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305Y1 -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의 나사풀림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의 나사풀림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305Y1
KR200162305Y1 KR2019970018623U KR19970018623U KR200162305Y1 KR 200162305 Y1 KR200162305 Y1 KR 200162305Y1 KR 2019970018623 U KR2019970018623 U KR 2019970018623U KR 19970018623 U KR19970018623 U KR 19970018623U KR 200162305 Y1 KR200162305 Y1 KR 200162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trainer
wall
water
strai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315U (ko
Inventor
김영배
이해승
이종각
Original Assignee
이철환
주식회사거성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환, 주식회사거성개발 filed Critical 이철환
Priority to KR2019970018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30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3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3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3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과지의 하부 집수장치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여과지의 여과공정을 통해 탁질 및 유기물이 제거된 정수를 하부의 집수실로 유출시키고, 여과재의 역세척시에는 하부 집수실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나 공기를 상부 여과층으로 분사하는 스트레이너의 캡에 관한 것으로, 각 스트레이너 캡(30)에 형성된 통수공(31)의 형태를 결정하는 격벽(33)의 좌, 우 내벽이 서로 다른 크기의 폭을 갖게 하여, 짧은 폭을 가지는 우측 내벽(33a)이 캡의 외측단을 지나는 법선에 근접 배치되게 하고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좌측 내벽(33b)이 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배치되게 함으로써 각 통수공(33)을 통해 캡(3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고압의 역세척수나 공기가 격벽(33)의 좌측 내벽(33b)의 배치각도와 거의 같은 방향으로 유도 배출되도록 하여 여과공정의 진행에 따른 역세척수의 분사시 각 스트레이너 캡이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 캡은 여과지의 역세처 과정에서 발생되는 캡의 나사풀림 현상과 그에 따른 캡의 분리 이탈요인을 완벽하게 배제할 수 있게 되므로 스트레이너 캡의 유지보수 및 교체에 따른 제반 난점과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여과지용 스트레이터의 나사풀림 방지구조
본 고안은 여과사가 적층되는 여과지의 집수블럭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여과지의 여과공정 중에는 여과층을 거쳐 탁질 및 유기물이 제거된 정수를 하부의 집수실로 유출시킴과 아울러, 여과사의 역세척시에는 하부 집수실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 또는 세척공기를 상부 여과층으로 균등 분배 공급하는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레이너 캡을 통한 세척수의 분사시 그 스트레이너 캡에 나사잠금 방향으로의 조임력이 작용되게 함으로써, 역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스트레이너의 집수관 또는 접속구에 나사 결합된 스트레이너 캡이나 접속구가 임의로 풀리거나 이탈되는 문제점을 배제할 수 있게 한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의 나사풀림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트레이너는 통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블럭(1)에 매립 고정되는 집수관(10)과 그 집수관(10)의 상부에 조립 결합되는 접속구(20)와 그 접속구(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스트레이너 캡(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집수관(10)과 접속구(20) 그리고 그 접속구(20)와 스트레이너 캡(30)은 각기 나사결합으로 조립된다.
또한, 상기 스트레이너 캡(30)은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트인 원통형 몸체의 주벽(31)에 정수 또는 역세척수가 유통되는 다수개의 통수공(32)이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a는 종래 스트레이너 캡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2b는 종래 스트레이너 캡(30)에 형성된 통수공(32)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a는 도 2b의 "B"부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각 통수공(32)은 바깥쪽은 좁고 안쪽은 넓은 "V"자형 단면의 통수공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스트레이너 캡(30)의 원통형 주벽(31)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다수개의 통수공(32)이 형성되는 원통형 주벽(31)은 상기 통수공(32)의 형상과 반대되는 형태 즉, 외측은 넓고 안쪽이 좁은 형태의 대략 2등변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격벽(33)이 상기 각 통수공(32)을 사이에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 격벽(33)의 안쪽 꼭지점(P)이 원통형 스트레이너 캡(30)의 중심점(0)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도 3b는 종래 스트레이너 캡에 적용된 각 통수공(32)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스트레이터 캡(30)의 중심점(0)을 향하여 배치되는 단위 격벽(33)의 안쪽단부(P')가 원호상으로 만곡된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트레이너 캡(30)은 상기 각 격벽(33)의 내측 꼭지점(P) 및 단부(P')가 스트레이너 캡(30)의 중심점(0)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 형성된 각 통수공(32) 외측의 역세척수 배출단부(32a)가 "V"자형으로 된 각 통수공(32)을 양분하는 중간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여과지의 역세척시 상기와 같은 각 통수공(32)을 통해 스트레이너 캡(30)의 외부로 분배 공급되는 고압의 역세척수나 공기는 상기 도3a 및 3b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 방향 즉, 각 통수공(32)의 외측단을 지나는 법선(NL)방향으로 분사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역세척수 분사구조를 가진 종래의 스트레이너 캡에 있어서는, 상기 집수관(10)에 나사결합되는 접속구(20)와 그 접속구(20)에 나사결합되는 스트레이너 캡(30)이 정확히 결합되지 않음에 따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 캡(30)의 중심선(CL1)과 집수관(10)의 중심선(CL2)이 정확히 일직선상에 일치되지 않고 편위되게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집수관(10)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상향 수류가 스트레이너 캡(30)의 상면 중심점(0)을 벗어나 일측으로 치우치게 되면서, 상기 접속구(20)에 나사결합된 캡(30)을 점차 풀림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캡(30)을 벗겨내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고 있는 실정에 있었다.
즉, 상기 도 2a에 도시된 스트레이너는 집수블럭(1)에 매립고정된 집수관(10)과 접속구(20) 및 스트레이너 캡(30)이 정확이 결합되어 그 집수관(10)과 접속구(20) 및 스트레이너 캡(30)의 중심선(CL)이 정확히 일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여과사의 역세척시 스트레이너 캡(30) 하측의 집수관(10)으로부터 상부로 유입되는 고압의 역세척수 또는 공기가 상기 도 2a에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 캡(30)의 내부 상면중앙부에 고른 압력으로 맞부딪친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분산되어 상기 측벽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각 통수공(32)을 통해 스트레이너 캡(30)의 외부로 고르게 분산 방출된다.
그러나, 만약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구(20)에 결합된 캡(30)이 정확히 조립되지 않고, 상기 스트레이너 캡(30)의 중심(0)이 상기 중심선(CL2)에 대하여 한쪽으로 치우치게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집수관(10)으로부터 공급된 강한 역세수의 수류가 상기 스트레이너 캡(30)의 상면 중심(0)부에 부딪치지 않고 일측으로 약간 벗어난 위치에 부딪치게 되므로, 이와 같이 편위되게 작용되는 고압의 수류는 각 통수공(32)이 형성된 스트레이너 캡(30)을 서서히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결과를 갖게 되고 반복되는 역세척과정에서 스트레이너 캡(30) 또는 접속구(20)가 완전히 분리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와 같이 스트레이너 캡(30)이 임의로 분리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레이너 캡(30)의 하단부와 접속구(20)의 상단부를 직접 용착고정하거나, 상기 접속구(20)와 집수관(10)의 연결부에 고무제 패킹을 개재하여 결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집수관(10)의 용착 방법은 그 작업이 번거롭고 스트레이너 캡(30)의 파손에 따른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 고무패킹을 이용한 결합의 경우에도 그 풀림현상을 완벽하게 배제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갖지 않으며, 여과지의 역세척 공정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이너 캡(30)의 풀림현상을 완벽하게 배제할 수 있는 여과지용 스트레이너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 스트레이너의 일례를 보인 분해상태의 종단면도.
제2a도는 종래 스트레이너의 설치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2b도는 종래 스트레이너 캡의 내부구성을 보인 제2a도의 A-A선 단면도.
제3a도는 종래 스트레이너 캡에 형성된 통수공의 일례를 보인 제2b도의 "B"부확대도.
제3b도는 종래 스트레이터 캡에 형성된 통수공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부분 확대 횡단면도.
제4a도는 종래 스트레이너의 캡이 정확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4b도는 제4도의 C-C선 단면도.
제5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이너 캡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제5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트레이너 캡의 작용을 보인 제5a도의 "D"부 확대도.
제6a도 내지 제6e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이너 캡의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제6a도, 제6b도는 격벽이 가지는 폭의 크기 변화에 따른 역세척수 분사방향의 변화 예를 나타내는 보인 스트레이너 캡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6c도는 격벽 안쪽 단부의 변형 예를 보인 스트레이너 캡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6d도 및 제6e도는 격벽의 각도 변화에 따른 역세척수의 방향 변환 예를 보인 스트레이너 캡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집수관 20 : 접속구
30 : 스트레이너캡 32 : 통수공
33 : 격벽 33a : 우측 내벽
33b : 좌측 내벽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여과지의 집수블럭에 등간격 매립고정되는 집수관과, 집수관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접속구 및 그 접속구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트레이너 캡으로 구성되고, 집수블럭의 상부에 노출되는 스트레이너 캡의 주벽에는 다수개의 통수공이 격벽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 캡에 형성된 각 통수공의 형태 및 분사방향을 결정하는 각 격벽의 좌, 우 내벽중 좌측 내벽의 법선에 대한 내각(內角) 우측 내벽의 법선에 대한 내각보다 크게 하여 좌측 내벽에 작용하는 역세척수의 수압에 의한 나사조임 방향 회전력이 우측 내벽에 작용하는 역세척수의 수압에 의한 나사풀림 방향 회전력보다 크게 하여 상기 각 통수공을 통한 역세척수의 분사시 스트레이너 캡에 나사조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의 나사풀림 방지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트레이너의 일례를 보인 분해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종래 스트레이너의 기본 구성에 대해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스트레인너는 통상, 여과재(S)가 적층되는 집수블럭(1)에 매립 설치되는 집수관(10)과, 그 집수관(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접속구(20) 및, 그 접속구(20)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트레이너 캡(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트레이너 캡(30)은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트인 원통형 몸체의 주벽(31) 내면 하측단부에 상기 접속구(20)의 상측 나사부(20a)가 결합되는 나사홈(30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나사홈(30a)이 형성된 원통형 주벽(31)의 상부에는 여과된 정수 및 역세척수가 통과 및 분출되는 다수개의 수직 통수공(32)이 격벽(33)을 사이에 두고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각 수직 통수공(32)은 바깥쪽은 좁은 폭을 가지며 안쪽으로 갈수록 점차 넓은 폭을 가지는 외협내광형 구조를 가지며, 이와 같은 통수공(32)들을 형성하는 상기 각 격벽(33)은 각 통수공(32)의 형태와 반대의 형상 즉, 외면이 넓고 안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은 폭을 가지는 대략 삼각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5a는 상기와 같은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에 적용되는 본 고안 스트레이너 캡의 횡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의한 격벽과 통공의 구성을 보인 도 5a의 "D"부 확대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스트레이너 캡(30)은 상기 역세척수가 분사되는 다수개의 통수공(32)을 스트레이너 캡(30)의 주벽에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각 통수공(32)의 사이 사이에 형성되어 각 통수공(32)의 형태 및 폭을 결정하는 각 격벽(33)의 양측면 즉, 스트레이너 캡(30)의 안쪽 중심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대략 삼각 단면으로된 각 격벽(33)의 좌, 우 내벽 중, 우측 내벽(33a)의 내각을 "0"도로 하고, 좌측 내벽(33b)의 법선(NL)에 대한 내각을 "θ1"도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우측 내벽(33a)의 폭은 짧게 되고 좌측 내벽(33b)의 폭은 넓게 형성된다.
상기의 실시례에 의한 스트레이너 캡(30)은 상기 각 격벽(33)의 좌, 우 내벽(33b)(33a)이 마주치는 내측 선단부가 꼭지점(P)을 가지는 침상단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스트레이너 캡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는 여과지의 여과공정에서는 여과층을 거쳐 여과된 정수가 각 스트레이너 캡(30)의 통수공(3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후 집수관(10)을 거쳐 하부의 집수실(압력실)로 배출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여과공정의 진행에 따른 정수의 집수작용은 종래의 스트레이너가 가지는 작용과 동일하다.
본 고안에 의하여 스트레이너 캡(30)은 상기와 같이 그 스트레이너 캡(30)의 주벽(31)을 따라 형성되는 각 격벽(33)의 좌, 우 내벽(33b)(33a)이 각기 다른 폭으로 형성되어, 그 짧은 폭을 가지는 우측 내벽(33a)이 캡(30)의 법선방향과 거의 일치되게 배치되고 그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좌측 내벽(33b)이 상기 법선에 대한 내각이 소정 각도(θ1)만큼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여과지의 역세척시 각 통수공(32)을 통해 배출되는 분사방향이 상기 도 5b에 도시된 화살표방향 즉, 상기 각 격벽(33)의 좌측 내벽(33b)이 가지는 배치각도와 거의 유사한 방향으로 분사 배출된다.
이때, 이와 같은 역세척수 배출구조를 갖는 다수개의 통수공(32)을 통해 배출되는 역세척수의 강한 수류는 스트레이너 캡(30)의 주연부에 채워진 여과재에 분사되고 이에 의해 각 스트레이너 캡(30)에는 그 캡(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면서, 상기 접속구(2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각 스트레이너 캡(30)을 나사잠금 방향으로 조여주게 되므로, 여과지의 역세척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캡(30)과 접속구(20) 및 집수관(10)간의 나사결합 상태를 상시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역세척수의 분사시 본 고안 스트레이너 캡(30)에 작용되는 회전력은 하부 집수관(10)으로부터 유입되어 스트레이너 캡(30)의 상면 내측에 맞부딪치는 역세척수의 수류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고 거의 일정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조립되는 집수관(10)과 접속구(20) 및 스트레이너 캡(30)의 나사결합이 완전하게 이루어 지지 않은 경우에도 역세척수의 수류에 의해 캡(30) 또는 접속구(20)가 점차 풀리거나 집수블럭으로부터 분리 이탈될 우려는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스트레이너 캡(30)을 조여주게 됨으로써 캡(30)과 접속구(20) 및 집수관(10) 간의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하고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통수공(32)을 구획하는 격벽(33)의 우측 내벽(33a)에 작용하는 힘은 스트레이너 캡(30)을 나사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좌측 내벽(33b)에 작용하는 힘은 스트레이너 캡(30)을 나사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는 바, 우측 내벽(33a)는 법선(NL)에 대한 내각이 "0"도로 되어 있고, 좌측 내벽(33b)의 법선(NL)에 대한 내각이 소정 각도(θ1)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통수공(32)을 통해 역세척수가 분사될 때 좌측 내벽(33b)에 작용하는 힘(나사조임력)이 우측 내벽(33a)에 작용하는 힘(나사풀림력)보다 크게 되어 스트레이너 캡(30)이 접속구(20)에 대하여 나사풀림되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례에서는 상기 본 고안의 각 통수공(32)을 형성하는 격벽(33)의 양측 내벽(33a)(33b)이 만나는 내측단부가 꼭지점(P)을 갖는 침상선단부로 형성되고, 그 우측벽 즉 짧은 폭을 가지는 우측 내벽(33a)이 스트레이너 캡(30)의 법선(NL) 방향과 거의 일치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일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좌, 우 내벽이 만나는 내측단부의 형상과 좌, 우 내벽의 길이 및 그들의 배치각도는 상기 통수공(32)을 통해 분사되는 역세척수에 의해 스트레이너 캡(30)의 잠금방행 즉,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가하도록 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형태와 길이 및 각도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각 통수공(32)을 통해 분사되는 역세척수의 분사각도 즉, 분사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스트레이너 캡(30)의 나사잠금방향으로 가해지는 조임력의 세기를 가감 조절할 수가 있다.
즉,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이너 캡의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례에서는 도 6a 및 6b에 도시된 스트레이너 캡은 상기 도 5a의 실시례에 의한 스트레이너 캡(30)의 각 격벽(33)의 좌우 내벽 중, 좌측 내벽(33b)의 법선(NL)에 대한 내각을 "θ23"로 변형한 것이며, 기타 구성 및 작용을 상술한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c에 도시된 스트레이너 캡(30)의 각 격벽(33)은 상기 도 6a와 같이 배치된 격벽(33)의 좌, 우 내벽(33b)(33a)이 만나는 내측단부가 원호상으로 만곡되도록 구성것으로서, 이와 같은 실시례에 의한 역세척수의 분사 작용은 상기 도 6a의 실시례와 유사하나, 그 분사강도는 그 좌측 내벽(33b)의 폭이 좁아진 만큼 상대적으로 약화된다.
한편, 도 6d 및 도 6e에 의한 실시례에 의한 스트레이너 캡의 격벽(33)에 있어서는 상기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격벽(33)의 우측 내벽(33a) 즉, 스트레이너 캡(30)의 법선(NL)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우측 내벽을 그 법선(NL)의 좌 또는 우측으로 약간 이동시킨 변형예를 보인 것이다.
도 6d에 도시한 실시례에서는 격벽(33)의 꼭지점(P)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고 우측 내벽(33a)의 외측단부 만을 상기 법선(NL)의 좌측으로 약간 이동 변형시킨 것이다.
즉, 본 실시례에서는 좌측 내벽(33b)의 법선(NL)에 대한 내각은 상술한 실시례에서와 같이 "θ1또는 θ2또는 θ3"로 유지하고 우측 내벽(33a)의 법선(NL)에 대한 내각을 "α1"로 한 것이며, 여타 구성 부분은 상술한 실시례들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e에 도시한 실시례에서는 격벽(33)의 꼭지점(P)의 위치 만을 상기 법선(NL)의 좌측으로 약간 이동시키고, 우측 내벽(33a)의 법선(NL)에 대한 냉각을 "α2"로 한 것이며, 기타 구성 부분은 상술한 실시례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실시례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트레이너 캡(30)은 그 격벽(33)의 배치구조 즉, 좌, 우내벽의 배치방향 및 크기를 변화시킴에 따라 통수공(32)의 분사방향을 변화시켜 스트레이너 캡의 나사잠금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의 세기 즉, 나사조임력을 가감할 수 있게 되므로, 스트레이너 캡의 재질이나 두께 또는 각 스트레이너 캡에 가해지는 역세척수의 수압이나 공압의 강도에 따라 그에 적합한 나사조임력을 가지는 스트레이너 캡을 구성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집수관과 접속구 및 스트레이너 캡이 각기 나사결합으로 조립되고, 여과재가 적층되는 여과지의 집수블럭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여과공정에서는 여과된 정수를 하부의 집수실로 유출시키고, 여과재의 역세척시에는 하부 집수실(압력실)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나 세척공기를 상부 여과층으로 분배 공급하는 스트레이너의 캡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 캡에 형성된 통수공의 형태를 결정하는 격벽의 양측 내벽이 각기 다른 크기의 폭을 갖게 하여, 짧은 폭을 가지는 일측 내벽이 통수공의 외측단을 지나는 법선방향과 대략 일치되도록 우측에 배치되게 하고 그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타측 내벽이 상기 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도를 가지고 좌측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각 통수공을 통해 외부로 분출되는 고압의 역세척수가 각 격벽의 경사 내벽이 가지는 배치각도와 거의 같은 방향으로 유도 배출되도록 하여, 역세척수의 분사시 각 스트레이너 캡이 나사조임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여과지의 역세척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이너 캡의 나사풀림 현상과 그에 따른 스트레이너 캡의 분리, 이탈우려를 완벽하게 배재하여 스트레이너의 유지보수 및 교체에 따른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여과지의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여과지의 집수블럭에 등간격 매립고정되는 집수관(10)과, 집수관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접속구(20) 및 그 접속구(2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트레이너 캡(30)으로 구성되고, 집수블럭의 상부에 노출되는 스트레이너 캡(30)의 주벽(31)에는 다수개의 통수공(32)이 격벽(33)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 캡(30)에 형성된 각 통수공(32)의 형태 및 분사방향을 결정하는 각 격벽(33)의 좌, 우 내벽(33b)(33a) 중 좌측 내벽(33b)의 법선에 대한 내각(內角)을 우측 내벽(33a)의 법선에 대한 내각(內角)보다 크게 하여 좌측 내벽(33b)에 작용하는 역세척수의 수압에 의한 나사조임 방향 회전력이 우측 내벽(33a)에 작용하는 역세척수의 수압에 의한 나사풀림 방향 회전력보다 크게 하여 상기 각 통수공(32)을 통한 역세척수의 분사시 스트레이너 캡(30)에 나사조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의 나사풀림 방지구조.
KR2019970018623U 1997-07-15 1997-07-15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의 나사풀림 방지구조 KR200162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623U KR200162305Y1 (ko) 1997-07-15 1997-07-15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의 나사풀림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623U KR200162305Y1 (ko) 1997-07-15 1997-07-15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의 나사풀림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315U KR19990005315U (ko) 1999-02-18
KR200162305Y1 true KR200162305Y1 (ko) 1999-12-15

Family

ID=1950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623U KR200162305Y1 (ko) 1997-07-15 1997-07-15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의 나사풀림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3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097B1 (ko) * 2000-01-10 2003-01-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2124A (zh) * 2017-12-11 2018-04-24 浙江大学 创面冲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097B1 (ko) * 2000-01-10 2003-01-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315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6134A (en) Underdrain for water filtration system
US5164082A (en) Water filter having lever controlled plunger
KR200162305Y1 (ko)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의 나사풀림 방지구조
US3351292A (en) Nozzle discharge cap
CN208229482U (zh) 一种带视镜功能的自来水系统过滤器
US20020124977A1 (en) Device for distributing cellulose pulp of low and medium consistency in order to form a uniform pulp web
US2412032A (en) Distribution nozzle for filters and the like
US5899384A (en) Nozzle with jet hole for cleaning
CA1290223C (en) Shower pipes
US20050072730A1 (en) Papermaking strainer
US7681739B2 (en) Filter device
US3784101A (en) Liquid discharge nozzle having cylindrical internal liquid flow director means
CN104826375B (zh) 喷雾前置防堵过滤器
CA1303101C (en) Nozzle for screen apparatus
KR0182391B1 (ko) 현탁액 분별 장치
JP2005161195A (ja) 散水用ノズル
KR19980061248U (ko) 여과지의 집수블럭용 스트레이너
KR200353448Y1 (ko) 상향식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장치
KR910008196Y1 (ko) 여과지 표면세척용 분사노즐
CN215137576U (zh) 盘式加压过滤机滤扇
GB2236261A (en) Filter nozzle assembly
CA1316834C (en) Injection molding filter
KR200171941Y1 (ko) 폐수처리장치용 노즐
KR200230800Y1 (ko) 참숯을 이용한 정수기
KR200358747Y1 (ko) 자동 막힘제거 분사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