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610Y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610Y1
KR200157610Y1 KR2019950019508U KR19950019508U KR200157610Y1 KR 200157610 Y1 KR200157610 Y1 KR 200157610Y1 KR 2019950019508 U KR2019950019508 U KR 2019950019508U KR 19950019508 U KR19950019508 U KR 19950019508U KR 200157610 Y1 KR200157610 Y1 KR 200157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cation
water
chamber
main body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9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595U (ko
Inventor
정웅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50019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610Y1/ko
Publication of KR9700065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5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6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목적]
에어백부에 의한 진공압과 대기압과의 압력차이로 가습수의 적량공급, 가습수의 보온에 의한 가습효과의 제고, 및 구조단순화를 이룰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
상면에 가습조공(14)이 천공되고 저수실(12)도 겸한 본체(1)의 바닥에 물쟁반(11)을 형성하고, 중앙에 가습실(31)을 포위하여 보온역할을 하는 에어백부(32)와 진공실(33)을 가진 가습조(3)를 가습실(31)의 하단이 물쟁반(11)위에 올라앉게 설치하며, 본체(1)의 상면에는 가습관공(22)을 가진 급수통(2)을 탑재하고, 가습실(31)내에는 히터(4)를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습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종단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급수통
3 : 가습조 4 : 히터
11 : 물쟁반 12 : 저수실
14 : 가습조공 31 : 가습실
32 : 에어백부 33 : 진공실
본 고안은 가습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에어백부에 의한 진공압과 대기압과의 압력차이로 가습수의 적량공급, 가습수의 보온에 의한 가습효과의 제고, 및 구조단순화를 이룩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가습기는 불필요한 무화실 때문에 내부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원가도 높았다. 또, 가습조에서 일어나는 열손실은 가습효과를 저하시켰으며, 가습수를 히터의 간접열로 데우는 방식을 취하므로서 가습효과가 낮았다. 뿐만 아니라 가습수통의 규격도 제한이 따라 1회 급수당 가습시간이 길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구조가 단조롭고,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가습조의 열손실방지로 가습효과가 높으며, 1회 급수당 가습시간이 긴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밑이 터진 중앙의 가습실을 중심으로 외곽에 동심원상으로 밑이 트인 환상 에어백부와 진공실을 형성하여 가습실을 보온하게 구성한 가습조를 본체에 설치하여 본체내에 형성한 물쟁반으로 떠받치며, 상기 가습실내에는 히터를 설치하며, 본체 위에는 가습관이 관통할 통공과 급수변을 가진 급수통을 탑재한 가습기를 제공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토대로 작성한 첨부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종단정면도이다. 이 그림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가습기는 본체(1)와 급수통(2), 가습조(3), 및 히터(4)로 이뤄진다.
본체(1)내에는 물쟁반(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물쟁반(11)은 가습조(3)의 가습실(31) 밑을 받쳐주는 것으로, 에어백부(32)의 하단부근으로 거의 밀착될 정도로 기어들어와 에어백부(32)의 하단부와의 사이에서 그리로 유입된 가습수에 대하여 일종의 수막을 형성하게 한다. 이 수막은 그 가습수의 위쪽 에어백부(32)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가습실(31)내의 가습수를 보온하는 동시에 가습에 적합한 수위가 유지되도록 한다.
급수통(2)은 본체(1)의 상면에 탑재하여 저수실(12)로 가습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급수변(21)과 가습관공(22)을 갖는다. 급수변(21)은 저수실(12)의 천정에 천공한 급수공(13)에 내리꽂아 저수실(12)의 수위변화에 따라 급수가 이뤄지게 하며, 가습관공(22)은 가습실(31)의 상단에서 연장된 가습관(34)이 관통할 통로이다.
가습조(3)는 반단면이 S자를 옆으로 뉜 형상을 닮도록 형성한다.
중앙에 위치한 가습실(31)은 밑을 완전히 틔워서 가습시에는 본체(1) 자체에 형성된 저수실(12)의 물이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또, 가습실(31)의 주위에는 환상 에어백부(32)와 진공실(33)을 동심원상에 형성한다. 상기 에어백부(32)는 밑을 틔운다.
상기 에어백부(32)는 가습기 밑둘레가 물쟁반(1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일종의 수막에 의해 밀폐되어 수막 위쪽의 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듦으로써 물이 과잉 공급되는 것을 막아 가습상태를 안정시키는 동시에 가습실(31)에 대한 1차 보온역할을 하고, 진공실(33)은 가습실(31)에 대하여 2차 보온벽의 역할을 한다.
히터(4)는 전열히터로서, 가습실(31)의 하단부에 장진하며, 통전시 가습수를 데워 수증기를 생산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와 같이 본체(1)의 가습조공(14)위에서 가습조(3)를 내리끼운 다음에 물쟁반(11)위에 가습실(31)의 하단을 얹는다.
이어서, 물을 채운 급수통(2)을 본체(1)위에 탑재한다. 이때, 가습관공(22)을 가습관(34)에 씌우듯 끼운다.
급수통(2)내의 물은 급수변(21)을 통하여 저수실(12)로 자동공급된다. 저수실(12)에 차오르던 물은 진공실(33)의 내벽 하단과 물쟁반(11)의 외주면 상단 둘레간의 틈으로 스며들어 가습실(31)로 향한다.
이때, 에어백부(32)에도 가습수가 들어가는 것은 물론이다. 하지만, 에어백부(32)내의 수위는 가습실(31)의 수위에 훨씬 못 미친다.
그 수면 위쪽 에어백부(32)가 진공상태로 변하여 그리고 물이 들어차는 물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습실(31)은 위가 열려 있으므로 진공상태로는 되지 않아 계속 수위가 오르다가 저수실(12)의 수위와 일치하는 시점에서 멈춘다. 저수실(12)과 가습실(31)의 수위가 일치하면 물은 그 이상 유입되지 않고 현상을 유지하며, 가습으로 인하여 증발된 양만큼만 보충된다.
이와 같이 가습실(31)내의 수위가 언제나 적정수준을 유지하는 것은 에어백부(32)의 진공과 가습실(31)의 비진공에 기인하는 기압차에서 비롯된다.
가습실(31)의 수위가 일정하면 가습이 일정하게 이뤄지고, 불규칙적인 급수에 기인하던 가습수의 낭비도 사라져 용수도 절약된다.
가습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에어백부(32)가 1차적으로 외기를 차단하고 2차적으로는 진공실(33)이 외기를 차단하므로 가습실(31)내의 수온은 자연히 높아진다.
가습실(31)내의 수온이 높으면 시간당 수증기 발생량이 늘어나 무화기 없이도 가습이 효과적으로 진행됨은 물론 가습시간도 단축된다.
또, 전력도 절약되고, 절수 효과도 나타난다. 게다가, 무화기가 배제되므로 내부구조가 단조로워져 조립성이 개선되고 가습기의 경량화도 이뤄지며, 염가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1)의 상면 전체를 급수통(2)을 올려놓는 통받이로 활용할 수 있어 급수통(2)의 대용량화가 가능하므로 1회 급수당 가습시간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점도 본 고안의 장점중 하나로 꼽는다.

Claims (2)

  1. 상면에 가습조공(14)이 천공되고 저수실(12)도 겸한 본체(1)의 바닥에 물쟁반(11)을 형성하고, 중앙에 가습실(31)을 포위하여 보온역할을 하는 에어백부(32)와 진공실(33)을 가진 가습조(3)를 가습실(31)의 하단이 물쟁반(11)위에 올라앉게 설치하며, 본체(1)의 상면에는 가습관공(22)을 가진 급수통(2)을 탑재하고, 가습실(31)내에는 히터(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에어백부(32)는 밑을 틔운 가습기.
KR2019950019508U 1995-07-31 1995-07-31 가습기 KR200157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508U KR200157610Y1 (ko) 1995-07-31 1995-07-31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508U KR200157610Y1 (ko) 1995-07-31 1995-07-31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595U KR970006595U (ko) 1997-02-21
KR200157610Y1 true KR200157610Y1 (ko) 1999-10-01

Family

ID=1941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9508U KR200157610Y1 (ko) 1995-07-31 1995-07-31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6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595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50258B1 (en) Combustion catalyzing system for commercial grade fuels
KR200157610Y1 (ko) 가습기
US4649897A (en) Vaporizer-burner
KR200190426Y1 (ko) 가스보일러
JP2525359Y2 (ja) 加湿器
JPS5910498Y2 (ja) 暖房機の加湿装置
JPS5827322Y2 (ja) 温風暖房機の加湿装置
CN210568840U (zh) 一种具有加湿效果的壁挂炉
KR890006772Y1 (ko) 가스레인지를 이용한 난방용 라디에이터장치
JPS605298Y2 (ja) 給湯機
JPS591159Y2 (ja) 気泡ポンプ式ボイラの揚水量制御装置
JPS5834357Y2 (ja) 暖房機の加湿装置
JPS60101397A (ja) 液化ガスタンク
JPS6143041Y2 (ko)
KR0125076Y1 (ko) 히터식 가습기
JPS6237079Y2 (ko)
JPS5843714Y2 (ja) 温風暖房機
JP2002349791A (ja) 液化ガス用バルク貯槽
KR0138289Y1 (ko) 이동형 가스 난방기기의 가습장치
JPS6139245Y2 (ko)
SU90174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влажнени воздуха
KR830000119Y1 (ko) 강압 순환식 온수 보일러
JPS6314178Y2 (ko)
JPH01139901A (ja) 定量型蒸気発生器
JPS584015Y2 (ja) ポツト式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