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739B1 - 비디오신호분배모듈을갖는인터넷전용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디오신호분배모듈을갖는인터넷전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739B1
KR100253739B1 KR1019970009680A KR19970009680A KR100253739B1 KR 100253739 B1 KR100253739 B1 KR 100253739B1 KR 1019970009680 A KR1019970009680 A KR 1019970009680A KR 19970009680 A KR19970009680 A KR 19970009680A KR 100253739 B1 KR100253739 B1 KR 100253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signal
microprocessor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4040A (ko
Inventor
권태경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09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739B1/ko
Publication of KR19980074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인터넷 사용을 위하여 PC 시스템을 구축하는 불편함이 없이도, 편리하고 비용 효과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텔레비젼 세트에 연결가능하게 구성된 인터넷 전용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인터넷 전용 모듈은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하여 네트웍 통신 서비스의 전화 회선과 연결된 모뎀과, 기본적인 OS 와 인터넷 관련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PROM과, 웹 탐색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인터넷으로부터 다운 로드 받은 멀티미디어 정보 및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와, 인터넷 전용 모듈과 연결되는 PC 입력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에 따라 PROM의 OS에 의해 인터넷 전용 모듈을 부팅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웹 탐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뎀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멀티미디어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텔레비젼 세트의 비디오 입력 단자에 연결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멀티미디어 정보 및 데이터와 외부의 PC로부터 제공되는 PC 입력 신호를 텔레비젼에 필요한 신호 방식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인코더와 PC 입력 신호와 멀티미디어 정보 및 데이터를 인코더로 제공하거나 또는 외부의 PC용 모니터에 제공하는 신호 분배 모듈을 구비하여, 비용 효과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비디오 신호 분배 모듈을 갖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INTERNET SYSTEM HAVING A VIDEO DISTRIBUTER}
본 발명은 텔레비젼에 연결가능한 인터넷 전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 전용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비디오 신호와 PC의 입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PC용 모니터로 분배할 수 있는 신호 분배 모듈을 갖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특수한 군사적 목적의 컴퓨터 네트웍으로 출발하여 오늘날에는 전세계 거의 모든 국가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대중적인 네트웍이 되었다. 인터넷의 기원은 1960년대 미국 국방성이 전략 방위적 목적으로 구축한 ARPANET이다. 냉전 시대에 군사적인 목적으로 개발된 첨단 기술이 시대가 변하여 정보화 시대가 도래하자 일반인의 생활에 큰 도움을 주게 된 것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호스트 컴퓨터들의 수는 1000만대가 넘으며, 아프리카의 일부 국가나 북한등 극도로 폐쇄적인 나라를 제외한 모든 나라들에서 인터넷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전화로는 연결하기 힘든 나라도 인터넷을 통해서 연결할 수있게 된 것이다.
기술적으로 인터넷은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는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교환하는 컴퓨터 네트웍들의 네트웍이다. 어떤 중앙 네트웍에 모든 컴퓨터들을 연결한 것이 아니라 정해진 규약만 만족하면 어떤 네트웍이든 쉽게 연결할 수 있게되어 지금과 같이 많은 수의 컴퓨터들을 연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인터넷으로 연결된 네트웍은 개인 사용자로부터 수백만의 사용자를 가지고있는 온라인 서비스 회사의 네트웍까지 다양하다. 인터넷은 네트웍들의 네트웍이기 때문에 어떠한 중앙 기관이 전체를 통괄하는 대신, 네트웍들의 협의체에 의해 정책들이 결정된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전문 협의체들은 자신이 맡은 분야에서 인터넷의 발전을 주도하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이처럼 인터넷은 민주적인 절차에 따라 합리적으로 운영되므로, 어떤 매스미디어나 네트웍들보다도 다양한 정보가 존재할 수 있고 전세계에 걸쳐 빠른 속도로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은 한마디로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망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이 멀티미디어로 주고 받는 정보 시스템을 지칭한다. 월드 와이드 웹이 기존의 컴퓨터 정보시스템과 다른점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과 하이퍼 링크(hyper link)를 이용한 하이퍼 텍스트(hyper text) 시스템이라는 점이다. 하이퍼 텍스트는 하이퍼 링크를 이용하여 자판을 칠 필요없이, 마우스로 단추를 클릭하기만하면 원하는 정보로 이동하는 전자 문서를 말한다. 전세계의 월드 와이드 웹 정보들은 하나의 거대한 하이퍼 텍스트 문자와 같기 때문에, 문서가 어디에 있건 마우스 단추만 눌러서 어떤 문서든 찾아 볼 수 있다.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들은 대개 한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에 정보를 요청하면 요청받은 컴퓨터가 요청 받은 정보를 건네주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되어있다. 정보를 제공하는 쪽을 서버 컴퓨터라고 하고, 정보를 받아보는 쪽을 클라이언트 컴퓨터라고 한다. 월드 와이드 웹도 하이퍼 텍스트 트랜스퍼 프로토콜(http)이라는 통신 규약을 이용하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인터넷 서비스이다. 웹 서버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의 모임을 웹 사이트라고 지칭하며, 웹서버 컴퓨터가 TV 방송국이라면 웹 사이트는 채널에 해당한다.
현재 인터넷의 발전 속도는 한달에 웹 사이트 수가 두배씩 증가할 정도로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있으며, 이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방이다. 인터넷을 통하여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다운 받기도 하며, 최신 뉴스 등을 볼 수도 있고, 안방에서 루브르 박물관의 미술픔을 감상할 수 도 있다. 또한 필요한 물건을 주문할 수도 있고, 이를 회사의 홍보와 제품 소개에 이용하여 큰 효과를 보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인터넷과의 관계는 앞으로 더욱 밀접해질 전망이다.
정보를 받아 보여주는 웹 브라우져(web brouser)는 TV 방송으로 보자면 TV 수상기와 같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웹 브라우져만 익히면 당장 월드 와이드 웹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월드 와이드 웹의 복잡한 내부 작업은 웹 브라우져가 알아서 처리하므로, 사용자는 리모콘을 다루듯이 웹 브라우져를 조작하기만 하면 된다. 사실 오늘날과 같이 웹이 인기를 끌게된 것은 기능은 강력하면서도 누구나 쉽게 이용 할 수 있는 훌륭한 웹 브라우져들이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웹 브라우져의 기능이 날이 갈수록 향상되고 있어, 머지않은 미래에는 웹 브라우져만 익히면 컴퓨터의 거의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현재 웹 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정보 검색을 위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위해서는 반드시 디스플레이 장치인 모니터와 단말기격인 컴퓨터를 네트웍이나 전화선에 접속하여아만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의 인터넷 접속을 위한 PC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된다.
하드웨어부(10)는 기존의 PC에서는 486급 이상의 멀티미디어 컴퓨터와 디스플레이 파트인 모니터(20)와 네트웍 서비스 또는 PC 통신 서비스(30)에 접속되는 LAN 카드 모뎀을 포함한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부(40)는 PC 시스템을 운영하기위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 O/S)인 윈도우즈나 기타 유닉스 계열의 O/S 소프트웨어와 인터넷 접속에 필요한 각종 프로토콜, 예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PPP(point-to point protocol), MIME, HTTP(hyper text transmission protocol),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을 포함한다.
응용 소프트웨어부(50)는 기존 PC에서 활용되는 웹 브라우져로서 네스케이프 네비게이터(Netscape Navigator)나 이에 플러그 인되는 각종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상술한 인터넷 접속 PC 시스템에서는 인터넷에 접속을 위하여 시스템 소프트웨어부(40)내의 O/S를 이용하여 PC 시스템의 하드웨어부(10)을 부팅시키고, 하드웨어부(10)내 모뎀을 이용하여 네트웍 서비스(30)를 통하여 전화 네트웍 접속 프로그램을 구동한 후에 응용 소프트웨어부(50)의 웹 브라우져 등의 프로그램을 수행시키게 된다.
그러나, 인터넷을 이용하려면 고가의 개인용 멀티미디어 PC 등의 하드웨어 장비가 필요하며, 랩탑 형태의 PC가 아니고는 휴대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전용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C 시스템과 연결하여 인터넷 전용 모듈에서 발생하는 비디오 신호 및 PC 신호를 텔레비젼 또는 PC용 모니터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신호 분배 모듈을 갖는 갖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을 제공하는것을 그 목적으로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텔레비젼 세트에 연결가능한 인터넷 전용 모듈은,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하여 네트웍 통신 서비스의 전화 회선과 연결된 모뎀; 기본적인 OS와 인터넷 관련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PROM; 웹 탐색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다운 로드 받은 멀티미디어 정보 및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상기 인터넷 전용 모듈과 연결되는 PC 입력 수단; 상기 PC 입력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PROM의 OS에 의해 상기 인터넷 전용 모듈을 부팅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웹 탐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모뎀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에 접속하는 멀티미디어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텔레비젼 세트의 비디오 입력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멀티미디어 정보 및 데이터와 외부의 PC로부터 제공되는 PC 입력 신호를 상기 텔레비젼에 필요한 신호 방식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인코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인코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PC 입력 신호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및 데이터를 상기 인코더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의 PC용 모니터에 제공하는 신호 분배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전형적인 인터넷 접속을 위한 PC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용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용 모듈의 비디오 신호 분배 모듈의 실시예를 각기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D형 출력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PC용 모니터 및 텔레비젼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터넷 전용 모듈 300 : 키보드
500 : 마이크로프로세서 510 : 모뎀
530 : 플래시 메모리 모듈 560 : 인코더
600 : 신호 분배 모듈 620 : 입력 커넥터
640 : 출력 커넥터 650 : 신호 선택부
652, 654 : 릴레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상의 모니터를 갖는 텔레비젼 세트(도시안됨)와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연결가능한 인터넷 전용 모듈이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용 모듈(100)은, 텔레비젼 세트에 내장된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텔레비젼 세트에 외부에서 접속가능한 셋탑 박스 형태로 제공될 수도있다. 또한 인터넷 전용 모듈(100)은 그의 엑세서리로서 포인팅 입력 수단인 키보드 및 마우스를 더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전용 모듈(100)은 하나의 보드로서 구성되고, 이 보드에는 인터넷에 접속을 위한 하드웨어가 실장되어있다. 인터넷 전용 모듈(100)은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받은 하이퍼텍스트 멀티미디어 정보를 텔레비젼 세트 본체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인터넷 통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500)와 그의 주변 장치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0)는 32 비트 RISC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로서, 영국의 Advanced RISC Machines (ARM)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ARM 7500 계열 마이크로콘트롤러 칩이다. 이 마이크로프로세서(500)는 내부적으로 ARM 7500 CPU 코어를 중심으로 비디오 처리부, 사운드 처리부, 기타 I/O 인터페이스부, A/D 및 D/A 기능, 4K 바이트 캐시, 기록(write) 버퍼, 그리고 메모리 관리 유니트(memory management unit : MMU)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용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다. 비디오 및 사운드 처리부는 모니터, 텔레비젼을 비롯한 CRT 또는 저전력의 LCD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비디오 출력을 생성하며, I/O 처리 인터페이스부는 키보드와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등의 인터페이스에 사용된다.
모뎀(510)은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하여 외부 전화 회선과 연결되어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에서 지원하는 E-ISA 커넥터(515)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500)에 연결되어있다.
PROM(520)은 기본적인 OS와 TCP/IP, PPP, MIME, HTTP, HTML 등의 인터넷 관련 프로토콜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플래시(flash) 메모리(530)는 PC에서 사용되는 하드 디스크 저장 매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수단으로, 익스플로러 또는 네스케이프 네비게이터등의 웹 탐색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DRAM(540)은 플래시 메모리(530)와 함께 인터넷으로부터 다운 로드 받는 데이터 및 정보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PROM(520), 플래시 메모리(530) 및 DRAM(540)과 같은 메모리 그룹은 용량을 위하여 확장 가능하다.
키 입력 처리부(550)는 일측이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에 내장된 I/O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키 보드(300) 또는 도지되지 않은 마우스에 접속되어,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5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코더(56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00)로부터 출력된 R,G,B 비디오 신호를 텔레비젼 세트에서 사용되는 NTSC 방식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운드 D/A 변환기(57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00)로부터 출력된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해주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기능을 수행하며, 그 출력은 텔레비젼에 연결된다.
신호 분배 모듈(600)은 마이크로프로세서(500)와 인코더(560)사이에 배치되어 외부의 PC로부터 제공된 PC 입력 신호를 텔레비젼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의 출력 즉,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신호를 PC용 모니터(도시안됨)로 제공하는 분배기능을 수행한다.
그 동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인터넷 전용 모듈(100)이 텔레비젼과 비디오 단자로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키 보드 또는 마우스상의 인터넷 접속 키를 클릭하면, 이러한 클릭 동작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500)는 PROM(520)내의 BIOS 부트 프로그램과 같은 기본적인 시스템 정보를 구동시키고, PROM(520)내에 저장된 운영체제 O/S부팅 파일들을 DRAM(540)으로 옮긴다. 이때부터 모든 제어권은 PROM(520)내에 저장된 운영체제인 윈도 95 등의 멀티미디어 환경으로 진행하게되며, 곧이어 인터넷 모드로 진행하게된다.
도 3a 및 도 3b에는 도 2에 도시된 신호 분배 모듈(600)에 대한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분배 모듈(600)은 PC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된 D형 입력 커넥터(620), D형 입력 커넥터(620)로부터의 PC 입력 신호와 마이크로프로세서(500)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선택 스위치(630), 선택 스위치(630)로부터 발생된 선택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500)로부터의 비디오 신호와 PC 입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코더(560)로 제공하는 신호 선택부(650)을 구비한다.
신호 선택부(65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의 비디오(R,G,B)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릴레이(652)와, D형 입력 커넥터(620)를 통하여 PC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릴레이(654)와, 제 1 릴레이(652) 및 제 2 릴레이(654)로 선택 스위치(630)로부터 발생된 선택 신호를 교번적으로 제공하는 인버터(656)를 구비한다.
이 때, 인버터(656)는 본 발명의 도 3a 및 도 3b에서 선택 스위치(630)의 출력과 제 2 릴레이(654)사이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선택 스위치의 출력(630)과 제 1 릴레이(652)사이에 연결된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신호 선택부(650)는 2-입력 멀티플렉서 또는 메커니컬 절환 스위치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동작에 있어서, 선택 스위치(630)가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의 비디오(R,G,B) 신호를 선택하는 위치에 있을 때, 비디오(R,G,B) 신호가 인코더(560)를 경유하여 텔레비젼 방식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텔레비젼으로 출력된다. 그와 반대로, 선택 스위치(630)가 입력 커넥터(620)를 통하여 입력된 PC 입력 신호를 선택하는 위치에 있을 때, PC 입력 신호가 인코더(560)를 경유하여 텔레비젼 방식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텔레비젼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형 텔레비젼의 화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신호를 시청할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신호 분배 모듈(600)은 신호 분배 모듈의 출력 신호를 PC용 모니터로 제공하는 D형 출력 커넥터(640)를 더 구비한다. 도 3a에서는 출력 커넥터(640)가 신호 선택부(650)의 출력에 연결된 구성을 도시하며, 도 3b에서는 출력 커넥터(640)가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의 출력에 직접 연결된 구성을 도시한다.
따라서, 신호 선택부(650)의 출력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0)의 출력을 출력 커넥터(640)에 연결되는 PC용 모니터를 통하여 보다 선명한 화상을 시청할 수도 있게된다.
도 4를 참조하면, D형 출력 커넥터(640)와 PC용 모니터 및 텔레비젼과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상세 연결 구성이 도시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0)는 동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출력 커넥터(640) 및 인코더(560)와 비디오 신호(RED, GREEN, BLUE) 라인과 동기 신호(HSYNC, VSYNC)라인으로 연결되어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500)와 출력 커넥터(640)간의 비디오 신호(RED, GREEN, BLUE)라인에는 임피던스 매칭부(700)가 병렬로 연결된다.
임피던스 매칭부(700)는 각기 75Ω의 저항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저항은 출력 커넥터(640)에 연결되는 PC모니터 또는 텔레비젼과의 임피던스 매칭에 사용된다. 이것은 텔레비젼이 내부적으로 임피던스 매칭 저항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PC용 모니터는 내부적으로 임피던스 매칭 저항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도면부호 710인 트랜지스터는 출력 커넥터(640)에 접속가능한 PC용 모니터와 텔레비젼과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하여 인터넷 전용 시스템(100)의 임피던스 매칭부(700)를 적응적으로 사용되게한다. 트랜지스터(710)의 베이스는 출력 커넥터(640)의 접지 단자(GND)에 연결되고 콜렉터는 임피던스 매칭부(700)에 연결되고, 에미터는 접지에 연결되어있다.
따라서, 출력 커넥터(640)에 PC용 모니터가 연결될 때, 출력 커넥터(640)의 접지 단자(GND)에 로우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710)를 턴 오프 상태로 만든다. 그 결과, 임피던스 매칭부(700)에 의해 출력 커넥터(640)와 PC용 모니터와의 임피던스를 매칭시켜줄 수 있다.
그러나, 출력 커넥터(640)로부터 PC용 모니터가 제거될 때, 출력 하이 레벨의 Vcc 신호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710)를 턴 온 상태로 만든다. 따라서, 임피던스 매칭부(700)가 접지로 그라운드되어 텔레비젼과의 임피던스가 매칭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인터넷 전용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디지탈 비디오 신호 및 PC 입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터넷 전용 시스템에 연결되는 텔레비젼 또는 PC용 모니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대형 화면 또는 선명한 화면을 자유로이 시청할 수 있고, 또한, 적응적인 임피던스 매칭 제어에 의해 인터넷 전용 시스템과 텔레비젼 또는 PC용 모니터와의 접속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Claims (11)

  1. 텔레비젼 세트에 연결가능한 인터넷 전용 모듈에 있어서,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하여 네트웍 통신 서비스의 전화 회선과 연결된 모뎀;
    기본적인 OS와 인터넷 관련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PROM;
    웹 탐색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다운 로드 받은 멀티미디어 정보 및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상기 인터넷 전용 모듈과 연결되는 PC 입력 수단;
    상기 PC 입력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PROM의 OS에 의해 상기 인터넷 전용 모듈을 부팅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웹 탐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모뎀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에 접속하는 멀티미디어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텔레비젼 세트의 비디오 입력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멀티미디어 정보 및 데이터와 외부의 PC로부터 제공되는 PC 입력 신호를 상기 텔레비젼에 필요한 신호 방식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인코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인코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PC 입력 신호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및 데이터를 상기 인코더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의 PC용 모니터에 제공하는 신호 분배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배 모듈은:
    상기 PC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된 입력 커넥터;
    상기 PC 입력 신호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선택 스위치;
    상기 선택 스위치로부터 발생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의 비디오 신호와 상기 입력 커넥터를 통한 PC 입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인코더와 상기 PC용 모니터로 제공하는 신호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택 수단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릴레이와, 상기 PC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릴레이와, 상기 제 1 및 제 2 릴레이로 상기 선택 신호를 교번적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번적 선택 신호 제공 수단은 상기 선택 스위치의 출력과 상기 제 1 릴레이사이에 연결된 인버터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번적 선택 신호 제공 수단은 상기 선택 스위치의 출력과 상기 제 2 릴레이사이에 연결된 인버터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배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을 상기 PC용 모니터로 제공하는 출력 커넥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배 모듈은 상기 신호 선택 수단의 출력을 상기 PC용 모니터로 제공하는 출력 커넥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택 수단은 멀티플렉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택 수단은 메커니컬 절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10.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배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출력 커넥터사이에 병렬로 접속된 임피던스 매칭부;
    상기 출력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선택적으로 접지로 그라운드시키는 스위칭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출력 커넥터의 접지 단자(GND)에 연결된 베이스,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에 연결된 콜렉터 및 접지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KR1019970009680A 1997-03-21 1997-03-21 비디오신호분배모듈을갖는인터넷전용시스템 KR100253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680A KR100253739B1 (ko) 1997-03-21 1997-03-21 비디오신호분배모듈을갖는인터넷전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680A KR100253739B1 (ko) 1997-03-21 1997-03-21 비디오신호분배모듈을갖는인터넷전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040A KR19980074040A (ko) 1998-11-05
KR100253739B1 true KR100253739B1 (ko) 2000-04-15

Family

ID=1950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680A KR100253739B1 (ko) 1997-03-21 1997-03-21 비디오신호분배모듈을갖는인터넷전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37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040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37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curity certificate management for Java Applets
US58705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secure connection between a java applet and a web server
US6163779A (en) Method of saving a web page to a local hard drive to enable client-side browsing
CN100493095C (zh) 一种用于提供移动电信数据服务的网络、服务器、移动客户设备和方法
US6085199A (en) Method for distributing a file in a plurality of different file formats
US20100153838A1 (en) Adaptive content delivery
JP2002511973A (ja) オーディオ信号でコンピュータを制御する方法
WO2007070803A2 (en) System and method for web-based control of remotely located devices using ready on command architecture
WO1998036344A2 (en) Simplified-file hyper text protocol
KR100253739B1 (ko) 비디오신호분배모듈을갖는인터넷전용시스템
KR200160649Y1 (ko)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외부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KR19990001061A (ko) 개선된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KR20010032566A (ko) 웹 브라우저 그래픽 관리
KR19990001059A (ko) 인터넷 접속 제한 방법
KR19990000645U (ko) 인터넷 셋탑의 사용시간 표시장치
KR19980074041A (ko) 선택적 확장 메모리 모듈을 갖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KR19990001060A (ko) 인터넷 모듈의 웹 사이트 인터페이스 장치
KR19980074042A (ko) 선택적 확장 메모리 모듈을 갖는 인터넷 전용 시스템
KR19980074039A (ko) 인터넷 모듈 셋탑
US71112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indicating the location of links within a web page
Uemukai et al. A remote display environment: an integration of mobile and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KR19990001063A (ko) 인터넷 셋탑의 배경음 변경 방법
KR19990000647U (ko)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인터넷 모드 및 외부 신호 수신 모드 표시 장치
KR19990000649U (ko)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전원 공급 장치
KR19990000644U (ko) 인터넷 모듈의 선택적 키 입력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