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938Y1 - 자동차용 룸 미러(room mirror for motorcar)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룸 미러(room mirror for motor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938Y1
KR200160938Y1 KR2019970030379U KR19970030379U KR200160938Y1 KR 200160938 Y1 KR200160938 Y1 KR 200160938Y1 KR 2019970030379 U KR2019970030379 U KR 2019970030379U KR 19970030379 U KR19970030379 U KR 19970030379U KR 200160938 Y1 KR200160938 Y1 KR 200160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mirror
frame
mirror
display unit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938U (ko
Inventor
김진만
Original Assignee
김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만 filed Critical 김진만
Priority to KR2019970030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938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9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9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룸 미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룸 미러의 전면 프레임에 광고를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룸 미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는 자체의 프레임 내에 거울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용 룸 미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광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면 상부에 광고 표시부가 요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루 미러
본 고안은 자동차용 룸 미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룸 미러의 전면 프레임에 광고를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룸 미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동안 운전자는 후방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룸 미러를 매우 많이 쳐다보게 된다. 자동차의 내부 전방 상부에 위치된 이러한 룸 미러는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더 넓은 시야의 확보를 위해서, 그리고 후방의 상황을 더욱 잘 파악하기 위해서 운전자들은 좀 더 큰 크기로 되어 있는 룸 미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미러가 후방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편광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편광 기능을 구비한 룸 미러가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룸 미러는 일반적으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룸 미러 전방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즉, 기존의 룸 미러 전방에 좀더 큰 미러를 걸어놓고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룸 미러는 보통 자동차의 판촉물로서 이용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 경우 광고 효과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룸 미러의 전면에 광고를 표시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와같이 주간 및/또는 야간에 볼 수 있는 광고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룸 미러의 전면 프레임에 주간 및/또는 야간에 보여지게 되는 광고를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룸 미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룸 미러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룸 미러의 정면도.
제3도는 제2의 룸 미러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 : 광고 표시부
14 : 분리식 광고판 20 : 거울
30 : 배면판 32 : 공간
32a : 입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는 자체의 프레임 내에 거울을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용 룸 미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광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면 상부에 광고 표시부가 요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깅이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미러의 다른 특징은 상기 광고 표시부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 하부에 요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예 따른 자동차용 미러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광고 표시부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 상부 및 전면 하부에 각각 요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미러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광고 표시부 내에 별도의 분리식 광고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미러의 또 다른 특징은 광고 내용을 밝게 하기 위하여 상기 광고 표시부 내에 엘이디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게 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룸 미러가 도시되어 있다. 룸 미러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배면판(30), 상기 프레임(10)과 배면판(30) 사이에 보유되어 있는 거울(20)을 포함한다. 배면판(30)의 전방에는 자체의 연부를 따라 결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36)에는 프레임(10)의 후방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게 되고, 적합하게는 초음파 융착되게 된다. 배면판(30)에는 차량의 실내에 향기를 방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방향제를 넣을 수 있는 공간(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의 상부에는 방향제를 넣고 꺼내기 위한 입구(32a)가 형성되어 있다(제3도 참조). 한편 배면판(30)의 상부에는 기존의 룸 미러의 프레임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34)이 구비되어 있다.
프레임(10)의 전면 상부에는 광고 표시부(12)가 요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고 표시부(12)는 운전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광고의 효과를 증가시키고 광고 내용을 더욱 많이 나타내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10)의 전면 상부 및 전면 하부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고 표시부(12)의 표면 상에는 광고할 내용이 직접 인쇄될 수도 있고, 별도의 접착수단이 자체의 후방에 도포된 광고 쉬트(sheet)가 접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분리식 광고판(14)이 상기 광고 표시부(12) 내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분리식 광고판(14)은 인쇄된 광고 내용의 상부를 덮는 투명한 재질로 성형되는 광고판을 포함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의 내용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광고표시부(12)를 통해 안내되는 광고의 내용을 야간에도 불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상기 광고 표시부(12) 내에 엘이디(LED : 발광 다이오우드)(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차용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별도의 건전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공지된 형식의 형광 재료를 이용하여 광고 내용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엘이디 없이도 약간의 발광 효과를 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는 운전자가 운전중에 매우 자주 쳐다보계 되는 룸 미러의 전방에 광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반영구적인 광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광고 내용을 밝게 함으로써 야간에도 광고 내용을 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Claims (5)

  1. 자체의 프레임 내에 거울을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용 룸 미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광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면 상부에 광고 표시부가 요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 미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표시부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 하부에 요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룸 미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 표시부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 상부 및 전면 하부에 각각 요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룸 미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 표시부 내에 별도의 분리식 광고판이 부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룸 미러.
  5. 상기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광고 내용을 밝게 하기 위하여 상기 광고 표시부 내에 엘이디가 구비되어 있는 자동차용 룸 미러.
KR2019970030379U 1997-10-31 1997-10-31 자동차용 룸 미러(room mirror for motorcar) KR200160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379U KR200160938Y1 (ko) 1997-10-31 1997-10-31 자동차용 룸 미러(room mirror for motor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379U KR200160938Y1 (ko) 1997-10-31 1997-10-31 자동차용 룸 미러(room mirror for motor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938U KR19990016938U (ko) 1999-05-25
KR200160938Y1 true KR200160938Y1 (ko) 1999-12-01

Family

ID=1951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379U KR200160938Y1 (ko) 1997-10-31 1997-10-31 자동차용 룸 미러(room mirror for motor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9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313A (ko) * 2002-12-11 2003-01-23 김정자 광고의 교체가 가능한 광고용 창이 형성된 거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313A (ko) * 2002-12-11 2003-01-23 김정자 광고의 교체가 가능한 광고용 창이 형성된 거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938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0026B1 (en) Illuminated automotive emblem
US5666749A (en) Automobile plate protector and display apparatus
EP1121617A4 (en) DISPLAY MIRROR
ATE309111T1 (de) Rückblickspiegel mit modularem anzeigesystem
US6860047B1 (en) Illuminated flag decal
KR200160938Y1 (ko) 자동차용 룸 미러(room mirror for motorcar)
US11237318B1 (en) Light for a motor vehicle
US11624489B2 (en) Method for producing a blinker module, blinker module, rear-view device, and motor vehicle
US7472506B2 (en) Lighted sign
KR200245916Y1 (ko) 광고 기능을 겸비한 보조 정지등
JP3141626U (ja) 表示部を有する自動車用サイドミラー
KR200252653Y1 (ko) 광고 표시부를 갖는 차량용 사이드미러
KR200298437Y1 (ko) 자동차용 스포일러형 광고패널
KR200249338Y1 (ko) 차량 부착용 광고판
KR100479179B1 (ko) 차량용 광고장치
KR200207311Y1 (ko) 차량용 광고판
KR100791507B1 (ko) 리어스포일러 장치
KR200286516Y1 (ko) 택시 빈차 표시장치
KR200243095Y1 (ko) 도로 교통 신호등
WO2005118338A1 (en) The flank indicator lamp and a rear guard lamp
KR940003197Y1 (ko) 자동차용 광고등
BR9800811A (pt) Espelho retrovisor externo para veículos automotores, especialmente para automóveis.
KR200273383Y1 (ko) 전자발광선을 이용한 차량용 액세서리구조
KR200294216Y1 (ko) 자동차용 운행표시기
KR200277885Y1 (ko) 자동차용 사이더미러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1221

Effective date: 200209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