시침을 분침의 회전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세계 각국의 주요도시의 시차별에 따른 현재시각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만국시계로는 특정지역의 시각을 표시하는 주시계의 내경에 주시계상에 있어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시차의 시각을 표시하는 복수의 부시계를 형성하여 세계각국의 주요도시의 현재시각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만국시계는 주시계의 내경에 복수개의 부시계를 형성하므로서, 복수개의 부시계를 구동하기위한 구조가 복잡해져 제품의 생산성이 허락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세계 주요도시의 현재시각을 손쉽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본 고안은 외주연부에 소정의 표식이 부여된 12개의 표시부를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하여서 된 문자판을 구비하고, 상기 문자판의 상측으로 12개의 지시부가 외향 돌출형성되어있는 국제시침을 분침의 회전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세계 각국의 주요도시의 시차별에 따른 현재 시각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보인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문자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국제문자판 2 : 국제시침
11 : 표시부 21 : 보강대
22 : 지시부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시침과 분침을 포함하는 시계에 있어서,
외주연부에 삼각형 모양으로 된 12개의 표시부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되, 각각의 표시부에는 각기 다른 표식을 부여함과 동시에 각 표시부의 공간부에는 1시간 차이를 갖는 도시명을 기입하여서 된 국제문자판을 시계의 중앙부에 결합하고, 원형의 몸체 내측으로 복수개의 보강대가 형성된 시침의 외주면으로 12개의 지시부가 외향 돌출됨과 동시에 각각의 지시부에는 상기 문자판의 표시부에 부여되어있는 표식과 동일한 표식이 1대1 대응되도록 국제시침을 상기 문자판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세계 각국의 주요도시의 시차별에 따른 현재시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국제시침 대신에 원형의 몸체 내측으로 복수개의 보강대가 형성된 시침의 외주면으로 4개의 지시부가 외향 돌출됨과 동시에 각각의 지시부에는 상기 문자판에 형성된 12개의 표시부중 각각 3시간의 시간차를 갖는 4개의 표시부의 표식과 동일한 표식이 도색된 국제시침을 적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국제문자판에 형성된 표시부의 모양을 타원형으로 형성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문자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은 국제문자판(1)과 국제시침(2)으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국제문자판(1)은 시계의 시,분,초침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부와의 분리를 위한 분리판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그 외주연부에 삼각형 모양으로 된 12개의 표시부(11)를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하고, 각각의 표시부(11)상에는 소정의 표식을 부여하며, 각각의 표시부(11) 사이의 공간부에는 세계 각국의 주요도시명을 기입하는데, 인접하는 표시부(11)상에 표시된 도시명은 1시간 차이를 갖도록 한다. 그리고, 하나의 공간부에는 2개의 도시명을 기입하는데, 이때 상측과 하측에 기입되는 도시는 12시간 차이를 갖도록 하여 24시간 주기를 갖는 세계 각 도시의 현재시간을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12시와 1시 방향의 표시부(11) 사이의 공간부 상측에 서울(SEOUL)을 기입하였다면 그 하단에는 서울과 12시간의 시간차를 갖는 몬테비데오(MONTEVIDEO)를 기입한다. 그리고, 11시와 12시 방향의 표시부(11) 사이의 공간부 상측에는 서울보다 약 1시간 늦은 마닐라(MANILA)를 기입하고, 그 하단에는 마닐라와 12시간 차이를 갖는 칠레(CHILE)를 기입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국제 문자판(1)에 표시된 각각의 표시부(11) 사이의 공간부에 세계 각국의 주요도시명을 기입하게되면 24시간 주기를 갖는 세계 주요도시의 현재시간을 사용자가 알수 있게되는 것이며, 도시명의 기입은 세로방향으로도 기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국제시침(2)은 상기 구성된 국제문자판(1)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국제시침(2)의 상측으로는 시,분,초침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분침의 회전량에 따라 국제시침(2)이 일정거리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국제시침(2)은 원형의 몸체 내측으로 복수개의 보강대(21)를 형성하였으며, 이 몸체의 외주면으로 12개의 지시부(22)를 외향 돌출 형성하고, 각각의 지시부(22) 상에는 상기 국제문자판(1)의 표시부(11)에 부여되어있는 표식과 동일한 표식이 1대1 대응되도록 부여하였다.
상기 표시부(11)와 지시부(22)에 각각 부여되는 표식은 특수문자 또는 특정색으로 구현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만국시계를 사용하기에 앞서 시침(6)과 분침(7)을 현재시간에 맞춘 후 국제문자판(1)의 12시 방향에 위치한 표시부(11)에 부여된 표식과 동일한 표식을 갖는 국제시침(2)의 지시부(22)가 상기 셋팅된 시침과 동일한 위치에 오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시간이 경과하여 시침이 회전하게되면, 그에따라 국제시침 또한 회전하게됨으로 사용자는 손쉽게 세계각국의 주요도시의 현재시간을 알 수 있게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12방향의 표시부(11)가 파란색으로 도색되어있고, 11시방향의 표시부(11)가 노란색, 10시 방향의 표시부가 흰색으로 도색되어있다고가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국제시침(2)의 지시부(22)상에도 상기 파란색, 노란색, 흰색이 도색되어있다고 가정할 때 현재 서울의 시간이 오후 4시이면, 국제시침(1)의 노란색이 도색된 지시부(22)는 3시를 가리키고, 흰색이 도색된 지시부(22)는 2시를 가리키므로서, 사용자는 노란색이 도색되어있는 마닐라의 현재시간이 오후 3시라는 것과 흰색이 도색되어있는 타일랜드(THAILAND)의 현재시간이 오후 2시라는 것을 손쉽게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마닐라의 현재시간이 오후 3시라는 것을 알게되면 마닐라와 12시간 차이를 갖는 칠레의 현재시간이 오전 3시라는 것 또한 손쉽게 알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국제시침(3)의 외주면으로 4개의 지시부(31)를 외향 돌출 형성시킨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시부(31) 상에는 국제문자판(1)에 형성된 12개의 표시부(11)중 12시, 3시, 6시, 9시 방향에 위치한 표시부(11)의 색상과 동일한 색이 각각 도색된 것이다.
이와같은 국제시침(3)을 적용할때에도, 상기 설명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계 주요도시의 현재시간을 알 수 있게된다.
단지, 국제시침(3)의 지시부(31)가 가리키지 못하는 도시의 시간은 지시부(31)가 가리키는 시간에서 해당시간 만큼은 더하거나 빼주어 알 수 있게된다.
즉, 12시방향의 표시부(11)에 파란색이 도색되어있고, 이와 동색인 파란색이 도색된 국제시침(3)의 지시부(31)가 오후 3시를 가리키고 있다면, 11시방향에 위치한 국제문자판(1)의 표시부(11) 상에 노란색이 도색되어있는 마닐라의 경우는 현재시간보다 1시간이 늦은 오후 2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 같은 방법으로 4개의 지시부(31)가 형성되어 있는 국제시침(3)을 이용해서 세계 주요도시의 현재시간을 손쉽게 알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국제 문자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국제문자판(1)의 외주연부에 형성되는 12개의 표시부(120를 장방형의 타원형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역시 인접하는 표시부(12) 사이의 공간부상에는 주요도시의 도시명이 기입되어진다.
이와같이 표시부(12)가 장방형의 타원형으로 형성되더라도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계각국 주요도시의 현재시간을 손쉽게 알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은 손목시계 뿐만 아니라 대형 벽시계, 탁상시계등 현재 제공되고있는 모든 시계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외주연부에 소정의 색이 도색된 12개의 표시부가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하여서 된 문자판을 구비하고, 상기 문자판의 상측으로 12개의 지시부가 외향 돌출형성되어있는 국제시침을 분침의 회전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세계 각국의 주요도시의 시차별에 따른 현재시각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시침(6)과 분침(7)을 포함하는 시계에 있어서,
    외주연부에 삼각형 모양으로 된 12개의 표시부(11)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되, 각각의 표시부(11)에는 각기 다른 표식을 부여함과 동시에 각 표시부(11)의 공간부에는 1시간 차이를 갖는 도시명을 기입하여서 된 국제문자판(1)을 시계의 중앙부에 결합하고, 원형의 몸체 내측으로 복수개의 보강대(21)가 형성된 시침의 외주면으로 12개의 지시부(22)가 외향 돌출됨과 동시에 각각의 지시부(22)에는 상기 문자판(1)의 표시부(11)에 부여되어있는 표식과 동일한 표식이 1대1 대응되도록 부여되어있는 국제시침(2)을 상기 국제문자판(1)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세계 각국의 주요도시의 시차별에 따른 현재시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제시침(2) 대신에 원형의 몸체 외주면으로 4개의 지시부(31)가 외향 돌출됨과 동시에 각각의 지시부(31)에는 상기 문자판(1)에 형성된 12개의 표시부(11)중 각각 3시간의 시간차를 갖는 4개의 표시부(11)의 표식과 동일한 표식이 부여된 국제시침(3)을 적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제문자판(1)에 형성된 표시부(11)의 모양을 타원형으로 형성가능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부(11)와 지시부(22)(31)에 부여되는 표식을 특정문자 또는 특정색상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
KR2019970002755U 1997-02-21 1997-02-21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 KR200162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755U KR200162777Y1 (ko) 1997-02-21 1997-02-21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755U KR200162777Y1 (ko) 1997-02-21 1997-02-21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353U KR19980058353U (ko) 1998-10-26
KR200162777Y1 true KR200162777Y1 (ko) 1999-12-15

Family

ID=1949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755U KR200162777Y1 (ko) 1997-02-21 1997-02-21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7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353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7722B2 (en) Timepiece
US4435086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world time wristwatch
US4227777A (en) Liquid crystal display cell
KR200162777Y1 (ko) 만국시계용 문자판 및 그 시침
US4632569A (en) Timepiece with calendar
US5838643A (en) Timepiece display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time on a timepiece
US5204846A (en) Dual time-indicative time piece
KR970022614A (ko) 시계
KR101592821B1 (ko) 시계
EP0676679B1 (en) Display structure of world timepiece
US3977179A (en) Display mechanism for timepieces
JP7267145B2 (ja) 時計
KR102192720B1 (ko) 시계
JPS61205889A (ja) レンズ付カバ−ガラスを備えた電子機器
US6406301B2 (en) Clock teaching aid
KR200420117Y1 (ko) 가변시간 회전판을 구비한 시계
WO2001006327A1 (fr) Montre avec numeros a systeme de rotation
KR20000005961U (ko) 다국 시간 동시 표시 시계
KR890003665Y1 (ko) 세계시간 표시용 시침
KR200338270Y1 (ko) 만국시계
JP3413555B1 (ja) アナログ時計のための世界時間早見変換具
KR200143300Y1 (ko) 만국 시계
KR20030041158A (ko) 만국 시계
JPH0533990Y2 (ko)
KR200210115Y1 (ko) 월드 타임 시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