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196Y1 - 제어선이 함께 피복된 케이블 - Google Patents

제어선이 함께 피복된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196Y1
KR200157196Y1 KR2019960033049U KR19960033049U KR200157196Y1 KR 200157196 Y1 KR200157196 Y1 KR 200157196Y1 KR 2019960033049 U KR2019960033049 U KR 2019960033049U KR 19960033049 U KR19960033049 U KR 19960033049U KR 200157196 Y1 KR200157196 Y1 KR 200157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able
lines
control lines
cov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855U (ko
Inventor
이충열
Original Assignee
이성열
서울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열, 서울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성열
Priority to KR2019960033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196Y1/ko
Publication of KR199800198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8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1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61Flat or ribbon cables comprising one or more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3Power cables including electrical control or communicatio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컨대 지하수 개발시 또는 지하수 펌핑을 위하여 설치되는 수중 모터펌프 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 동력전달용 등으로 사용하기 위한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가설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가설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전원공급선들 뿐만 아니라 제어선들의 전기 절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케이블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은, 소선집합으로 이루어진 제1 동선(11)이 제1 절연체(12)로 각각 피복된 3가닥의 전원공급선(1)(2)(3)과, 소선집합으로 이루어진 제2동선(41)이 제2 절연체(42)로 각각 피복된 3가닥의 제어선(4)(5)(6)과, 상기 3가닥의 전원공급선(1)(2)(3) 및 제어선들(4)(5)(6)을 등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하고 이것들을 분리가능하게 함께 피복하여 납작한 스트립 형태를 이루는 씨즈(sheath : 케이블의 외장을 말함)(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케이블이 납작한 스트립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설치시 벽면이나 프레임 또는 빔 등을 따라 가설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전원공급선들(1)(2)(3) 뿐만 아니라 제어선들(4)(5)(6)도 함께 피복되어 있으므로 제어선을 별도로 가설할 필요가 없으며, 전원공급선들 및 제어선들이 이중으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제어선이 함께 피복된 케이블
본 고안은 예컨대 지하수 개발시 또는 지하수 펌핑을 위하여 설치되는 수중 모터펌프 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 동력전달용 등으로 사용하기 위한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3가닥의 알ㆍ에스ㆍ티(R· S ·T) 전원공급선과, 제어 및 접지를 위한 3가닥의 제어선이 동일 절연체에 의하여 함께 피복되어 이루어진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기ㆍ전자 장치에는 케이블이 연결되며, 이 케이블은 통상 3가닥의 전원공급선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형태의 케이블은 가설을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예컨대 다수의 스트립 패스너에 의하여 3가닥의 전원공급선이 서로 결속되어야 하므로, 가설작업시간이 많이 드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벽면이나 빔 또는 프레임을 따라 가설하여야 할 경우에는 케이블을 쉽게 굴곡할 수 없음과 아울러 부착이 어려워 가설작업이 어려운 요인이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3가닥의 전원공급선을 절연체로 함께 피복하여 납작한 스트립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블이 제안되었다. 이 케이블은, 제3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소선집합으로 이루어진 동선(94)이 제1 절연체(95)로 피복된 3가닥의 전원공급선(91)(92)(93)과, 상기 전원공급선들(91)(92)(93)을 등간격으로 나란하게 함께 피복하여 납작한 스트립 형태를 이루는 제2 절연체(9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트립 형태의 케이블은 3가닥의 전원공급선들(91)(92)(93)을 따로 결속할 필요가 없고, 또한 납작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및 굴곡작업이 용이하여 설치시 빔이나 프레임을 따라 설치하기가 매우 편리하였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절연체(95)(96)에 의하여 3가닥의 전원공급선(91)(92)(93)이 2중으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전원공급선들(91)(92)(93)의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여 예컨대 지하수 등을 펌핑하기 위한 수중모터펌프의 가설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그러나, 각종 전기ㆍ전자 장치에는 상기한 케이블 뿐만 아니라 제어 및 접지를 위한 3가닥의 제어선도 가설되어야 하지만, 제어선들에 대하여는 여전히 스트립 패스너와 같은 결속수단에 의하여 결속하는 방법이 사용됨으로써, 가설작업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는 여전히 해소되지 못했다. 또한, 케이블 뿐만 아니라 제어선들이 별도로 가설되어야 하므로 가설작업이 이중으로 진행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과는 별도로 제어선이 가설되어 제어선이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제어선에 대한 전기 절연성의 결여라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가설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가설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전원공급선들 뿐만 아니라 제어선들의 전기 절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케이블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을 나타내는 일부 절취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다른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종래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 전원공급선 4, 5, 6 : 제어선
7 : 씨즈(sheath) 12, 42 : 절연체
11, 41 : 동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은, 소선집합으로 이루어진 제1 동선이 제1 절연체로 피복된 3가닥의 전원공급선과, 소선집합으로 이루어진 제2 동선이 제2 절연체로 피복된 3바닥의 제어선과, 상기 3가닥의 전원공급선 및 제어선들을 등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하고 이것들을 분리가능하게 함께 피복하여 납작한 스트립 형태를 이루는 씨즈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블이 납작한 스트립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설치시 벽면이나 프레임 또는 빔 등을 따라 가설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전원공급선들 뿐만 아니라 제어선들도 함께 피복되어 있으므로 제어선을 별도로 가설할 필요가 없으며, 전원공급선들은 제1 절연체 및 씨즈에 의하여, 그리고 제어선들은 제2 절연체 및 씨즈에 의하여 이중으로 각각 피복되어 있으므로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을 나타내는 일부 절취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다른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참조부호 1, 2 및 3은 각각 전원공급선을 나타내고, 상기 전원공급선들(1)(2)(3)은 소선집합으로 이루어진 제1 동선(11)을 제1 절연체(12)로 피복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제1 절연체(12)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참조부호 4, 5 및 6은 각각 제어선을 나타내고, 상기 제어선들(4)(5)(6)은 상기 전원공급선들(1)(2)(3)과 마찬가지로 소선집합으로 이루어진 제2 동선(41)을 제2 절연체(42)로 피복하여 각각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절연체(42)도 상기 제1 절연체(12)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은 상기한 바와 같은 3가닥의 전원공급선(1)(2)(3)과 3가닥의 제어선(4)(5)(6)이 씨즈(7)에 의하여 함께 피복되어 이루어짐으로써 납작한스트립 형태를 하고 있다. 즉, 상기 전원공급선들(1)(2)(3)은 서로 등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선들(4)(5)(6)은 상기 최내측 전원공급선(3)의 옆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선들(4)(5)(6)은 전원공급선들(1)(2)(3) 보다는 비교적 가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등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함께 결속된 것과 같은 형태, 즉 3가닥이 나란하게 함께 뭉친 형태도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선들(4)(5)(6)은 다발형태로 씨즈(7)에 의하여 피복된다.
상기 씨즈(7)는 피브이씨(PVC : polyvinyl chloride)로 이루어지며, 상기 씨즈(7)에 의한 피복은 통상적인 압출공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절연체(12)(42)가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고, 씨즈(7)가 피브이씨로 이루어짐으로써, 절연체들(12)(42)(7)의 물성 차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 절연체(12)(42)는 씨즈(7)와 접착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분리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즉, 전원공급선들(1)(2)(3)과 제어선들(4)(5)(6)이 씨즈(7) 내에서 분리된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블 가설시 전원공급선들(1)(2)(3) 및 제어선들(4)(5)(6)을 예컨대 단자에 연결하기 위하여,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즈(7)를 벗겨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에 의하면, 케이블이 납작한 스트립 형태로 되어 있어서 설치시 벽면이나 프레임 또는 빔 등을 따라 부착하여 가설하기가 용이하므로, 가설작업이 편리함과 아울러 가설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선들(1)(2)(3) 뿐만 아니라 제어선들(4)(5)(6)도 함께 피복되어 있어서 제어선(4)(5)(6)을 별도로 가설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것에 의해서도 가설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전원공급선들(1)(2)(3)은 제1 절연체(12) 및 씨즈(12)(7)에 의하여, 그리고 제어선들(4)(5)(6)은 제2 절연체(42) 및 씨즈(42)(7)에 의하여 이중으로 각각 피복되어 있어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므로, 안정성 및 케이블의 수명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소선집합으로 이루어진 제1동선(11)이 폴리에틸렌수지의 제1절연체(12)로 피복된 3가닥의 전원 공급선(1)(2)(3)과, 소선집합으로 이루어진 제2동선(41)이 폴리에틸렌수지의 제2절연체(42)로 피복된 3가닥의 제어선(4)(5)(6)과, 상기 3가닥의 전원 공급선(1)(2)(3) 및 제어선들(4)(5)(6)을 등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하고 이것들을 분리가능하게 함께 피복하여 납작한 스트립형태를 이루는 피브씨의 씨즈(7)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선(1)(2)(3) 및 제어선들(4)(5)(6)은 상기 씨즈(7) 내에서 분리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어선이 함께 피복된 케이블.
KR2019960033049U 1996-10-08 1996-10-08 제어선이 함께 피복된 케이블 KR200157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049U KR200157196Y1 (ko) 1996-10-08 1996-10-08 제어선이 함께 피복된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049U KR200157196Y1 (ko) 1996-10-08 1996-10-08 제어선이 함께 피복된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855U KR19980019855U (ko) 1998-07-15
KR200157196Y1 true KR200157196Y1 (ko) 1999-09-15

Family

ID=1946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049U KR200157196Y1 (ko) 1996-10-08 1996-10-08 제어선이 함께 피복된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1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855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20083A (en) Aerial cable
US5780773A (en) Cable supporting member
US4881907A (en) Conductor strip for electrical and telecommunication conductors
US7358443B2 (en) Braided cord with conductive foil
JPH0345484B2 (ko)
CN105448397A (zh) 线束及线束的制造方法
EP1191549A3 (de) Elektrische Installationsleitung
DE69709580D1 (de) Elektrischer Schneidklemmenverbinderanordnung mit Kabelklemmvorrichtung
ATE261202T1 (de) Kabelverbindung mit verbesserter verbindung für abschirmung
US20100193236A1 (en) Sheath providing protection against radiation, in particular from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by electric cables
KR200157196Y1 (ko) 제어선이 함께 피복된 케이블
JP2008506225A (ja) 輻射線(特に、電気ケーブルにより発生する電場)に対する保護外被
US6173942B1 (en) Electric fence network
CN216287626U (zh) 一种耐油抗拉耐腐蚀高柔性电缆
CN209357479U (zh) 一种xlpe绝缘层及其电缆
JPS61212810A (ja) 平型光フアイバコ−ド
JPH0260003A (ja) 電気コード
CN217181847U (zh) 一种防滑性能强的绝缘管型母线
CN214588073U (zh) 组合电源控制线
JPH08235937A (ja) 可撓性ケーブル
JPS58186113A (ja) 分岐線付き金属線編組がい装ケ−ブルの製造方法
JPH0127570Y2 (ko)
CA2058696A1 (en) Flexible electrically insulated electric conductor
JP2740951B2 (ja) ケーブル線路
JPS6442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