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930Y1 - 구간회동식 정역모터 - Google Patents

구간회동식 정역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930Y1
KR200160930Y1 KR2019970028875U KR19970028875U KR200160930Y1 KR 200160930 Y1 KR200160930 Y1 KR 200160930Y1 KR 2019970028875 U KR2019970028875 U KR 2019970028875U KR 19970028875 U KR19970028875 U KR 19970028875U KR 200160930 Y1 KR200160930 Y1 KR 2001609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gear
section
plate member
mai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568U (ko
Inventor
이한철
Original Assignee
이문성
주식회사제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성, 주식회사제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이문성
Priority to KR2019970028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930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5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5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9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모터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전자석과 코일로 형성된 구동부에 제동 수단을 구비하여 부하를 발생시키므로서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 방향을 바꿔주어 구동부를 일정 구간 만큼 정역 회전토록 한 구간회동식 정역 모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베이스판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는 보빈단자가 설치되며, 중앙에는 전자석과 코일로 구성된 구동부가 설치되어 이에 각종기어와 메인기어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구성된 구간회동식 정역모터에 있어서, 메인기어의 기어내측 원판상에 회동구간 만큼의 핀삽입공을 형성하고, 이에 베이스판 부재에 고정 설치된 스톱핀을 삽입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간회동식 정역모터
본 고안은 동기형 모터의 일종으로, 주로 세탁기의 급,배수변, 세제공급, 정속을 요하는 타이머, 자판기 급수용, 전자레인지 구동용등에 사용되는 감속장치가 부착된 인덕터 형으로, 모터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전자석과 코일로 형성된 구동부에 제동 수단을 구비하여 부하를 발생시키므로서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 방향을 바꿔주어 구동부를 일정 구간 만큼 정역 회전토록 한 구간회동식 정역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구간회동식 정역모터는 외부로 부터 전류를 인가 받아 모터 내부의 전자석과 코일로 형성된 구동부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다가 다시 외부에 설치된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전류의 흐름 방향을 바꿔주어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바꿔주는 것으로, 이와 같은 작동을 반복 하므로서 정역모터의 회전 방향을 정역 방향으로 수시로 바꿔주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간회동식 정역모터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모터 외부에 설치된 제어장치에 의해 전환시켜 주어 모터내부의 구동부를 정역회전 시키는 것이므로, 그 장치가 매우 복잡해지기 때문에 제작이 까다로워 제작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류흐름 제어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모터내부의 구동부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메인기어에 회동구간 만큼의 핀삽입공을 설치하여 이에 베이스판 부재에 고정설치된 스톱핀을 삽입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 하므로서 그 구조를 보다 단순히 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원가절감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구간회동식 정역모터를 제공코저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 구간회동식 정역모터의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 구간회동식 정역모터의 메인기어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 구간회동식 정역모터의 작동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보빈단자
3 : 베이스판 부재 4 : 메인기어
5 : 핀 삽입공 6 : 스톱핀
7 : 구동부 8,8' : 기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 구간회동식 정역모터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하우징(1)의 내부에 베이스판 부재(3)가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는 보빈단자(2)가 설치되며, 중앙에는 전자석과 코일로 구성된 구동부(7)가 설치되어 이에 각종기어(8)(8')와 메인기어(4)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구성된 구간회동식 정역모터에 있어서, 메인기어(4)의 기어내측 원판상에 회동구간 만큼의 핀삽입공(5)을 형성하고, 이에 베이스판 부재(3)에 고정 설치된 스톱핀(6)을 삽입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구간회동식 정역모터를 조립할 때에는 우선, 베이스판 부재(3)에 스톱핀(6)을 축설하여 고정시키고, 이를 메인기어(4)의 핀삽입공(5)에 삽입되도록 메인기어(4)를 베이스판 부재(3)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 구간회동식 정역모터의 작용을 보면 도 3의 도시와 같이 모터에 전류를 인가 받아 구동부(7)를 회전시켜 이와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8)(8')와 메인기어(4)를 회전 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메인기어(4)가 회전 하다가 이에 형성된 핀삽입공(5)의 일단에 스톱핀(6)이 슬라이딩 되어 끝단에 걸려 그 부하에 의해 구동부(7)가 회전을 멈추게 되어 이를 전류의 흐름 방향을 바꾸어 주는 제어장치에 전달하게 되어, 전류의 흐름방향을 바꾸어 주므로서 모터내의 구동부(7)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류의 흐름 방향을 바꾸어 주는 제어장치는 모터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구동부(7)가 기계적인 부하로 인해 멈추게 되면 전류의 흐름 방향이 자동적으로 바뀌도록 작동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반복하여 전역회전 하는 동기모터는 그 구조가 매우 단순화 될 뿐 아니라 회동 구간이 메인기어(4)에 설치된 핀삽입공(5)의 길이에 의해 정해지므로 보다 정확하게 회동구간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본 고안 구간회동식 정역모터는 별도의 전류흐름 제어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모터내부의 구동부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메인기어에 회동구간 만큼의 핀삽입공을 설치하여 이에 베이스판 부재에 고정설치된 스톱핀을 삽입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 하므로서 그 구조를 보다 단순히 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하우징(1)의 내부에 베이스판 부재(3)가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는 보빈단자(2)가 설치되며, 중앙에는 전자석과 코일로 구성된 구동부(7)가 설치되어 이에 각종기어(8)(8')와 메인기어(4)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구성된 구간회동식 정역모터에 있어서, 메인기어(4)의 기어내측 원판상에 회동구간 만큼의 핀삽입공(5)을 형성하고, 이에 베이스판 부재(3)에 고정 설치된 스톱핀(6)을 삽입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회동식 정역모터.
KR2019970028875U 1997-10-17 1997-10-17 구간회동식 정역모터 KR2001609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875U KR200160930Y1 (ko) 1997-10-17 1997-10-17 구간회동식 정역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875U KR200160930Y1 (ko) 1997-10-17 1997-10-17 구간회동식 정역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568U KR19990015568U (ko) 1999-05-15
KR200160930Y1 true KR200160930Y1 (ko) 1999-11-15

Family

ID=1951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875U KR200160930Y1 (ko) 1997-10-17 1997-10-17 구간회동식 정역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9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568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2563A (en) Shut-off unit in a drive unit for awnings and roller blinds
KR200160930Y1 (ko) 구간회동식 정역모터
US4893038A (en) Device for limiting direction of rotation of synchronous motor
US4789761A (en) Appliance timer
KR100387976B1 (ko) 모터액튜에이터
US4406953A (en) Timer switch
JP2001208096A (ja) 揺動クラッチ機構およびバルブ開閉制御装置ならびにトイレ便器洗浄装置
CN100373747C (zh) 牵引马达
JPH11346469A (ja) 変速機構付ステッピングモータ
KR200170022Y1 (ko) 셔터의 들림방지장치
JP3558311B2 (ja) ギヤ付き小型モータ
JPS6266046A (ja) モ−タアクチユエ−タ
KR100340730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개폐기
KR970003686Y1 (ko) 카세트 테이프 고속 복사기의 테이프 고속 구동장치
KR100235868B1 (ko) 엔진 오일 게이지
KR200343088Y1 (ko) 동기모터의 클러치 기어
KR920000091Y1 (ko) 모터 액튜에이터
KR200221492Y1 (ko) 세탁기의 클러치 작동장치
KR100969320B1 (ko) 세탁기
KR100756481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920002333Y1 (ko) 타이머의 역회전 방지 장치
KR012899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캡스턴 모터
KR200159656Y1 (ko) 쉐이딩 폴 모터용 엔드 플레이 조절 와셔
KR940005668Y1 (ko) 전자레인지 턴테이블모터의 출력 자동조절장치
KR200252995Y1 (ko) 소형돔카메라용 회전기 및 속도 조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