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257Y1 -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257Y1
KR200160257Y1 KR2019960029294U KR19960029294U KR200160257Y1 KR 200160257 Y1 KR200160257 Y1 KR 200160257Y1 KR 2019960029294 U KR2019960029294 U KR 2019960029294U KR 19960029294 U KR19960029294 U KR 19960029294U KR 200160257 Y1 KR200160257 Y1 KR 200160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grill
coupled
cente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011U (ko
Inventor
오근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29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257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2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꽂이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꽂이와 몸체의 접촉면적을 확대하고 꽂이를 몸체의 중심측에 배치한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자렌지 조리실(20) 내부에서 회전되는 조리접시(50)에 올려질 수 있도록 각기 다른 지름을 가지며 동심원상으로 다수열 배치된 원형철선(71a)을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연결철선(71b)으로 결합하여 마련된 몸체(71), 몸체(71)를 조리접시(50)와 이격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몸체(71)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절곡되어 몸체(7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다수개가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 다리(72), 다리(72)가 돌출되는 몸체(71)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꽂이(74)가 구비된 석쇠겸용 꽂이대(70), 꽂이(74)를 몸체(71)에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중심측은 꽂이(74)와 결합되며 외주면은 몸체(71)의 중심에 배치되는 원형철선(71a)의 내부 전면과 결합된 고정부재(73)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꽂이와 결합된 연결부재가 몸체와 면접촉되므로 꽂이의 고정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으며, 몸체 중심측에 하나의 꽂이가 마련되어 적은 변형시에도 다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부에 설치되어 생선을 굽는 석쇠와 통닭 등을 꽂아 조리하는 꽂이대를 일체로 형성한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렌지는 전자파를 금속제 케이스 내에 내장된 식품분자에 조사하여 식품분자의 운동에 의한 발열로 조리를 하는 조리기이다. 이러한 전자렌지에서는 약 2,450MHz의 고주파가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어 케이스의 식품에 조사되고 식품에 조사된 고주파에 의하여 식품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가(+)와 (-)로 대전된다. 이때 고주파에 의한 전계의 (+)측에서는 분자의 한쪽이 (-)로 대전되고, 전계의 (-)측에서는 분자의 다른 한쪽이 (+)로 대전된다. 그런데 전계의 극성은 고주파에 의해 1초에 24억 5천만회가 변화되기 때문에 식품분자가 상호 심하게 충돌되어 마찰열이 생겨서 식품이 가열되는 것이다. 근래에는 상, 하 또는 벽면에 히터를 취부시켜 전기히터에 의해 발생되는 대류열이나 복사열 등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그릴 오븐 기능과 내부에 취부된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내부 팬으로 강제 순환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컨벡션기능이 추가되었다.
도 1은 이와 같은 전자렌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생선을 구울 때 상측에 마련되는 히터와 인접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석쇠와, 통닭 등을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꽂이대를 일체로 형성한 종래의 석쇠겸용 꽂이대(1)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석쇠겸용 꽂이대(1)는 그 상측으로 생선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원주형으로 마련된 몸체(2)가 마련된다. 이 몸체(2)는 지름이 각기 다르게 마련되는 다수개의 원형철선을 동심원상에 배치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후설할 다리(3)로 인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다리(3)는 엘(L)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철선으로서 절곡된 일측은 몸체(2)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되어 용접 등으로 다수개의 원형 철선을 연결함으로써 몸체(2)를 연결하는데, 서로 대칭되도록 네 곳에 설치되어 절곡된 타측이 전자렌지의 내부에 설치되어 바닥면과 몸체(2)를 이격시키게 된다.
한편, 네 곳에 마련된 다리(3)의 사이에는 통닭 등의 음식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꽂이(4)가 마련된다. 이 꽂이(4)는 유(U)자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양측선단이 다리(3)의 타측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되는데, 양측선단의 가운데 절곡 부위와 이에 마주하는 몸체(2)를 점용접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이로써 석쇠겸용 꽂이대(1)를 석쇠로 사용할 때는 하향으로 위치하게 되고, 이 때 바닥면과 밀착되지않도록 다리(3)의 돌출 길이보다 짧게 마련된다. 그리고 몸체(2)에서 돌출된 다리(3)의 선단이 상향으로 위치할 때는 그 내부로 통닭 등을 꽂게 된다. 즉, 석쇠겸용 꽂이대(1)는 다리(3)를 상향으로 설치했을 때 꽂이대로 사용하고, 다리(3)를 하향으로 했을 때는 몸체(2)의 상측으로 생선 등을 올려놓아 석쇠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는 몸체의 중심 외측으로 점용접되는 다수개의 꽂이가 몸체와의 접촉면적이 작아 잦은 사용시에는 변형이 발생되고, 꽂이의 적은 변형시에도 다리 외측으로 꽂이가 돌출되므로 보관 및 사용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꽂이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꽂이와 몸체의 접촉면적을 확대하고 꽂이를 몸체의 중심측에 배치한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도는 종래의 석쇠겸용 꽂이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석쇠겸용 꽂이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석쇠겸용 꽂이대를 석쇠로 사용할 때를 보인 전자렌지의 측단면도이다.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석쇠겸용 꽂이대를 꽂이대로 사용할 때를 보인 전자렌지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20 : 조리실
70 : 석쇠겸용 꽂이대 71 : 몸체
71a : 원형철선 71b : 연결철선
72 : 다리 73 : 고정부재
74 : 꽂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자렌지 조리실 내부에서 회전되는 조리접시에 올려질 수 있도록 각기 다른 지름을 가지며 동심원상으로 다수열 배치된 원형철선을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연결철선으로 결합하여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를 상기 조리접시와 이격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절곡되어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다수개가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 다리, 상기 다리가 돌출되는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음식물을 꽂을 수 있도록 상기 다리의 길이보다 짧게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꽂이가 구비된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에 있어서, 상기 꽂이를 상기 몸체에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중심측은 상기 꽂이와 결합되며 외주면은 상기 몸체의 중심에 배치되는 원형철선의 내부 전면과 결합된 고정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선 등이 올려지는 면적을 형성하도록 몸체(71)가 마련된다. 이 몸체(71)는 각기 지름이 다른 원형철선(71a)을 동심원상에 배치하고, 이 원형철선(71a)의 반경방향으로 세 개의 연결철선(71b)을 결합시켜 마련된다. 그리고 몸체(71)의 하측으로는 몸체(71)를 설치바닥면과 이격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다리(72)가 마련된다. 이 다리(72)는 유(U)자 형상으로 절곡된 철선 양측의 자유단을 절곡하고, 이를 몸체(70)에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연결철선(71b)이 양측단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세개가 마련된다.
한편, 몸체(71)의 중심측에 형성된 원형철선(71a)의 내부에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고정부재(73)와 꽂이(74)가 마련된다. 먼저 꽂이(74)는 원형의 철선으로서 하측으로 향한 일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통닭 등이 꽂힐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이 꽂이(74)의 길이는 다리(72)에 비해 같거나 짧게 마련되어 바닥면에 다리(72)로서 지지하여 몸체(71)와 설치바닥면이 이격될 때 뾰족하게 마련되는 꽂이(74)의 선단이 설치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즉, 꽂이(74)가 다리(72)보다 길게 마련되어 석쇠겸용 꽂이대(70)가 기울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뾰족하게 마련된 꽂이(74)가 설치바닥면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부재(73)는 중심측에 형성된 원형철선(71a)의 내부에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원판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그 중심에는 꽂이(74)의 타단이 결합되는 것이다. 이로써 꽂이(74)는 고정부재(73)를 통해 몸체(71)에 고정될 때 고정부재(73)의 외주면이 중심측 원형철선(71a)의 내부면과 면접촉하게 되므로 보다 견고히 결합되어 잦은 사용시에도 변형이 방지되고, 몸체(71)의 중심측에 꽂이(74)가 하나만 마련되므로 적은 변형시에는 꽂이(74)가 다리(7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석쇠겸용 꽂이대(70)는 다리(72)가 하측으로 위치하고, 몸체(71)가 상측에 위치할 때 몸체(71)에 생선 등을 올려놓아 석쇠로 사용하며, 이와는 반대로 몸체(71)가 설치바닥면에 위치하고, 다리(72)와 꽂이(74)가 상측에 위치할 때는 꽂이(74)에 통닭등을 꽂아 꽂이대로 사용하게 된다. 이를 도 3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는 석쇠겸용 꽂이대를 석쇠로 사용할 때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내부에 마련된 조리실(20)의 저면에는 조리용 트레이(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트레이(30)는 조리실의 저면을 그 하측이 관통하게 설치되어 모터(31)와 동일하게 회전되는 연결부재(32)와 연결부재(2)의 상면에 얹혀지는 회전판(40) 및 회전판(40)과 조리실(20)의 저면 사이에 마련되어 회전판(40)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33)로 마련된다. 그리고 이 회전판(40)의 위에는 조리접시(50)가 마련되고, 다시 이 위에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인 석쇠겸용 꽂이대(70)가 세워지는 기름접시(60)가 마련된다. 기름접시(60)의 위에는 석쇠겸용 꽂이대(70)가 다리(72)의 지지를 받아 상측에 몸체(71)가 위치한 상태로 마련되어, 몸체(71)의 상측에 생선 등을 올려놓고 조리하는 석쇠로서 사용된다.
도 4는 석쇠겸용 꽂이대를 꽂이대로 사용할 때를 보인 도면으로 도 3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기재하였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과는 반대로 석쇠겸용 꽂이대(70)의 몸체(71)가 바닥면과 접촉되어 있으며 그 상측으로는 다리(72)와 꽂이(74)가 상측을 향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상측으로 돌출되는 꽂이(74)에 통닭 등을 꽂아, 하측의 모터(31)의 회전으로 인해 회전하여 고주파 및 열기를 받아 조리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는 꽂이와 결합된 연결부재가 몸체의 면접촉되므로 꽂이의 고정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으며, 몸체 중심측에 하나의 꽂이가 마련되어 적은 변형시에도 다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전자렌지 조리실(20) 내부에서 회전되는 조리접시(50)에 올려질 수 있도록 각기 다른 지름을 가지며 동심원상으로 다수열 배치된 원형철선(71a)을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연결철선(71b)으로 결합하여 마련된 몸체(71), 상기 몸체(71)를 상기 조리접시(50)와 이격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몸체(71)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절곡되어 상기 몸체(7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다수개가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 다리(72), 상기 다리(72)가 돌출되는 상기 몸체(71)의 일측면에 음식물을 꽂을 수 있도록 상기 다리(72)의 길이보다 짧게 상기 몸체(71)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꽂이(74)가 구비된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에 있어서, 상기 꽂이(74)를 상기 몸체(71)에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중심측은 상기 꽂이(74)와 결합되며 외주면은 상기 몸체(71)의 중심에 배치되는 원형철선(71a)의 내부 전면과 결합된 고정부재(7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
KR2019960029294U 1996-09-13 1996-09-13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 KR200160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294U KR200160257Y1 (ko) 1996-09-13 1996-09-13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294U KR200160257Y1 (ko) 1996-09-13 1996-09-13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11U KR19980016011U (ko) 1998-06-25
KR200160257Y1 true KR200160257Y1 (ko) 1999-11-01

Family

ID=1946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294U KR200160257Y1 (ko) 1996-09-13 1996-09-13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2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5936A (zh) * 2019-11-21 2020-02-1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烤架、烤架组件及微波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5936A (zh) * 2019-11-21 2020-02-1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烤架、烤架组件及微波炉
CN110805936B (zh) * 2019-11-21 2021-05-25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烤架、烤架组件及微波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11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9865A (en) Electric oven with improved broiler
EP1795814A2 (en) Electric oven
US4434343A (en) Turntable for microwave oven
KR200160257Y1 (ko) 전자렌지의 석쇠겸용 꽂이대
CA2243805A1 (en) Microwave oven
KR100233196B1 (ko) 전자렌지용 보조조리장치
US4797521A (en) Microwave oven cookware pedestal
US6768088B2 (en) Cooking shelf for microwave oven and microwave oven having the same
GB1564972A (en) Portable electric hot plate
US5162628A (en) Support means for a spit in an electric oven with combined microwave and resistance heating
JPS6122205B2 (ko)
US20060151467A1 (en) Cooking apparatus
GB2171580A (en) Stand for use in a microwave oven
CN217066034U (zh) 转盘、转盘组件和烹饪电器
CN220192735U (zh) 煲体及烹饪器具
KR19980076906A (ko) 전자렌지용 바베큐랙
KR200150821Y1 (ko) 전자렌지의 조리용 트레이
JP3494898B2 (ja) 加熱調理器具
KR100265620B1 (ko) 전자렌지의조리용기구
KR19980074654A (ko) 전자렌지의 조리용 받침부재
JPS597876Y2 (ja) 電気調理器
KR200339319Y1 (ko) 전자 레인지용 그릴 랙의 높이 조절구조
KR200145961Y1 (ko) 전자렌지의 조리용 선반
KR100265634B1 (ko) 전자렌지의선반조립구조
KR0155296B1 (ko) 전자렌지의 꼬치용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