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765Y1 - 전기제품의 건전지 안착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제품의 건전지 안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765Y1
KR200159765Y1 KR2019970004458U KR19970004458U KR200159765Y1 KR 200159765 Y1 KR200159765 Y1 KR 200159765Y1 KR 2019970004458 U KR2019970004458 U KR 2019970004458U KR 19970004458 U KR19970004458 U KR 19970004458U KR 200159765 Y1 KR200159765 Y1 KR 200159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negative terminal
present
elastic contact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411U (ko
Inventor
조성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04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765Y1/ko
Publication of KR19980060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4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7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Y02E60/12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전지를 사용하는 제품에서 건전지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의 구조에 있어서,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단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음단자는, 전전지 안착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건전지 극면의 가장자리부분에만 접촉하며, 삽입된 건전지를 잡을 수 있는 탄성을 구비한 탄성접촉부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접촉부는, 종단면이 삼각형상으로 전방으로 돌출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삽입된 건전지를 탄성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지제품의 건전지 안착구조
제1도는 종래의 건전지 안착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건전지 안착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건전지 안착부의 단자스프링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전기 안착부의 단자스프링의 정면도.
제5도는 일반적인 건전지의 양극을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착부 12 : 음단자스프링
12a : 고정부 12b : 탄성접촉부
12c : 코킹단자 20 : 건전지
본 고안은 건전지의 안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전기제품에서 건전기를 내부의 회로부와 연결하기 위한 건전기 안착부의 음단자스프링을 이용하여 건전기의 역방향 안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건전지 안착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많은 전기 제품이 건전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건전지를 내부의 작동 회로부와 연결하기 위힌 건전지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는 건전지를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모든 전기제품에 적용되는 종래의 건전기 안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건전지 안착부(1)는, 전기제품의 본체의 일측에 성형되고 건전지(B)가 수납되어 안착되는 안착공간부(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공간부(2)의 양측에는 건전지의 양극 및 음극이 각각 순서대로 접촉되는 양단자부(5)와 음단자부(4)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단자부(4, 5)는 후방으로 전기전으로 연결되는 코킹단자(4a, 5a)를 통하여 제품 대부의 동작 회로부와 연결된다.
양단자부(5)는 편평한 금속재의 단자부로 구성되며, 음단자부(4)는, 후방의 코킹단자(4a)와 연결되는 삼각형상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전지(B)는, 상기 안착공간부(2)에 안착된 상태에서 자체의 양극과 음극이 상기 장착부의 양단자부(5) 및 음단자부(4)에 접촉하는 상태로 삽입되며, 이 때 상기 음단자부(4)의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그 내부에 지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건전기 안착부에 건전지를 삽입하는 경우, 사용자는 실수로 양극과 음극을 역으로 하여 삽입하는 경우기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전기제품을 동작시켜보고난 후에, 각각의 단자가 역으로 결합된 사실을 인지하고, 다시 건전지를 정확하게 삽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의 실수에 기인하는 건전지의 역방향 삽입은 처음에 사용자가 이를 숙지하고 있지 못한 경우에 발생하며, 잘못하여 역으로 삽입한 경우에는 별도의 경보장치가 없기 때문에 전기제품을 동작시켜 본 후에, 이를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를 다시 정확한 방향으로 삽입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특히 전기제품에서 이러한 건건지의 안착부가 눈으로 쉽게 확인하지 못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불편이 더욱 가중된다.
예를 들면, 가스기기에서 건전지는 초기 점화시 점화트랜스를 발진시켜 고압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버너를 점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 1년의 주기로 건전지의 교환을 행하고 있다. 사용구기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건전지를 안착시키는 건전지 안착부는 가스레인지의 하면에 성형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하면에 성형된 건전기 안착부의 건전지를 교환하기 위하여, 새로운 건전지를 안착시키는 경우에는 건전지의 양.음극의 방향을 정확하게 안착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히기 위한 것으로 항상 건전기를 정확한 방향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건전지 안착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건전지 안착부의 음단자 스프링은, 건전지 안착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건전지 극면의 가장자리부분에만 접촉하며, 삽입된 건전지를 잡을 수 있는 탄성을 구비한 탄성접촉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접촉부는, 그 종단면이 삼각형상으로 전방으로 돌출성형 되는 것에 의하여, 삽입된 건전지를 탄성적 밀어서, 양단자와의 사이에서 건전지가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건전지 장착부의 음단자부분만을 도시한 단면도 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단자스프링의 사시도이며, 제4도는 음단자스프링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건전지 안착부의 구조에 있어서, 건전지의 양극과 접촉하는 양단자의 구성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단자스프링(12)은, 전기제품의 본체(14)에 성형된 건전지 안착부(10)의 일측에 장착되어, 건전지의 음극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기 음단자스프링(12)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의 코킹단자(12c)를 통하여 제품 내부의 동작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고안에 의한 음단자스프링(12)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전지안착부(10)의 일측면에 지지부(12a)와 상기 지지부(12a)와 일체로 성형되고 건전지의 음극의 외측 주연부에만 접촉할 수 있는 탄성접촉부(12b)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2a)는, 평면상의 상태로 안착부(10)의 일측예 고정되어 후방의 코킹단자(12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a)와 일체로 성형된 탄성접촉부(12b)는, 제2도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경우, 삼각형상으로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접촉부는 제3도 및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을 구비한 금속선 또는 금속편을 중심부분에는 비어 있는 형상이고 외측으로만 사각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건전지의 음극에서 가장자리의 외주연부만이 걸려서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음단자스프링(12)의 동작 관계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음극과 양극을 정확하게 한 상태에서 건전지를 상기 안착부(10)에 삽입하는 경우, 건전지의 양극은 도시하지 않은 안착부(l0)의 양극에 종래와 같이 결합되고, 건전지의 음극은 본 고안에 의한 음단자스프링(12)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이 때, 건전지의 음극의 접촉부분에 있어서, 음단자스프링(12)의 탄성접촉부(12b)에는, 음극의 원형의 접촉부분 중에서도 외측 가장자리의 접촉면이 접촉하게 된다. 이는 상기 탄성접촉부(12b)의 중심부분은 비어 있고, 가장자리의 외측부분에만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건전지의 양극이 상기 음단자스프링(12)에 삽입되는 경우, 즉 사용자가 건전지의 음극과 양극을 바꾸어서 삽입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전지의 양극은, 평면상태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극과는 달리, 중심부분에 돌출된 돌출부(22)와, 상기 돌출부(22)의 주위의 평면부(2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건전지의 양극이 상기 음단자스프링(12)에 삽입되면, 음단자스프링(12)의 탄성접촉부(12b)는 상기 돌출부(22)가 아닌 평면부(24)에 접촉되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본 고안에 의한 안착부에 있어서, 음단자스프링(12)의 탄성접촉부(12b)의 선단에서 양단자(도시없음) 까지의 길이(a)는, 건전지에서 양극의 돌출부(22)에서 음극까지의 거리(a')에 해당하도록 성형되어 었다. 따라서 상기 음단자스프링(12)에 삽입되는 건전지의 양극은 돌출부(22)가 아닌 평면부(24)에서 상기 탄성접촉부(12b)에 접촉하려고 할 것이나, 상기 돌출부(22)의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가 부족하기 때문에 탄성접촉부(12b)에 의한 탄성을 받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역으로 삽입되는 건전지는 안착부(10)의 내부에서 탄성접촉부에 의한 탄성을 받지 못하게 되어, 접촉이 이루어 지지 않고, 외부로 빠지게 된다. 특히 건전지 안착부가 가스기기와 같이 하면에 성형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역으로 건전지를 안착부(10)에 삽입하면 건전지의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빠지게 된다. 이렇게 빠지게 되면 사용자는 건전지의 극 방향을 역으로 하고 있음을 알게되고, 다시 정확한 방향으로 건전지를 삽입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안착부에 결합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탄성접촉부(12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형상이며, 중심부분에는 접촉부가 전혀 성형되어 있지 않고, 건전지의 극면에 있어서 외주연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접촉부(12b)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 사각형으로 하는 등의 형상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건전지 안착부의 음단자스프링의 구조에 의하면, 중심부분에는 전혀 건전지의 극면이 접촉하지 못하게 되어 있기때문에, 건전지의 극을 바꾸어서 결합하는 경우에는, 건전지 양극의 돌기(22)에 해당하는 차이 때문에, 건전지가 안착부 내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지 못하게 되고, 사용자는 이를 즉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제품을 사용해 보기 전에 건전기의 오삽입 상태임을 알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가스기기의 건전지 삽입부와 같이, 전기제품의 하면에 건전지 안착부가 성형되어 있는 경우에는, 건전지의 오삽입시 건전지가 음단자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떨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특히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건전지 안착부의 구성, 특히 음단자스프링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건전지의 극방향을 역으로 하여 오삽입하는 경우, 즉시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전기 제품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기대된다.

Claims (2)

  1. 건전지 안착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연장되고, 건전지 음극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접촉하면서 건전지에 탄성을 가하는 탄성접촉부로 구성되는 건전지 안착부의 음단자스프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섭촉부는, 그 종단면이 삼각형상으로 전방으로 돌출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삽입된 건전지를 탄성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전지 안착부의 음단자스프링.
KR2019970004458U 1997-03-11 1997-03-11 전기제품의 건전지 안착구조 KR200159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458U KR200159765Y1 (ko) 1997-03-11 1997-03-11 전기제품의 건전지 안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458U KR200159765Y1 (ko) 1997-03-11 1997-03-11 전기제품의 건전지 안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411U KR19980060411U (ko) 1998-11-05
KR200159765Y1 true KR200159765Y1 (ko) 1999-11-01

Family

ID=1949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458U KR200159765Y1 (ko) 1997-03-11 1997-03-11 전기제품의 건전지 안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7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411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41340Y2 (ja) 電池ホルダ
TW299506B (ko)
US3977907A (en) Rechargeable battery enclosure
CN109301123B (zh) 一种时控开关电池盒结构
US5431585A (en) Car circuit adapter
JP3696070B2 (ja) 弾性接点を備える機器
US5192904A (en) Rechargeable battery conversion kit
EP0724304B1 (en) Battery terminal of miniature electronic apparatus and structure for retaining the same
US20060210871A1 (en) Short-circuit free battery receptacle
CN212212700U (zh) 一种加热器具
KR200159765Y1 (ko) 전기제품의 건전지 안착구조
US4931369A (en) Contact arrangement for the battery of an in-ear hearing aid
JPH1050284A (ja) 電池用の端子ケース
CN210535719U (zh) 一种新型多面接触、低阻抗接插式电池盒
US20020036480A1 (en) Battery pack
CN220587503U (zh) 固定结构及电子雾化器具
CN220369507U (zh) 一种免焊接通电的电子烟
CN216928730U (zh) 用于电池的壳体及电池
CN216251256U (zh) 一种装配方便的连接器
CN212648586U (zh) 电子吸烟器
EP0080380A1 (en) Batteries and battery-operated devices
JP3639548B2 (ja) バッテリパック
CN217692698U (zh) 一种电子烟用移动电源
CN210327086U (zh) 一种基于双面接触ac弹片的充电器
CN211238349U (zh) 电池仓及电动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