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397Y1 - 리드프레임 이송기의 이송되는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리드프레임 이송기의 이송되는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397Y1
KR200158397Y1 KR2019960036618U KR19960036618U KR200158397Y1 KR 200158397 Y1 KR200158397 Y1 KR 200158397Y1 KR 2019960036618 U KR2019960036618 U KR 2019960036618U KR 19960036618 U KR19960036618 U KR 19960036618U KR 200158397 Y1 KR200158397 Y1 KR 200158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frame
sensor
transfer
lead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6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231U (ko
Inventor
류도현
김학원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2019960036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39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32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2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3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드프레임 이송기의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리드프레임 이송기에 의해 이송되는 리드프레임의 갯수를 이송중에 감지하도록하여 상기 리드프레임 이송기 및 콘트롤러 등의 부수동작을 줄이도록 한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리드프레임(1)의 이송경로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리드프레임을 센싱하는 리드프레임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센싱감도를 조정하는 센서앰프(16)와, 상기 센서앰프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터럽트(17)와, 상기 인터럽트로부터 발생된 인터럽터 신호를 받아 리드프레임(1) 이송이 다시 행하여 지도록 리드프레임 이송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러(3)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리드프레임 이송기의 이송되는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
본 고안은 리드프레임 이송기의 이송되는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드프레임 이송기에 의해 이송되는 리드프레임의 갯수를 이송중에 감지하도록하여 상기 리드프레임 이송기 및 콘트롤러 등의 부수동작을 줄이도록 한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드프레임 이송기는 일정한 장소에 적재된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을 다음 공정으로 하나씩 이송시키기 위해 반도체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장비로서 이와 같은 장비의 구성을 첨부된 제1도를 참고로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위편으로 절단된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이 스태커(Stacker)(2)내에 적재되어 있고, 상기 스태커상의 일측으로는 콘트롤러(3)에 의해 제어됨과 함께 이송장치(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이송가능하도록 이송편(4)이 상기 이송장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편의 하부에는 실린더로드(5)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6)에 안내되어 상ㆍ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연장판(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장판의 하부에 설치된 한쌍의 연결바(8)에는 리드프레임(1)을 흡착하도록 각각 한쌍의 흡착패드(9)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편(4)의 이송경로 하부 일측에는 이송편에 의해 이송되어온 리드프레임(1)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레일(10)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리드프레임(1)을 하나씩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콘트롤러(3)를 조작하여 이송장치를 구동시켜 이에 설치된 이송편(4)을 리드프레임(1)이 적재된 스태커(2)의 상부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상기 한쌍의 연결바(8)에 고정된 4개의 흡착패드(9)가 리드프레임(1)의 직상부에 위치되면 이송편(4)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그 다음 상기 실린더로드(5)를 구동시키면 연장판(7)이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연결바(8)에 고정된 복수개의 흡착패드(9)가 리드프레임(1)의 상부면에 접촉되는데, 이때 상기 콘트롤러(3)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로드(5)의 작동을 중지시킨 다음 흡착패드(9)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흡착패드에 접촉된 리드프레임(1)이 상기 흡착패드(9)에 흡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실린더로드(5)를 다시 상부로 구동시키면 이에 연결된 연장판(7)이 상기 흡착패드(9)에 흡착된 리드프레임(1)을 흡착한 상태로 상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편(4)을 구동시켜서 일측에 설치된 레일(10)에 리드프레임(1)을 안착시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흡착패드(9)에 흡착된 리드프레임(1)을 레일(10)에 안착시키는 작업은 스태커(2)에 적재된 리드프레임(1)을 흡착하는 작업의 반대되는 순서로 하면 되므로 이해 가능하리라 생각되어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드프레임 이송기에는 흡착패드(9)에 의해 흡착되는 리드프레임(1)이 상기 흡착패드(9)에 의해 2개 혹은 3개 이상 흡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리드프레임(1)의 두께가 매우 얇게 제작되어 있어 이를 여러개 겹쳐 적재해 놓을 경우 서로 달라붙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흡착된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은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 작업을 할 수 없으므로 상기 리드프레임(1)이 1개씩 흡착되었는지 복수개 흡착되었는데 감지하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를 위한 종래의 장치 구성을 보면 첨부된 제1도와 같이 이송편(4)의 이송경로 하부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스태커(2)와 레일사이에 위치된 고정대(11)의 상부에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리드프레임(1)의 갯수를 감지하도록 센서(12)가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드프레임 검출장치의 작용설명중 스태커(2)내의 리드프레임(1)을 흡착하기 까지는 그 작업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그 이후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흡착패드(9)에 의해 리드프레임(1)이 흡착된 상태에서 콘트롤러(3)의 조작에 의해 상기 이송편(4)을 이송시키다가 고정대(11)의 상부에 위치되면 이송편(4)의 작용을 중지시킨 다음 상기 실린더로드(5)를 하부로 구동시켜 연장판(7)의 리드프레임(1)이 센서(12)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한 후 상기 실린더로드(5)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 다음 상기 센서(12)에 의해 리드프레임(1)의 갯수를 감지한 후 이를 콘트롤러(3)에 전달하여 다시 실린더로드(5) 및 이송편(4)을 이송시키는데, 이때 상기 센서(12)에 의해 감지된 리드프레임(1)이 1개로 감지가 되면 콘트롤러(3)에 의해 실린더로드(5)를 구동시켜 연장판(7)을 상부로 이동시킨 다음 이송편(4)을 레일(10)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흡착된 리드프레임(1)을 흡착패드(9)로부터 해제시킨 후 레일(10)상에 안착시킨다.
한편, 상기 센서(12)에 의해 감지된 리드프레임(1)이 2개 혹은 3개 이상이면 콘트롤러(3)를 조작하여 실린더로드(5)를 구동시켜서 연장판(7)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송편(4)을 스태커(2) 직상부로 이송시켜 이송편(4)의 이동을 중지하도록 한 후 상기 실린더로드(5)를 구동시켜 연장판(7)을 하부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흡착패드(9)에 흡착된 리드프레임(1)이 스태커(2)내에 위치되면 흡착패드(9)의 흡입력을 해제하여 상기 흡착패드에 복수개 흡착된 리드프레임(1)을 흡착패드(9)로부터 이탈시켜 스태커(2)내에 다시 적재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스태커내에 적재된 리드프레임(1)을 기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흡착하여 센서(12)에 의해 감지된 리드프레임(1)이 1개가 될 때까지 계속 반복하다가 1개의 리드프레임만 감지가 되면 이송편(4)을 이송시켜 상기 리드프레임(1)을 레일(10)상에 안착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 리드프레임 이송기는 콘트롤러(3)에 프로그램화되어 있는 처리루틴에 따라 작동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리드프레임 이송기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리드프레임이 1개가 될 때까지 계속 스태커와 센서사이로 이동하면서 하강 또는 상승하므로 부수되는 동작이 많아져 속도가 늦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콘트롤러의 센서감시로 상기 콘트롤러내의 제어프로그램이 매우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리드프레임 이송기에 의해 이송되는 리드프레임의 갯수를 이송중에 감지하도록하여 상기 리드프레임 이송기의 부수동작을 줄이도록 함은 물론 콘트롤러의 제어프로그램 등을 단순화시켜 장비의 가동율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리드프레임의 이송경로상에 설치되는 리드프레임을 센싱하는 리드프레임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에 의해 센싱된 산소를 증폭시키거나 센싱감도를 조정하는 센서앰프와, 상기 센서앰프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터럽트와, 상기 인터럽트로부터 발생된 인터럽트 신호를 받아 리드프레임 이송이 다시 행하여지도록 리드프레임 이송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이송기의 이송되는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제1도는 종래 장치를 갖는 리드프레임 이송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를 갖는 리드프레임 이송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드프레임 3 : 콘트롤러
14 : 발광센서 15 : 수광센서
16 : 센서앰프 17 : 인터럽트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제2도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장치를 갖는 리드프레임 이송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본 고안은 리드프레임(1)의 이송경로 일측에 설치된 지지편(13)과, 상기 지지편의 상부에 리드프레임(1)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상ㆍ하부에 설치된 발광센서(14) 및 수광센서(15)와, 상기 각 센서(14)(15)에 연결되어 감지되는 리드프레임(1)의 갯수 등의 감도조정을 함과 함께 각 센서(14)(15)의 신호를 증폭시키는 센서앰프(16)와, 상기 센서앰프에 연결되어 센서앰프(16)로부터 받아들여지는 신호를 받아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터럽트(17)와, 상기 인터럽트에 연결되어 인터럽트(17)로부터 받아들여지는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설정된 처리루틴을 행하는 콘트롤러(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리드프레임(1)의 흡착작업 및 흡착해제 작업은 기설명된 부분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흡착패드(9)에 의해 리드프레임을 흡착한 다음 연장판(7)이 상승하여 레일(10)상으로 이동하기 바로전부터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리드프레임 이송기 및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의 일련동작은 콘트롤러(3)내에 프로그램화되어 있는 처리루틴에 따라 작동됨을 미리 밝혀 둔다.
리드프레임(1)을 흡착한 상태로 이송편(4)이 이송되면 상기 리드프레임(1)의 일단이 지지편(13)에 고정된 상부의 발광센서(14) 및 하부의 수광센서(15) 사이로 지나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센서앰프(16)에 의해 발광센서(14)로부터 수광센서(15)로 흐르던 빛이 상기 리드프레임(1)에 의해 감지되므로 이 신호는 이와 연결된 센서앰프(16)에 의해 증폭되어 인터럽트(17)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센서앰프(16)에 의해 인터럽트(17)로 신호가 전달되는 것은 센서앰프(16)내에 설정된 감도 즉, 이미 제조완료된 리드프레임(1)의 두께값이 내장된 상태이므로 이 값이 틀릴 경우인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이 흡착되어 지나갈 때에는 센서앰프(16)가 자동적으로 인터럽트(17)에 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앰프(16)로부터 인터럽트(17)에 전달된 신호는 상기 인터럽트내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발생된 신호가 콘트롤러(3)에 보내지게 되므로 콘트롤러는 설정된 처리루틴에 따라 리드프레임 이송기의 이송을 제어한다.
즉,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이 흡착된 상태라면 이 신호가 센서앰프(16)를 거쳐 인터럽트(17) → 콘트롤러(3)로 전달되므로 상기 콘트롤러내에 설정된 처리루틴에 따라 이송편(4)을 스태커(2)측으로 이동시켜 복수개가 흡착된 리드프레임(1)을 스태커(2)측으로 이동시켜 복수개가 흡착된 리드프레임(1)을 스태커(2)내에 적재한 다음 다시 흡착하여 센서앰프(16)내에 설정된 리드프레임(1)값이 만족할 때까지 상기 리드프레임을 흡착하여 각 센서(14)(15)사이로 위치시키는 작업을 반복한다.
그리고, 센서앰프(16)의 값을 만족하는 리드프레임(1)이 상기 각 센서(14)(15)사이에 위치되면 센서앰프(16)가 작동되지 않아 이 신호가 인터럽트(17)를 거쳐 콘트롤러(3)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콘트롤러는 콘트롤러(3)에 설정된 처리루틴에 따라 이송편(4)을 레일(10)측으로 이송시켜 흡착패드(9)에 흡착된 리드프레임(1)을 레일(10)상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각 센서 사이에 위치되는 리드프레임이 센서앰프에 설정된 값과 동일하면 인터럽트 및 콘트롤러를 작동시키지 않는 구조이므로 콘트롤러의 프로그램이 간단해서 부수되는 동작이 필요하지 않음은 물론 리드프레임을 이송하면서 감지하므로 리드프레임 이송기의 정지동작 등이 줄어들게 되어 장비의 가동율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리드프레임 스태커에 있는 리드프레임이 리드프레임 이송기에 의해 반송용 레일위로 이송될 때, 이송경로상에서 리드프레임이 2개 이상 흡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에 있어서; 리드프레임의 이송경로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상단에 설치되는 발광센서와, 상기 리드프레임이 상기 발광센서와의 사이를 지나도록 지지편의 발광센서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센서와, 상기 수광센서 및 발광센서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센싱감도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센서앰프와, 상기 센서앰프에 연결되며 센서앰프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감도와 비교하므로써 리드프레임의 이상 흡착여부를 검출하며 리드프레임이 2개 이상 흡착되었을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터럽트와, 상기 인터럽트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받아 리드프레임의 이송이 다시 행하여지도록 리드프레임을 다시 스태커에 적재시키기 위해 이송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이송기의 이송되는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
KR2019960036618U 1996-10-31 1996-10-31 리드프레임 이송기의 이송되는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 KR200158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618U KR200158397Y1 (ko) 1996-10-31 1996-10-31 리드프레임 이송기의 이송되는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618U KR200158397Y1 (ko) 1996-10-31 1996-10-31 리드프레임 이송기의 이송되는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231U KR19980023231U (ko) 1998-07-25
KR200158397Y1 true KR200158397Y1 (ko) 1999-10-15

Family

ID=19471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6618U KR200158397Y1 (ko) 1996-10-31 1996-10-31 리드프레임 이송기의 이송되는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3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231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8610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substantially circular article
US20090049682A1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ystem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KR100217286B1 (ko) 웨이퍼링의 공급.반송장치
JPH10118969A (ja) 搬送対象物吸着装置
KR200158397Y1 (ko) 리드프레임 이송기의 이송되는 리드프레임 갯수 검출장치
JP2007173553A (ja) 基板搬送装置
KR101694469B1 (ko) 기판 적재운송기
US46812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n article to a work station
JP2890332B2 (ja) プッシャ装置
JPH05319769A (ja) ワーク吸着制御装置
JP4017719B2 (ja) 回路部品装着システム
KR100198854B1 (ko) 리드프레임의 검출장치
JPS62193135A (ja) ボンデイング装置
JP2640341B2 (ja) 搬送装置
JP3082042B2 (ja) ワーク移載システム
JPS6334267Y2 (ko)
JP3015243B2 (ja) 2以上のボンディングヘッドを有するボンディング装置
JP2693389B2 (ja) パーツ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285611A (ja) ストッカ装置
JPH01183388A (ja) ロボット移動装置
KR200152488Y1 (ko) 리드프레임 로더
JP3950946B2 (ja) 導電性ボール搭載装置
JPH0873063A (ja) 処理装置に対するリードフレームの投入装置
KR950008234Y1 (ko) 1/2 슬롯을 이용한 웨이퍼 카세트 엘리베이터 장치
JP3451782B2 (ja) 電解コンデンサのパッキング用ゴムの表裏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