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144Y1 -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144Y1
KR200160144Y1 KR2019960031849U KR19960031849U KR200160144Y1 KR 200160144 Y1 KR200160144 Y1 KR 200160144Y1 KR 2019960031849 U KR2019960031849 U KR 2019960031849U KR 19960031849 U KR19960031849 U KR 19960031849U KR 200160144 Y1 KR200160144 Y1 KR 200160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ore
ray tube
cathode ray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1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438U (ko
Inventor
한상훈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19960031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144Y1/ko
Publication of KR19980018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4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1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01J29/76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addle coils and toroidal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편향자계의 불균형을 방지하기위해 편향장치를 구성하는 코아의 보빈에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설정시키는 음극선관의 편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편향코일(131, 132, 133, 134)이 없는 부분에 보빈(135)의 외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턱(135a, 135b)과; 결합턱(135a, 135b)이 삽입되어 코아(136)의 보빈(135)에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설정시키도록 그 코아(136)의 내벽에 형성된 요홈(136a, 136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해 코아가 균형있게 보빈의 외벽에 상대적 위치관계가 설정되어 결합됨으로써 유동에 의해 그 위치가 변경되어 발생하는 편향자계의 불균형을 방지하게되어 음극선관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편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극선관의 편향자계의 불균형을 방지하기 위해 편향장치를 구성하는 코아의 보빈에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설정시켜 장착고정시킴으로써 코아가 유동되어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음극선관의 편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칼라음극선고관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면판(18)의 배면에 형광스크린(20)이 형성된 판넬(12)과, 전자빔(19a, 19b)을 형성하여 상기 스크린(20)쪽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전자총(11)을 내부에 지니는 네크(14)와, 그 네크(14)와 판넬(12)을 연결하는 펀넬(13)과, 그 네크-펀넬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편향요크조립체(17)를 포함하는 칼라음극선관(10)이 도시된다.
그 펀넬(13) 내면에는 양극단자(15)에 접촉하는 내부 전도층(도시생략됨)이 형성된다. 다수의 애퍼처 또는 슬리트(16a)가 소정의 배열로 형성된 새도우마스크(16)는, 상기 스크린(2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판넬(12)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첨부하여 도시한 편향장치(17)는 통상 보빈(35), 코아(36), 편향코일 등을 주요 구성품으로 한다. 편향코일은 수평편향코일(33)(34)과 수직편향코일(31)(32)로 구성된다. 그 수평편향코일(33)(34)은 수평편향전류가 인가되 전자빔(19a, 19b)의 운동경로를 수평으로 편향시키도록 수평편향 자계를 형성하고, 한편 수직편향코일(31)(32)은 수직편향전류가 인가되면, 전자빔(19a, 19b)의 운동을 수직으로 편향시키도록 수직편향 자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편향장치에 인가되는 전류의 변화에 의해 편향 자계를 변화시킴으로써 전자빔(19a, 19b)이 상기 스크린(22)의 전면에 걸쳐 주사되어 음극선관 판넬(12)에 이차원 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 수평(33)(34) 및 수직편향코일(31)(32)의 권선방법으로는 토로이덜(toroidal) 타입 권선법과 새들(saddle)타입 권선법이 있는데, 수평편향코일(33)(34)에는 새들 타입 코일이 주로 사용되고, 수직편향코일(31)(32)은 토로이덜 타입 또는 새들타입 코일로 권선된다.
코아(36)는 통상적으로 페라이트 재질을 사용하며 편향코일에 의한 자계를 집속한다.
보빈(35)은 수평편향코일(33)(34) 및 수직편향코일(31)(32)을 분리시키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그 후단으로 조임밴드 및 조임나사가 장착된다.
그 편향장치(17)에는 한쌍의 새들형 수평편향코일(33)(34)이 보빈(35)의 내벽에 서로 상하로 대향하여 고정되고, 한쌍의 수직편향코일(31)(32)이 서로 대향하여 코아(36)에 토로이덜형으로 권선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그 한쌍의 수직편향코일(31)(32)이 새들타입으로 권선된때는 보빈(35)의 외부표면에 고정되고 그 주위에 코아(36)가 장착된다. 그 토로이덜 수직편향코일(31)(32)용 코아(36)는 그 코일의 권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코아(36)로 분할된다. 즉 상부 및 하부코아(36)에 각각 토로이덜 수직편향코일(31)(32)이 권선된후에 상부 및 하부코아(36)가 일체로 조립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코아에 편향코일이 토로이덜형으로 권선되거나, 새들형으로 보빈 외부표면에 고정되고 그 주위에 코아가 장착된 음극선관의 편향장치가 음극선관의 네크-펀넬 연결부분에 장착될때나 외부의 영향으로 인하여 그 코아가 보빈의 외벽에서 회전되거나 유동되어 그 장착된 위치가 변형되면 편향코일의 위치도 그에 따른 변경되어 편향코일에 전류가 흐를때 형성되는 편향자계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편향자계의 불균형을 방지하기 위해 편향장치를 구성하는 코아와 보빈에 소정의 결합장치를 두어 코아의 보빈에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설정시켜 결합시킴으로써 코아의 위치를 균형있게 하도록 하는 음극선관의 편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칼라음극선관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축방향 부분단면 평면도.
제2도는 한쌍의 새들형 수평편향코일과 토로이덜형 수직편향코일을 도시하는 제1도의 선 2-2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3-3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의 편향장치의 개략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A-A선 단면도.
제6도는 새들형 수평편향코일 및 새들형 수직편향코일이 고정된 음극선관의 편향장치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극선관 11 : 전자총
12 : 판넬 13 : 펀넬
14 : 네크 15 : 양극단자
16 : 새도우마스크 18 : 면판
19a, 19b : 전자빔 17, 117 : 편향요크조립체(편향장치)
20 : 스크린 31, 32, 131, 132 : 토로이덜형 수직편향코일
33, 34, 133, 134 : 새들형 수평편향코일
35, 135 : 보빈 36, 136 : 코아
135a, 135b : 결합턱 136a, 136b : 요홈
137, 138 : 새들형 수직편향코일
137a, 138b : 핀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한쌍의 새들형 수평편향코일이 보빈의 내벽에 서로 상하로 고정되고, 한쌍의 토로이덜형 수직편향코일 서로 대향하여 권선된 코아가 보빈에 장착되는 음극선관의 편향장치에 있어서: 편향코일이 없는 부분에 보빈의 외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턱과; 결합턱이 삽입되어 코아의 보빈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설정시키도록 코아의 내벽에 형성된 요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편향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보빈의 외벽에 한쌍의 토로이덜형 수직편향코일 대신 한쌍의 새들형 수직편향코일이 고정되고 그 주위에 코아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결합턱과 요홈이 한쌍의 새들형 수직편향코일의 핀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편향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의 편향장치의 개략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부호 131, 132는 서로 대향하여 코아(136)에 권선된 한쌍의 토로이덜형 수직편향코일(131, 132)이고, 부호 133, 134는 보빈(135)의 내벽에 서로 상하로 고정된 한쌍의 새들형 수평편향코일(133, 134)이고, 부호 136은 코아이고, 부호 135a, 135b는 편향코일(131, 132, 133, 134)이 없는 보빈(135)의 외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턱이고, 부호 136a, 136b는 코아(136)의 내벽에 형성된 요홈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한쌍의 새들형 수평편향코일(133, 134)을 보빈(135)의 내벽에 서로 상하로 고정시키고, 한쌍의 토로이덜형 수직편향코일(131, 132)을 서로 대향하여 코아(136)에 권선한 다음 그 코아(136)를 보빈(135)에 장착시킨다. 이때 편향코일(131, 132, 133, 134)이 없는 부분에 보빈(135)의 외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턱(135a, 135b)에 코아(136)의 내벽에 형성된 요홈(136a, 136b)을 정확하게 맞춘다음에 그 코아(136)를 가압으로 밀어서 요홈(136a, 136b)에 결합턱(135a, 135b)을 삽입시킨다. 그럼으로써 코아(136)의 보빈(135)과의 상대적 위치관계가 설정되어 장착고정된다.
또한, 도 6은 새들형 수평편향코일 및 새들형 수직편향코일이 보빈의 내벽과 외벽에 고정된 음극선관의 편향장치의 측단면도로서, 부호 137, 138은 한쌍의 새들형 수직편향코일이고, 137a, 138b는 새들형 수직편향코일(137, 138)에 개구부를 형성시키는 핀홀이다. 그리고 보빈(135)의 외벽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턱(135a, 135b)과 코아(136)의 내벽에 형성되는 요홈(136a, 136b)이 그 한쌍의 새들형 수직편향코일(137, 138)의 핀홀(137a, 138b)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음극선관의 편향장치는 보빈(135)의 내벽에 한쌍의 새들형 수평편향코일(133, 134)이 서로 상하로 고정되고, 보빈(135)의 외벽에 한쌍의 새들형 수직편향코일(137, 138)이 고정되고 그 주위에 코아(136)가 장착된다. 여기서 보빈(135)외벽에 돌출된 결합턱(135a, 135b)과 코아(136)내벽에 형성된 요홈이 서로 새들형 수직편향코일(137, 138)의 핀홀(137a, 138b)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먼저 그 보빈(135)외벽에 돌출된 결합턱(135a, 135b)을 한쌍의 새들형 수직편향코일(137, 138)의 핀홀(137a, 138b)에 삽입하여 그 한쌍의 새들형 수직편향코일(137, 138)을 고정한다. 그 후에 그 돌출된 결합턱(135a, 135b)으로 코아(136)를 밀어서 요홈에 결합턱(135a, 135b)을 끼움으로써 코아(136)의 보빈(135)에의 상대적 위치관계가 설정되면서 장착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의 편향장치의 보빈의 외벽에 결합턱을 형성시키고 코아의 내벽에 요홈을 형성시켜 그 코아의 보빈에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설정시키면서 정확하게 장착고정시킴으로써 코아의 유동으로 인한 그 장착위치가 변경되어 편향자계의 불균일함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음극선관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정신이나 이하 청구의 범위에서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여러가지 응용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한쌍의 새들형 수평편향코일이 보빈의 내벽에 서로 상하로 고정되고, 한쌍의 토로이덜형 수직편향코일이 서로 대향하여 권선된 코아가 보빈에 장착되는 음극선관의 편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코일(131, 132, 133, 134)이 없는 부분에 상기 보빈(135)의 외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턱(135a, 135b); 및 상기 결합턱(135a, 135b)이 삽입되어 상기 코아(136)의 보빈(135)에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설정시키도록 그 코아(136)의 내벽에 형성된 요홈(136a, 136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235)의 외벽에 한쌍의 토로이덜형 수직편향코일(131, 132) 대신 한쌍의 새들형 수직편향코일(137, 138)이 고정되고 그 주위에 상기 코아(136)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턱(135a, 135b)과 상기 요홈(136a, 136b)이 상기 한쌍의 새들형 수직편향코일(137, 138)의 핀홀(137a, 138b)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KR2019960031849U 1996-09-30 1996-09-30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KR200160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849U KR200160144Y1 (ko) 1996-09-30 1996-09-30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849U KR200160144Y1 (ko) 1996-09-30 1996-09-30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438U KR19980018438U (ko) 1998-07-06
KR200160144Y1 true KR200160144Y1 (ko) 1999-11-01

Family

ID=1946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1849U KR200160144Y1 (ko) 1996-09-30 1996-09-30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1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438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1102B1 (ko) 편향요크
KR910002975B1 (ko) 자동 접속형 텔레비젼 표시 시스템
KR200160144Y1 (ko)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KR200202676Y1 (ko) 편향요크
KR100307735B1 (ko) 수평편향코일고정장치
KR950003512B1 (ko) 코마 보정 칼라 텔레비젼 표시관
KR200176209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구조
KR0140573Y1 (ko) 편향요크의 리드와이어 고정구조
KR100422042B1 (ko) 편향요크
KR0114235Y1 (ko) 편향요크
KR200214316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0123348Y1 (ko) 코일 세퍼레이터의 수직편향코일 홀더
KR100270364B1 (ko) 음극선관의인너디스토션보정장치
KR200202679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결선구조
KR200258820Y1 (ko) 편향요크의코일세퍼레이터구조
GB2269477A (en) CRT deflection yoke with printed circuit board
KR200289332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결선구조
KR950001330Y1 (ko) 편향요크의 코일세퍼레이터구조
KR200144628Y1 (ko)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의 페라이트 코아 조립구조
KR200152062Y1 (ko) 세퍼레이터
KR100396501B1 (ko) 편향요크
KR19990037915U (ko)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구조
KR19990021639U (ko) 편향요크의 디스토션 보정회로
KR19990002269U (ko)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 고정장치
KR20050029373A (ko) 편향요크용 코일세퍼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