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676Y1 - 천정판 부착구 - Google Patents

천정판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676Y1
KR200158676Y1 KR2019970022042U KR19970022042U KR200158676Y1 KR 200158676 Y1 KR200158676 Y1 KR 200158676Y1 KR 2019970022042 U KR2019970022042 U KR 2019970022042U KR 19970022042 U KR19970022042 U KR 19970022042U KR 200158676 Y1 KR200158676 Y1 KR 200158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plate
fastening
ceiling
hol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884U (ko
Inventor
이문조
Original Assignee
조용선
주식회사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선, 주식회사유창 filed Critical 조용선
Priority to KR2019970022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67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6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83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having a lower side adapted to be connected to a channel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6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he members lying in different 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판 부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옥상천정콘크리트면에 천정판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부착구를 형성함에 있어, 부착구의 일측면에 보강돌부가 형성되고, 절곡된 상단면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하단체결부에는 양측으로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천정판 부착구를 단열재가 설치된 옥상천정콘크리트면에 체결보울트를 매설한 뒤 상기 체결보울트 하단으로 너트를 체결후 상단면의 체결공을 삽입한 다음 하측에 너트를 체결 완료한 후, 그 하측 으로 연결바아를 삽입시켜 체결하고 상기 연결바아 하단에 연결패널을 삽착한 다음 천정판을 나사등으로 부착하는것으로, 제작이 간판함은 물론, 시공이 편리하며 천정면의 기울기 편차에도 수평조절이 간편하여 천정판 추락등의 부실시공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된 천정판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정판 부착구
본 고안은 천정판 부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재가 하단으로 설치되는 옥상천정콘크리트면에 천정판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측면에 보강돌부가 형성되고, 절곡된 상단면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하단 체결부에는 양측으로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천정판 부착구인것으로, 옥상천정콘크리트면에 매설된 체결보울트 하단에 삽설시키되 하단 체결부의 돌출부에 연결바아 연결패널 및 천정판을 순차적으로 설치하므로서, 천정판의 간편하고도 견고한 시공은 물론, 천정판의 수평조절이 손쉽고도 천정판 추락등의 부실시공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된 천정판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천정판 부착구는 도 4,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에 통공(310)이 형성된 고정핀(300)을 단열재(100)가 설치된 옥상천정콘크리트면(200)에 매설한 뒤 상단 일측면에 돌기봉(410)이 형성되고 하단 양측으로 다수개의 돌출부(420)가 형성된 체결핀(400)을 상기 고정핀(300)의 통공(310)에 삽설한 다음 상기 체결핀(400)의 돌출부(420)에 연결바아(500)의 상단 장공(510)을 삽입 후 연결바아(500)를 회전시켜 체결한 다음, 횡으로 연결패널(600)을 삽착한 후, 천정판(700)을 부착시켜 시공을 완료하였으나, 단열재(100)와 옥상천정콘크리트면(200)에 매설된 고정핀(300)이 천정판(700) 체결 후 걸림장치가 없어 시간이 경과하면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으며, 상기 고정핀(300)의 통공(310)에 체결핀(400)의 돌기봉(410)을 삽설하도록 되었으나, 체결핀(400)에 용접된 돌기봉(410)이천정판(700)등의 하중에 견디지 못하고 용접부위가 파손되므로 이로 인한 천정판(700)의 추락으로 사고가 발생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체결핀(400)의 돌출부(420)에 연결바아(500)를 삽입 후 연결바아를 회전시켜 체결해야하므로 시공상 매우 힘이드는등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것으로서, 본 고안은 목적은 단열재가 설치되어야만 하는 옥상천정콘크리트면에 천정판을 설치함에 있어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천정판을 견고하게 체결하고, 수평조절이 간편하며 천정판의 추락등으로 발생되는 부실시공을 방지토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일측면에 보강돌부를 형성하되, 절곡된 상단면에 체결공과 하단 체결부에는 양측으로 다수개의 돌출부를 형성시킨 천정판 부착구로서, 견고하게 상단을 너트로 체결한 체결보울트를 단열재와 옥상천정콘크리트면에 매설시킨 뒤 체결보울트 하단부에 너트를 체결 후 천정판 부착구를 삽설하고 너트를 체결한 다음 연결바아의 장공을 위치시킨 후 삽설된 천정판 부착구를 회전시켜 체결토록 한 뒤 횡으로 연결패널과 그 하측으로 천정판을 나사등으로 부착시키면 시공이 완성되는데, 옥상천정콘크리트면 하측의 단열재 밑면으로 보이는 체결보울트를 일정부분 파낸 뒤 천정판 부착구를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체결하고 연결바아의 장공을 삽입 후 천정판 부착구를 회전시켜 주므로서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천정면의 기울기 편차에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시공한 상태의 일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시공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 고안을 시공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정판 부착구
11 : 보강돌부
12 : 상단면
13 : 체결공
14 : 하단체결부
15 : 돌출부
20 : 체결보울트
너트(21)로 체결된 체결보울트(20)를 단열재(100)와 옥상천정콘크리트면(200)을 양생시켜 매설된 것에 하측으로 걸림부(511)가 형성되고 상측단으로 장공(510)이 형성된 연결바아(500)와 상기 걸림부(511)에 횡방향으로 연결패널(600)을 삽착하고, 그 하측으로 천정판(700)을 부착하도록 된 천정판 고정구에 있어서, 일측면에 보강돌부(11)가 형성되고 절곡된 상단면(12)에 체결공(13)을 형성하며 하단 체결부(14)에는 양측으로 다수개의 돌출부(15)가 형성된 것을 상기 체결보울트(20) 하단부에 체결하여 천정판(7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천정판 부착구(1)의 구조이다.
미설명부호 21'.21 는 너트이고
800 은 나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천정판넬(미도시) 상단으로 다수개의 상측에 너트(21)가 나삽된 체결보울트(20)를 위치시켜 준 뒤 단열재(100)를 채운 후 그 상측으로 시멘트, 자갈 , 모래 , 물 등을 섞어서 부어준 뒤 시간이 경과하면 옥상천정콘크리트면(200)이 양생되며, 이때 천정판넬을 이탈시키고 단열재(100) 저면으로 보이는 체결보울트(20)의 하단부를 일정깊이로 파낸 다음 너트(21')를 체결 고정한 후 천정판 고정구(1)의 절곡된 상단면(12)의 체결공(13)을 체결보울트(20) 하단에 삽입한 다음 너트(21)를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된 천정판 고정구(1)의 하단 체결부(14)로 연결바아(500)의 상단 장공(510)을 삽입한 후 천정판 고정구(1)를 회전시켜 연결바아(500)의 장공(510)에 양측의 돌출부(15)가 안착고정 되도록 한 다음, 연결바아(500)의 하단 걸림부(511)에 횡방향으로 연결패널(600)을 삽착하고 그 하측으로 천정판(700)을 위치시켜 나사(800)등으로 부착하면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단열이 꼭 필요한 옥상천정면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단열재(100)와 옥상천정콘크리트면(200) 내측에 다수개 매설된 체결보울트(20)에 천정판 부착구(1)를 체결하기 위해 체결보울트(20) 하단부가 보이는 단열재(100) 부분을 손쉽게 일정깊이로 파낸 다음 2개의 너트(21')(21)사이에 천정판 부착구(1)를 손쉽고도 견고하게 체결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것이며, 천정판부착구(1)의 하단 체결부(14)에 연결바아(500)의 장공(510)을 삽입후 천정판부착구(1)를 간편하게 90。 회전시켜주면 천정판 부착구(1)의 하단 양측의 돌출부(15)가 연결 바아(500)의 장공(510)에 견고히 삽착되어 그 하측으로 연결패널(600)과 천정판(700)을 삽착 및 부착시공하여 완료시키는 것으로 매우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시공이 되는 것이고, 천정면의 기울기 편차에도 천정판 부착구(1)의 하단양측 돌출부(15)와 연결바아 의 장공(510)을 손쉽게 조절시켜 조절할수 있으므로 종래의 문제점이던 기울기에 따른 천정판(700)의 부실시공으로 추락하던 폐단을 해소하고 수평도를 정확히 맞추어 주므로서 부실시공 방지 및 천정판(700)의 정확한 시공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너트(21)로 체결된 체결보울트(20)를 단열재(100)와 옥싱천정콘크리트면(200)을 양생시켜 매설된 것에 하측으로 걸림부(511)가 형성되고 상측단으로 장공(510)이 형성된 연결바아(500)와 상기걸림부(511)에 횡방향으로 연결패널(600)을 삽착하고, 그 하측으로 천정판 (700)을 부착하도록된 천정판 고정구에 있어서, 일측면에 보강돌부(11)가 형성되고 절곡된 상단면(12)에 체결공(13)을 형성하며 하단 체결부(14)에는 양측으로 다수개의 돌출부(15)가 형성된 것을 상기 체결보울트(20)하단부에 체결하여 천정판(7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판 부착구(1).
KR2019970022042U 1997-08-13 1997-08-13 천정판 부착구 KR200158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042U KR200158676Y1 (ko) 1997-08-13 1997-08-13 천정판 부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042U KR200158676Y1 (ko) 1997-08-13 1997-08-13 천정판 부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884U KR19990008884U (ko) 1999-03-05
KR200158676Y1 true KR200158676Y1 (ko) 1999-10-15

Family

ID=1950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042U KR200158676Y1 (ko) 1997-08-13 1997-08-13 천정판 부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6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884U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7551Y2 (ko)
KR200158676Y1 (ko) 천정판 부착구
JPS639622Y2 (ko)
KR20200025634A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142434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KR200255532Y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JP5051359B2 (ja) 下地鋼材の固定構造
JP2649218B2 (ja) 建築物の基礎と土台との連結部構造及び傾斜した建築物の嵩上げ方法
JPH0113131Y2 (ko)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JPH0229127Y2 (ko)
KR200193191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구
JPH0351453Y2 (ko)
JP2587649Y2 (ja) 手摺等の柱脚固定具
KR200161889Y1 (ko) 천정판 고정장치
JPH0115764Y2 (ko)
JPS5927472Y2 (ja) 手摺りの取付装置
JP3048453B2 (ja) 外装材の取付け工法
JPH07119297A (ja) 鋼製型枠取付装置
JPH11293919A (ja) 型枠の保持構造及び保持方法
JP2591665B2 (ja) ブラケット取付装置
KR200298098Y1 (ko) 거푸집 지지구조
JPS6124638Y2 (ko)
JPS5818500Y2 (ja) 建築物又は構築物の面板施工構造
JP2710650B2 (ja) 壁パネル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