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816Y1 - 분리가 용이한 마스크프레임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분리가 용이한 마스크프레임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816Y1
KR200158816Y1 KR2019960044929U KR19960044929U KR200158816Y1 KR 200158816 Y1 KR200158816 Y1 KR 200158816Y1 KR 2019960044929 U KR2019960044929 U KR 2019960044929U KR 19960044929 U KR19960044929 U KR 19960044929U KR 200158816 Y1 KR200158816 Y1 KR 200158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dow mask
welded
mask
attachme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765U (ko
Inventor
최영철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19960044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816Y1/ko
Publication of KR199800317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7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8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 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25Spacing members
    • H01J2329/863Spac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가 용이한 마스크프레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섀도우마스크의 스커트부가 프레임의 부착면에 용접된 마스크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가 용접되는 용접점의 부착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로서, 프레임에 용접된 섀도우마스크의 용접 위치 불량 혹은 섀도우마스크의 곡률에 대한 변형이 발생하여, 섀도우마스크와 프레임을 상호 분리할 경우, 작업자가 별도의 분리공구를 사용하여 관통공 외부에서 내부방향으로 삽입시키고, 이와동시에 소정의 압력으로 스커트부를 밀어 프레임과 분리함으로서, 신속.용이하게 분리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분리가 용이한 마스크프레임 결합구조
본 고안은 분리가 용이한 마스크프레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용접된 섀도우마스크의 위치 불량으로 섀도우마스크와 프레임을 상호 분리시, 신속.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한 분리가 용이한 마스크프레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음극선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칼라음극선관에 내장되는 프레임에는 섀도우마스크가 용접되는바, 이 섀도우마스크와 프레임의 결합구조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섀도우마스크(10)의 유효면에는 다수개의 전자빔통과공(20)이 화소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일체로 이격된 스커트부(22)는 90°로 굴곡.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로 제작된 섀도우마스크(10)의 스커트부(22)는 프레임(24)의 부착면(26) 내에 밀착시킨 상태로 용접.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프레임(24)에 용접된 섀도우마스크(10)의 용접 위치 불량 혹은 섀도우마스크(10)의 곡률에 대한 변형이 발생하여 섀도우마스크(10)와 프레임(24)을 상호 분리할 경우, 스커트부(22)가 프레임(24)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어서, 이 프레임(24)의 내부로 별도의 공구를 삽입시켜 섀도우마스크(10)를 분리시, 이 부위의 공간의 협소하여 공구의 접근이 어려우며, 이에따라 전부 폐기시킴으로서, 원가절감 및 생산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프레임에 용접된 섀도우마스크의 위치 불량으로 섀도우마스크와 프레임을 상호 분리시, 신속.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한 분리가 용이한 마스크프레임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섀도우마스크의 스커트부가 프레임의 부착면에 용접된 마스크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가 용접되는 용접점의 부착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로서, 프레임에 용접된 섀도우마스크의 용접 위치 불량이나 혹은 섀도우마스크의 곡률에 대한 변형이 발생하여 섀도우마스크와 프레임을 상호 분리할 경우, 작업자가 별도의 분리공구를 사용하여 관통공 외부에서 내부방향으로 삽입시키고, 이와동시에 소정의 압력으로 스커트부를 밀어 프레임과 분리함으로서, 신속.용이하게 분리 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마스크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가 용이한 마스크프레임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A'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섀도우마스크 20 : 전자빔통과공
22 : 스커트부 24 : 프레임
26 : 부착면 30 : 관통공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 도 2 및 도3은 본 고안의 분리가 용이한 마스크프레임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인 바, 도 1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에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먼저, 섀도우마스크(10)와 일체로 이격된 스커트부(22)는 프레임(24)의 부착면(26) 내에 밀착시킨 상태로 용접.고정되어 있는데,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부착면(26)의 용접점(34)과 소정거리로 이격된 부위에는 다수개의 관통공(3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32는 분리공구, 34는 용접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섀도우마스크(10)의 스커트부(22)를 프레임(24)의 부착면 내에 밀착시킨 상태로 용접.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프레임(24)에 용접된 섀도우마스크(10)의 용접 위치 불량이나 혹은 섀도우마스크(10)의 곡률에 대한 변형이 발생하여 섀도우마스크(10)와 프레임(24)을 상호 분리할 경우, 첨부된 예시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섀도우마스크(10)의 스커트부(22)가 용접되는 프레임(24)의 부착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별도의 분리공구(32)를 사용하여 관통공(30) 외부에서 내부방향으로 삽입시키고, 이와동시에 소정의 압력으로 섀도우마스크(10)의 스커트부(22)를 내측으로 밀어 프레임(24)과 분리시키면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프레임의 부착면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프레임에 용접된 섀도우마스크의 위치 불량으로 섀도우마스크와 프레임을 상호 분리시, 신속.용이하게 분리하고, 아울러 원가 절감 및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섀도우마스크의 스커트부가 프레임의 부착면에 용접된 마스크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가 용접되는 용접점의 부착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마스크프레임 결합구조.
KR2019960044929U 1996-11-30 1996-11-30 분리가 용이한 마스크프레임 결합구조 KR200158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929U KR200158816Y1 (ko) 1996-11-30 1996-11-30 분리가 용이한 마스크프레임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929U KR200158816Y1 (ko) 1996-11-30 1996-11-30 분리가 용이한 마스크프레임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765U KR19980031765U (ko) 1998-08-17
KR200158816Y1 true KR200158816Y1 (ko) 1999-10-15

Family

ID=1947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929U KR200158816Y1 (ko) 1996-11-30 1996-11-30 분리가 용이한 마스크프레임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8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765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8816Y1 (ko) 분리가 용이한 마스크프레임 결합구조
KR94001193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프레임과 인너시일드의 조립구조
CA2099646C (en) Cathode-ray tube having internal magnetic shield with strengthening ribs
KR100336545B1 (ko) 차폐기-애노드코팅부접촉기를구비한음극선관
KR950004352A (ko) 헤일로가 저감된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컬러음극선관
EP1221712A3 (en) Color cathode ray tube
KR0140111Y1 (ko) 인너실드와 프레임 결합용 클립
KR200173395Y1 (ko)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472498B1 (ko) 음극선관용전자총
KR200158815Y1 (ko) 인바재 섀도우마스크용 프레임 구조
KR200159696Y1 (ko) 마스크와 프레임의 용접구조
KR920007030A (ko) 새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작방법
KR960003251Y1 (ko) 전자총의 마운트비드 조립용지그
KR100315237B1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
KR0131374Y1 (ko) 브라운관의 프레임/인너실드의 결합구조
KR200142867Y1 (ko) 음극선관용 콘택트스프링
KR0132750Y1 (ko) 인너시일드 구조
KR20020044414A (ko) 섀도우마스크 조립체
KR200142031Y1 (ko) 음극선관용패널과 프레임 결합구조
KR19980045765U (ko) 브레이크 파이프 조인트 장착구조
KR0133822Y1 (ko) 인너시일드 고정용 클립
KR940004492Y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조립구조
KR0123987Y1 (ko) 전자총의 최종가속전극과 컨버전스 컵의 결합구조
KR950009814Y1 (ko) 측면직각돌출부구조가 형성된 평판형 프레임을 가진 칼라음극선관
KR0119649Y1 (ko) 음극선관의 마스크-프레임 홀더용 코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