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649Y1 -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외부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외부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649Y1
KR200160649Y1 KR2019970013982U KR19970013982U KR200160649Y1 KR 200160649 Y1 KR200160649 Y1 KR 200160649Y1 KR 2019970013982 U KR2019970013982 U KR 2019970013982U KR 19970013982 U KR19970013982 U KR 19970013982U KR 200160649 Y1 KR200160649 Y1 KR 200160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dio signal
video signal
interne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646U (ko
Inventor
권태경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13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649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6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6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6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의 텔레비젼 세트 및 PC와 연결가능한 인터넷 모듈의 PC 신호 수신 모드에 따라 PC에서 발생되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텔레비젼 세트의 모니터 및 스피커로 출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발생된 제 1 의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PC 로부터 전달되는 제 2 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텔레비젼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의 제 1 및 제 2 오디오 신호 선택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절환부와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절환부와 연동하여 상기 제 1 디지탈 RGB 비디오 신호와 외부의 비디오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제 2의 디지탈 RGB 비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코더로 제공하는 비디오 신호 절환부를 구비하는 신호 분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사용자에게 텔레비젼 세트를 하나의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이용하여 멀티미디어의 생동감과 현장감을 제공해줄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외부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본 고안은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라 함)에 연결가능한 인터넷 셋탑(internet settop)에 관한 것으로, 특히, PC 신호 수신 모드에서 PC로 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텔레비젼을 통하여 출력 하는 구성을 갖는 인터넷 셋탑에 관한것이다.
인터넷은 특수한 군사적 목적의 컴퓨터 네트웍으로 출발하여 오늘날에는 전세계 거의 모든 국가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대중적인 네트웍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술적으로 인터넷은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는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교환하는 컴퓨터 네트웍들의 네트웍이다. 어떤 중앙 네트웍에 모든 컴퓨터들을 연결한 것이 아니라 정해진 규약만 만족하면 어떤 네트웍이든 쉽게 연결할 수 있게되어 지금과 같이 많은 수의 컴퓨터들을 연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들은 대개 한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에 정보를 요청하면 요청받은 컴퓨터가 요청 받은 정보를 건네주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되어있다. 정보를 제공하는 쪽을 서버 컴퓨터라고 하고, 정보를 받아보는 쪽을 클라이언트 컴퓨터라고 한다. 월드 와이드 웹도 하이퍼 텍스트 트랜스퍼 프로토콜(http)이라는 통신 규약을 이용하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인터넷 서비스이다. 웹 서버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의 모임을 웹 사이트라고 지칭하며, 웹서버 컴퓨터가 TV 방송국이라면 웹 사이트는 채널에 해당한다.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보여주는 웹 브라우져(web brouser)는 TV 방송으로 보자면 TV 수상기와 같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웹 브라우져만 익히면 당장 월드 와이드 웹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월드 와이드 웹의 복잡한 내부 작업은 웹 브라우져가 알아서 처리하므로, 사용자는 리모콘을 다루듯이 웹 브라우져를 조작하기만 하면 된다. 사실 오늘날과 같이 웹이 인기를 끌게된 것은 기능은 강력하면서도 누구나 쉽게 이용 할 수 있는 훌륭한 웹 브라우져들이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웹 브라우져의 기능이 날이 갈수록 향상되고 있어, 머지않은 미래에는 웹 브라우져만 익히면 컴퓨터의 거의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현재 웹 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정보 검색을 위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위해서는 반드시 디스플레이 장치인 모니터와 단말기격인 컴퓨터를 네트웍이나 전화선에 접속하여아만 한다. 그러나, 인터넷을 이용하려면 고가의 개인용 멀티미디어 PC 등의 하드웨어 장비가 필요하며, 랩탑 형태의 PC가 아니고는 휴대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전용 모듈을 갖는 인터넷 셋탑이 제안되었다.
도 1를 참조하면, 통상의 모니터를 갖는 텔레비젼 세트(300)와 연결가능한 인터넷 모듈을 갖는 인터넷 셋탑이 도시된다.
인터넷 모듈(100)은 텔레비젼 세트에 외부에서 접속가능한 셋탑 박스 형태로 제공된다. 도시된바와같이, 인터넷 전용 모듈(100)은 하나의 보드로서 구성되고, 이 보드에는 인터넷에 접속을 위한 하드웨어가 실장되어있다. 인터넷 전용 모듈(100)은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받은 하이퍼텍스트 멀티미디어 정보를 텔레비젼 세트(300)의 모니터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인터넷 전용 모듈(100)은 인터넷 통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500)와 그의 주변 장치들로 구성된다. 또한 인터넷 모듈(100)은 그의 엑세서리로서 포인팅 입력 수단인 키보드/마우스(200)를 더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0)는 32 비트 RISC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로서, 영국의 Advanced RISC Machines (ARM)사로부터 입수가능한 ARM 7500 계열 마이크로콘트롤러 칩이다. 이 마이크로프로세서(500)는 내부적으로 ARM7 CPU 코어를 중심으로 비디오 처리부, 사운드 처리부, 기타 I/O 인터페이스부, A/D 및 D/A 기능, 4K 바이트 캐시, 기록(write) 버퍼, 그리고 메모리 관리 유니트(memory management unit : MMU)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용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다. 비디오 및 사운드 처리부는 모니터, 텔레비젼을 비롯한 CRT 또는 저전력의 LCD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비디오 출력을 생성하며, I/O 처리 인터페이스부는 키보드와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등의 인터페이스에 사용된다.
모뎀(510)은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하여 외부 전화 회선과 연결되어있으며, 프로세서(500)에서 지원하는 E-ISA 커넥터(515)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500)에 연결되어있다.
PROM(520)은 기본적인 OS와 TCP/IP, PPP, MIME, HTTP, HTML 등의 인터넷 관련 프로토콜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플래시(flash) 메모리(530)는 PC에서 사용되는 하드 디스크 저장 매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수단으로, 익스플로러 또는 네스케이프 네비게이터등의 웹 탐색 응용 프로그램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DRAM(540)은 플래시 메모리(530)와 함께 인터넷으로부터 다운 로드 받는 데이터 및 정보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PROM(520), 플래시 메모리(530) 및 DRAM(540)과 같은 메모리 그룹은 용량을 위하여 확장가능하다.
키 입력 처리부(550)는 일측이 프로세서(500)에 내장된 I/O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연결되어있으며, 타측이 키 보드/마우스(300)에 접속되어, 키 보드/마우스(300)로부터 제공된 키 입력 신호를 코드화된 신호로 변환하여 인터넷 프로세서(5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코더(560)는 인터넷 프로세서(500)로부터 출력된 RGB 비디오 신호를 텔레비젼 세트(300)에서 사용되는 NTSC 방식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운드 D/A 변환부(570)는 인터넷 프로세서(500)로부터 출력된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해주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기능을 수행하며, 그 출력은 텔레비젼 세트(300)의 스피커(도시안됨)에 연결된다.
또한, 인터넷 모듈(100)은 PC(400)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하는 신호 분배 모듈(600)을 더 구비한다. 신호 분배 모듈(600)은 인터넷 프로세서(500)와 인코더(560)사이에 배치되어, PC(400)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신호와 인터넷 프로세서(500)에서 발생되는 비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코더(560)를 통하여 텔레비젼 세트(300)의 모니터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 동작에 있어서, 인터넷 모듈(100)이 텔레비젼 세트(300)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키 보드/마우스(200)상의 인터넷 접속 키를 클릭하면, 이러한 클릭 동작에 따라 인터넷 프로세서(500)는 PROM(520)내의 BIOS 부트 프로그램과 같은 기본적인 시스템 정보를 구동시키고, PROM(520)내에 저장된 운영체제 O/S부팅 파일들을 DRAM(540)으로 옮긴다. 이때부터 모든 제어권은 PROM(520)내에 저장된 운영체제인 윈도 95 등의 멀티미디어 환경으로 진행하게되며, 곧이어 인터넷 모드로 진행하게된다.
인터넷 모듈(100)은 인터넷 모드에서 사용되어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다운로드 받는 동안 PC(400)에서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에서도 동작가능하다. 이러한 PC 신호 수신 모드는 인터넷 정보의 다운로드중에 신호 분배 모듈(600)을 통하여 PC에서 발생된 신호를 텔레비젼 세트(300)로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PC 수신 모드에서, PC 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는 인터넷 모듈(100)을 통하여 텔레비젼 세트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지만, 오디오 신호는 PC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고 있다.
따라서, PC 로부터 생성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텔레비젼 세트의 모니터와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보다 현장감있고 생동감있는 멀티미디어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인터넷 모듈에서 PC 신호 수신 모드에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텔레비젼과 같은 하나의 멀티미디어 기능의 기기를 통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인터넷 모듈을 제공하는것을 그 목적으로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의 텔레비젼 세트 및 PC와 연결가능한 인터넷 모듈의 PC 신호 수신 모드에 따라 PC에서 발생되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텔레비젼 세트의 모니터 및 스피커로 출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발생된 제 1 의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PC 로부터 전달되는 제 2 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텔레비젼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의 제 1 및 제 2 오디오 신호 선택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절환부와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절환부와 연동하여 상기 제 1 디지탈 RGB 비디오 신호와 외부의 비디오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제 2의 디지탈 RGB 비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코더로 제공하는 비디오 신호 절환부를 구비하는 신호 분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도 1은 전형적인 인터넷 모듈과 PC의 접속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PC 비디오및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각기 선택적 PC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의 기계적 구성과 그 일부의 내부 구성을 확대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터넷 전용 모듈 200 : 키보드/마우스
500 : 인터넷 마이크로프로세서 510 : 모뎀
560 : 인코더 600 : 신호 분배 모듈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며,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라서 구성된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PC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의 구성으로서, 인터넷 모듈(100)의 인터넷 프로세서(500)와 PC(400)로부터 각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580)와, 인터넷 프로세서(500) 및 PC(400)와 인코더(560)와의 인터페이스로서 멀티플렉서(580)를 제어하는 신호 분배 모듈(700)이 도시된다.
사운드 D/A 변환기(570)는 인터넷 프로세서(500)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의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라인(410)을 통하여 멀티플렉서(580)의 일입력으로 제공된다. 한편, PC(400)는 그 내부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제 2의 오디오 신호를 라인(420)을 통하여 멀티플렉서(580)의 타입력으로서 제공한다.
멀티플렉서(580)는 신호 분배 모듈(700)의 제 1 및 제 2 오디오 신호 선택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의 오디오 신호와 제 2 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텔레비젼 세트(300)의 스피커로 출력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비디오 신호 분배 모듈(700)의 기계적 구성이 도시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계적 스위치 장치로 구성된 신호 분배 모듈(700)은 멀티플렉서(580)의 오디오 신호 선택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오디오 신호 선택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오디오 신호 절환부(110)와, 인터넷 마이크로프로세서(500)로부터 생성된 제 1 디지탈 RGB 비디오 신호와 인터넷 모듈(100)에 접속가능한 외부 비디오 신호원인 PC(400)로부터 입력되는 제 2의 디지탈 RGB 비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코더(560)로 제공하는 비디오 신호 절환부(120, 130, 140, 150, 160)를 구비한다.
비디오 신호 절환부(120)는 제 1 및 제 2 디지탈 RGB 비디오 신호중의 R 신호 성분을, 신호 절환부(130)는 G 신호 성분을, 신호 절환부(140)는 B 신호 성분을, 신호 절환부(150)는 수평 동기 신호 성분(Hsync)을, 그리고 신호 절환부(16)는 수직 동기 신호 성분(Vsync)을 절환한다.
도 3b에는 도 2에 도시된 오디오 신호 절환부(110)와 비디오 신호 절환부들(120, 130, 140, 150, 160)중의 하나의 비디오 신호 절환부(12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 절환부(110)는 Vcc에 연결되어 Vcc 전위를 발생하는 제 1 접점(112), 접지에 연결되어 접지 전위를 발생하는 제 2 접점(114), 멀티플렉서(580)로 제 1 및 제 2 오디오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공통 접점(116), 공통 접점(116)에 대하여제 1 접점(112) 및 제 2 접점(114)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드 접점(118)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신호 절환부(120)는 제 1 비디오 신호(R1)에 연결된 제 1 접점(122), 제 2 비디오 신호(R2)에 연결된 제 2 접점(124), 인코더(560)에 연결된 공통 접점(126) 및 공통 접점(126)에 대하여 제 1 접점(122) 및 제 2 접점(124)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드 접점(128)를 구비한다.
기계적 스위치 장치(7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절환 노브(170)를 선택적으로 온 및 오프 함으로써 좌 및 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절환 노브(170)의 슬라이드 운동에 의해 절환 노브(170)의 축상에 지지된 슬라이드 접점(118, 128)이 좌 및 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및 제 2 접점을 공통 접점에 선택적으로 연결시켜줄 수 있다. 인터넷 모듈(100)이 인터넷 모드에 있을때, 신호 분배 모듈(700)은 오프 상태를 가지며, 이 오프 상태에서 오디오 신호 절환부(110)및 비디오 신호 절환부(120 내지 160)의 제 1 접점(112) 및 (122)과 공통 접점(116) 및 (126)이 각기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신호 분배 모듈(700)의 오디오 신호 절환부(110)는 멀티플렉서(580)로로 제 1 접점(112)의 Vcc 전위를 제공한다. 따라서, 멀티플렉서(580)는 그 스위칭 상태를 제 1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위치로 절환한다. 이때, 인터넷 프로세서(500)로부터 발생된 디지탈 RGB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신호 절환부(120 내지 160)을 경유하여 인코더(560)를 통하여 텔레비젼 세트(30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신호 분배 모듈(700)의 노브(170)를 스위치 온 상태로 함으로써 인터넷 모듈(100)이 PC 신호 수신 모드에 있을때, 신호 분배 모듈(700)의 오디오 신호 절환부(110)의 공통 접점(116)은 접지 전위의 제 2 점점(114)에 연결됨으로써 제 2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때, 오디오 신호 절환부(110)와 마찬가지로, 비디오 신호 절환부(120 내지 160)의 공통 접점이 각기 제 2 접점에 연결됨으로써 PC(400)로부터 입력되는 제 2 디지탈 RGB 비디오 신호가 인코더(560)를 통하여 텔레비젼 세트(300)로 제공되어 PC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PC 신호 수신 모드로부터 다시 인터넷 모드로 절환하기위해서는 신호 분배 모듈(700)의 노브(170)를 스위치 오프 위치로 절환함으로서 상술한 바와같이 인터넷 프로세서(500)로부터 발생된 제 1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가 인코더(560)를 통하여 텔레비젼 세트(300)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라 PC 신호 수신 모드에서 PC에서 발생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하나의 멀티미디어 기기인 텔레비젼 세트에 함께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된다.

Claims (2)

  1. 외부의 텔레비젼 세트 및 PC와 연결가능한 인터넷 모듈에 있어서,
    인터넷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발생된 제 1 의 디지탈 RGB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방식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텔레비젼 세트의 모니터로 제공하는 인코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발생된 제 1 의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PC 로부터 전달되는 제 2 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텔레비젼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인 인터넷 모드와 PC 신호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의 제 1 및 제 2 오디오 신호 선택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절환부와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절환부와 연동하여 상기 제 1 디지탈 RGB 비디오 신호와 외부의 비디오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제 2의 디지탈 RGB 비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인코더로 제공하는 비디오 신호 절환부를 구비하는 비디오 신호 분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PC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배 모듈의 오디오 신호 절환부는:
    Vcc에 연결된 제 1 접점;
    접지에 연결된 제 2 접점;
    상기 멀티플렉서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공통 접점;
    상기 공통 접점에 대하여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드 접점을 구비하며,
    상기 신호 분배 모듈의 비디오 신호 절환부는:
    상기 제 1 RGB 비디오 신호에 연결된 제 1 접점;
    상기 제 2 RGB 비디오 신호에 연결된 제 2 접점;
    상기 인코더에 연결된 공통 접점;
    상기 공통 접점에 대하여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드 접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PC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KR2019970013982U 1997-06-12 1997-06-12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외부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KR200160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982U KR200160649Y1 (ko) 1997-06-12 1997-06-12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외부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982U KR200160649Y1 (ko) 1997-06-12 1997-06-12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외부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646U KR19990000646U (ko) 1999-01-15
KR200160649Y1 true KR200160649Y1 (ko) 1999-11-15

Family

ID=1950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982U KR200160649Y1 (ko) 1997-06-12 1997-06-12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외부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6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09570A (zh) * 2001-04-10 2004-06-30 ������������ʽ���� 基于pc的电视机顶盒系统及利用该系统专有地提供内容的方法
KR100485800B1 (ko) * 2002-07-27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비디오신호 출력장치 및 그의 오디오신호출력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646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1940B2 (en)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display system and content display method
KR20030088144A (ko) 쌍방향 텔레비젼용 시스템 및 방법
JP4792247B2 (ja) 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の視聴方法
GB2369959A (en) Holder for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 a screen
KR200160649Y1 (ko)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외부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KR19990000652U (ko)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키 입력 차단 장치
KR19990000649U (ko)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전원 공급 장치
KR19990000647U (ko)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인터넷 모드 및 외부 신호 수신 모드 표시 장치
KR19990000645U (ko) 인터넷 셋탑의 사용시간 표시장치
KR19990000644U (ko)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키 입력 차단 장치
KR100253739B1 (ko) 비디오신호분배모듈을갖는인터넷전용시스템
US20040194145A1 (en) Leveraging PC processing power to handle CPU intensive tasks
KR19990001063A (ko) 인터넷 셋탑의 배경음 변경 방법
KR19990001060A (ko) 인터넷 모듈의 웹 사이트 인터페이스 장치
KR19990000650U (ko) 인터넷 모듈의 언더스캔/오버스캔 절환 장치
KR10068608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4483283B2 (ja) インターネット端末
KR19980074039A (ko) 인터넷 모듈 셋탑
KR19990000651U (ko) 스피커 폰 기능을 갖는 인터넷 모듈
KR20000009221U (ko) 라디오 기능을 갖는 인터넷 셋탑
KR19980074041A (ko) 선택적 확장 메모리 모듈을 갖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KR19980074042A (ko) 선택적 확장 메모리 모듈을 갖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KR19980074038A (ko) 인터넷 텔레비젼
KR19980074043A (ko) 프린터 인터페이스를 갖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JP2005064755A (ja) リモート制御システム、リモート制御装置、リモート制御端末、被制御装置、リモート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