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316Y1 - 버스용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 - Google Patents

버스용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316Y1
KR200158316Y1 KR2019960059588U KR19960059588U KR200158316Y1 KR 200158316 Y1 KR200158316 Y1 KR 200158316Y1 KR 2019960059588 U KR2019960059588 U KR 2019960059588U KR 19960059588 U KR19960059588 U KR 19960059588U KR 200158316 Y1 KR200158316 Y1 KR 2001583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eat
separator
vehicl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9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435U (ko
Inventor
차선홍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9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316Y1/ko
Publication of KR199800464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4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3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3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26Rigid partitions inside vehicles, e.g. between passengers and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차량용 운전석측 후방의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운전석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버스차량용 운전석 분리대(3)를 이루는 바디부(5)의 하단부가 차량용 플로워판넬(6)에 전적으로 밀착되게 구비되어 있음으로 인해 버스차량의 운전석(1)측 후방의 시트(4)에 앉게 되는 탑승자가 발을 자유롭게 뻗지 못하여 다소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버스차량용 운전석(1)의 후방에 구비되는 밀폐식 운전석 분리대(3)를 대신하여 소정의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7)가 구비되되, 상기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7)를 이루는 바디부(5)는 하측에 양측으로 각각 차량용 플로워판넬(6)의 양측에 고정되는 각각의 사다리꼴 브라켓(8)에 상응하여 동일체로 중공식 지지대(9)가 구비되고 센터측으로는 소정의 간격으로 전후 양측면에 다수의 요부(10)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5)의 상측 전방향에는 동일체로 지지테이블(11)이 구비됨으로써 버스차량용 운전석(1)의 후방에 구비되는 시트(4)에 앉게 되는 탑승자가 자유롭게 발을 뻗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스용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
본 고안은 버스차량용 운전석측 후방의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운전석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밀폐식 운전석 분리대를 대신하여 소정의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를 구비하여 상기 운전석측 후방의 시트에 앉게 되는 운전자로 하여금 좀더 편리하게 발을 뻗을 수 있게 하도록 한 버스용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차량용 운전석(1)측 후방의 소정부위에는 센터측에 양측으로 각각 망사식 포켓(2)을 갖는 밀폐식 운전석 분리대(3)가 구비되는 바 상기 밀폐식 운전석 분리대(3)는 차량의 급정거시 상기 운전석(1)의 후방에 구비되는 시트(4)에 앉게 되는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특히, 상기 망사식 포켓(2)은 차량의 탑승자로 하여금 소정의 물품 등을 보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버스차량용 운전석 분리대(3)를 이루는 바디부(5)의 하단부가 차량용 플로워판넬(6)에 전적으로 밀착되게 구비되어 있음으로 인해 버스차량의 운전석(1)측 후방의 시트(4)에 앉게 되는 탑승자가 발을 자유롭게 뻗지 못하여 다소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버스차량용 운전석의 후방에 구비되는 시트에 앉게 되는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하도록 한 버스용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버스차량용 운전석의 후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밀폐식 운전석 분리대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확대 평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용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를 나타내는 개략 A-A'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전석 3 : 운전석 분리대
5 : 바디부 6 : 플로워판넬
7 :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 8 : 사다리꼴 브라켓
9 : 중공식 지지대 10 : 요부
11 : 지지테이블 12 : 지지브라켓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버스차량용 운전석의 후방에 구비되는 밀폐식 운전석 분리대를 대신하여 소정의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가 구비되되, 상기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를 이루는 바디부는 하측에 양측으로 각각 차량용 플로워판넬의 양측에 고정되는 각각의 사다리꼴 브라켓에 상응하여 동일체로 중공식 지지대가 구비되고 센터측으로는 소정의 간격으로 전후 양측면에 다수의 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상측 전방향에는 동일체로 지지테이블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차량용 운전석(1)의 후방에 구비되는 밀폐식 운전석 분리대(3)에 있어서,
상기 밀폐식 운전석 분리대(3)를 대신하여 소정의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7)가 구비되되, 상기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7)를 이루는 바디부(5)는 하측에 양측으로 각각 차량용 플로워판넬(6)의 양측에 고정되는 각각의 사다리꼴 브라켓(8)에 상응하여 동일체로 중공식 지지대(9)가 구비되고 센터측으로는 소정의 간격으로 전후 양측면에 다수의 요부(10)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5)의 상측 전방향에는 동일체로 지지테이블(11)이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상기 바디부(5)는 버스차량용 사이드바디판넬(도시되지 않음)측 방향의 소정부위에 적어도 1곳 이상 동일체로 지지브라켓(12)이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버스차량용 운전석(1)의 후방에 구비되는 밀폐식 운전석 분리대(3)를 대신하여 소정의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7)가 구비되되, 상기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7)를 이루는 바디부(5)는 하측에 양측으로 각각 차량용 플로워판넬(6)의 양측에 고정되는 각각의 사다리꼴 브라켓(8)에 상응하여 동일체로 중공식 지지대(9)가 구비되고 센터측으로는 소정의 간격으로 전후 양측면에 다수의 요부(10)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5)의 상측 전방향에는 동일체로 지지테이블(11)이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조립자가 상기 플로워판넬(6)의 양측 사다리꼴 브라켓(8)에 상기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7)의 바디부(5)측 중공식 지지대(9)를 끼운후 소정의 스크류(13)로 각각 조일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서, 상기 운전석(1)의 후방에 구비되는 시트(4)에 앉게 되는 탑승자가 상기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7)의 하단측 중공식 지지대(9)를 사이로 하여 자유롭게 발을 뻗을 수 있게됨과 더불어 상기 바디부(5)의 지지테이블(11)을 경우에 따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바디부(5)에 형성되는 각각의 요부(10)는 구조적으로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7)의 바디부(5)는 버스차량용 사이드바디판넬(도시되지 않음)측 방향의 소정부위에 적어도 1곳 이상 동일체로 지지브라켓(12)이 구비됨으로써 차량용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7)의 바디부(5)가 상기 지지브라켓(12)을 통해 상기 사이드바디판넬(도시되지 않음)에 좀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버스용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는 버스차량용 운전석(1)의 후방에 구비되는 밀폐식 운전석 분리대(3)를 대신하여 소정의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7)가 구비되되, 상기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7)를 이루는 바디부(5)는 하측에 양측으로 각각 차량용 플로워판넬(6)의 양측에 고정되는 각각의 사다리꼴 브라켓(8)에 상응하여 동일체로 중공식 지지대(9)가 구비되고 센터측으로는 소정의 간격으로 전후 양측면에 다수의 요부(10)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5)의 상측 전방향에는 동일체로 지지테이블(11)이 구비됨으로써 버스차량용 운전석(1)의 후방에 구비되는 시트(4)에 앉게 되는 탑승자가 자유롭게 발을 뻗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버스차량용 운전석(1)의 후방에 구비되는 밀폐식 운전석 분리대(3)에 있어서,
    상기 밀폐식 운전석 분리대(3)를 대신하여 소정의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7)가 구비되되, 상기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7)를 이루는 바디부(5)는 하측에 양측으로 각각 차량용 플로워판넬(6)의 양측에 고정되는 각각의 사다리꼴 브라켓(8)에 상응하여 동일체로 중공식 지지대(9)가 구비되고 센터측으로는 소정의 간격으로 전후 양측면에 다수의 요부(10)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5)의 상측 전방향에 동일체로 지지테이블(11)이 구비되고 버스차량의 사이드바디판넬측 소정부위에는 적어도 1곳이상 지지브라켓(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
KR2019960059588U 1996-12-28 1996-12-28 버스용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 KR2001583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588U KR200158316Y1 (ko) 1996-12-28 1996-12-28 버스용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588U KR200158316Y1 (ko) 1996-12-28 1996-12-28 버스용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435U KR19980046435U (ko) 1998-09-25
KR200158316Y1 true KR200158316Y1 (ko) 1999-10-15

Family

ID=1948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9588U KR200158316Y1 (ko) 1996-12-28 1996-12-28 버스용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3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8412S1 (en) 2019-03-01 2022-04-12 Werner Co. Bulkhead for a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8412S1 (en) 2019-03-01 2022-04-12 Werner Co. Bulkhead for a vehicle
USD976193S1 (en) 2019-03-01 2023-01-24 Werner Co. Bulkhead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435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96476B (en) Vehicle seat with side airbag.
BR0008097A (pt) Estrutura de assento para veìculo
KR200158316Y1 (ko) 버스용 개구식 운전석 분리대
SE8602493L (sv) Setesram for motorfordon
ITBS950094U1 (it) Seggiolino di sicurezza per bambini
USD398694S (en) Inflatable chair
KR200158317Y1 (ko) 버스용 운전석 분리대의 프로텍터구조
KR0134246B1 (ko) 차량좌석의자의 유아의자용 고정구조
JPS60244646A (ja) 自動車用トノボ−ド
KR20020049616A (ko)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
KR200144157Y1 (ko) 차량용 접이식 미러의 구조
JP3000896U (ja) 日光浴用枕
KR0135006Y1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판넬로 내장된 어린이용 시트
KR0128138Y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구조
KR940003998Y1 (ko) 자동차 운전자용 팔받침대
KR960021909A (ko) 자동차 콘솔박스의 구조
KR200140880Y1 (ko) 자동차 시트용 허리받침대
KR0119407Y1 (ko) 자동차용 시트의 측면지지대 장착구조
KR970036902A (ko) 차량용 암레스트의 수납식 회동테이블
KR960004797Y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KR970038600A (ko) 자동차 콘솔박스의 구조
KR960001435Y1 (ko) 등판각도 변화가 가능한 의자
KR19980013619U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9980048113U (ko) 어린이 보호용 자동차 보조 시이트
KR970069547A (ko) 차량용 시트카바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