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898Y1 - Via duct - Google Patents

Via 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898Y1
KR200156898Y1 KR2019970000583U KR19970000583U KR200156898Y1 KR 200156898 Y1 KR200156898 Y1 KR 200156898Y1 KR 2019970000583 U KR2019970000583 U KR 2019970000583U KR 19970000583 U KR19970000583 U KR 19970000583U KR 200156898 Y1 KR200156898 Y1 KR 200156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section
road
center
r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58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51913U (en
Inventor
김길중
Original Assignee
김상욱
대륭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욱, 대륭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상욱
Priority to KR2019970000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898Y1/en
Publication of KR9700519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91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898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Abstract

본 고안은 인도(人道)에 설치공간을 점유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보행자나 운송수단물이 도로를 횡단할 수 있게 한 도로용 횡단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도로용 횡단구조물은 지면이 닿는 양단으로부터 중앙으로 서서히 상승하는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를 연결하고 도로를 횡단할 수 있게 배치하는 횡단부로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을 맞대어 구비되는 횡단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횡단부와 상승부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인도(人道)에 설치공간을 점유하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간단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게 하면서도 간편하게 보행자나 운송수단물이 도로를 횡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crossing structure that allows pedestrians or vehicles to cross roads without occupying an installation space in India. The road cross-section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pair of rising portions having an inclined surface which gradually rises from the opposite ends of the ground to the center, and a crossing portion which connects the rising portions and is arranged to cross the road, and is provided with the inclined surfaces facing each other. The cross section and the rise section are made integr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the pedestrian or vehicle can easily cross the road while allowing a simple structure to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without occupying an installation space in a sidewalk.

Description

도로용 횡단구조물Road Crossings

본 고안은 도로용 횡단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도(人道)에 설치공간을 점유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보행자나 운송수단물이 도로를 횡단할 수 있게 한 도로용 횡단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cross-sectio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ad cross-section structure that allows pedestrians or vehicles to cross the road without occupying the installation space in India.

일반적으로 보행자가 차량이 질주하는 도로를 횡단하는 방법은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방법과 그리고 육교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In general, pedestrians can cross the road where the vehicle is traveling by using a crosswalk and an overpass.

상기에서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방법은 신호등을 통해 주행중인 차량을 정지시킨 후에야 보행자가 길을 건널 수 있게 되므로 원활한 교통의 저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지만 시설비가 거의 들지 않는 잇점이 있다.The pedestrian crossing is a method of using a pedestrian crossing as it is possible to cross the road only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through a traffic light.

따라서 차량들이 정지해야 할 필요가 있는 교차로 등에서는 육교나 지하도로보다 횡단보도를 통해 보행자를 횡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cross a pedestrian through a crosswalk rather than an overpass or an underground road at an intersection where vehicles need to stop.

한편 지하도로나 육교를 이용하여 도로를 횡단하는 방법은 도로에 질주하는 차량을 정지시키지 않고서도 보행자를 횡단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이를 설치하기 위한 시설비가 필요이상으로 많이 소요되어 정부예산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crossing the road by using an underground road or an overpass has the advantage of crossing the pedestrian without stopping the vehicles that run on the road, but it costs more than necessary to install the facility, which wastes the government budget. There are disadvantages to doing this.

그러나 주행중인 차량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으며, 차량은 차량대로 보행자는 보행자대로 기다릴 필요없이 도로를 질주하거나 횡단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no need to stop the vehicle in motion, and the vehicle has the advantage that the pedestrian can cross the road without having to wait for the pedestrian.

따라서 차량이 연속 질주하는 차량전용도로나 고속도로에서는 보행자의 안전 및 원활한 차량의 운행을 위하여 지하도로나 육교를 이용하는 편이 좋게 된다.Therefore, it is better to use an underground road or an overpass for the safety of pedestrians and the smooth running of vehicles on a vehicle-only road or highway in which vehicles continuously run.

그러나 종래의 육교나 지하도로는 대부분 보행자를 위해 건설되는 것이므로 자전거나 손수레, 경운기등의 소형 우송수단물이 도로를 횡단하는 데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overpass or underground road is mostly constructed for pedestrians, there are problems that small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bicycles, carts, tillers, etc., do not help to cross the road.

즉, 육교나 지하도로는 도로변에 도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상승부 또는 하강부가 계단형식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짐을 실은 손수레 등의 소형운송수단물이 그들을 통해 도로를 횡단할 수 없게 된다.In other words, because the overpass or the underground roa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taircase in which the rising part or the lower part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road, small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cart carrying luggage cannot cross the road through them.

상기와 같은 문제는 소형운송수단물의 사용이 적으며 도로망이 잘짜여지고 차량의 주행속도가 떨어지는 도시보다는 소형운송수단물의 사용이 많고 차량의 주행속도가 빠른편인 고속도로 변이나 국도변의 농촌에서 더욱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됨은 물론이다.The above problems are more serious in rural areas near highways and national roads where small transportation means are less used, road networks are well-designed, and vehicles use more small transportation means and vehicles are traveling faster than cities. Of course, it is a problem.

특히 농촌의 국도변에는 육교나 지하도로가 건설되어 있지 않은 예가 많으므로 위험을 무릅쓰고 도로를 횡단하기 보다는 먼거리를 우회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감수하거나 아예 도로의 횡단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In particular, there are many cases where overpasses or underground roads are not built around rural roads, so they often take the hassle of bypassing long distances rather than crossing the roads at risk, or abandon the roads at all.

이상과 같은 필요와 요구에 의하여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본원출원인이 제안한 실용신안공고 제 95-4903호에 의한 선행기술로 보행자 및 운반이송물의 도로횡단 구조물이 제안되어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needs and demands as described above, a road crossing structure of pedestrians and transportation vehicles has been proposed as a prior art according to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5-4903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as shown in FIGS. 1 and 2.

즉, 지면이 닿는 양단으로부터 중앙으로 서서히 상승하는 경사면(11)을 갖는 한쌍의 상승부(10)를 도로(20)의 양측에 도로(2)와 나란하게 설치하고, 양 상승부(10)의 최대상승부 사이에 평탄면(21)으로된 횡단부(20)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횡단구조물(1)이 제안되어 있다.That is, a pair of rising portions 10 having inclined surfaces 11 gradually rising from the opposite ends of the ground to the center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oad 20 side by side with the road 2, and the two rising portions 10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1 which consists of providing the cross-section 20 which consists of the flat surface 21 between the maximum rise parts is proposed.

그러나 이 또한 횡단구조물(1)의 진입로를 이루는 상승부(10)가 도로(2)의 양측에 형성된 인도(人道)의 면적을 필요이상으로 점유하게 되어 설치공간상의 제약을 받는 단점은 내포한다.However, this also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rising portion 10 forming the access road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1) occupies more than the area of the sidewalk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ad (2) than necessary to be limited in the installation space.

또한 미국특허공보 5042101호와 같은 접을 수 있는 다리에 있어서는 단위판재를 승하강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다수개 소정간격 배치하면서 실린더에 발생하는 하중올 수용하는 연결바로 구성되고,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적어도 한쌍 이상의 다리를 완성하여서 국도변이나 강가를 횡단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여러개의 실린더에 의하여 단위판재를 접고 펴는 설치작업과 휴대가 편리하고 자유로운 잇점은 있으나, 실린더를 여러개 조합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짐은 물론 제작비용이 많이 지출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llapsible legs such as US Patent Publication No. 5042101 are composed of a cylinder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unit plate and a connecting bar for accommodating loads generated in the cylinder while arranging a plurality of the cylinde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though the above bridges are completed so that they can be traversed along national roads and rivers, they have the advantages of installation and folding of unit boards by multiple cylinders and convenient and portable, but complex structures because they combine several cylinders. Jim, of course, has a problem that a lot of production costs.

또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6-74610호와 같은 상승부와 횡단부를 일체서 있게 형성한 횡단구조물에 있어서는 인도나 도로 등에서 시설물 설치나 매몰공사를 실행할 때에 작업범위내의 보행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작업장을 자동차나 보횡자가 보다 용이하게 횡단할 수 있도록 횡단구조물을 설치하여 공사작업의 안전을 도모하며 자동차나 보행자의 횡단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공사장의 상부에 설치하여 보행자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한 것으로 상승부가 계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있서서 차량의 이용이 불가능하게 되고, 또한 보행자를 위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차량의 주행은 실현 불가능하였고, 차량의 횡단에 가능하게 되는 것에 있어서는 아치형으로 이루면서 평면으로 이루어진 상승부와 횡단부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강도를 보강하고 유지하기 견고한 구조적 설계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특히 제작시 이러한 점등을 고려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제작의 불편함과 고가의 경비가 지출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ross-s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rising portion and the cross-section are integrally formed, such as JP-A-674610, it is more convenient and safe to walk in the working range when installing the facility or burying the construction on sidewalks or roads. In order to achieve this, a cross-section structure is installed to make it easier for a car or a pedestrian to cross the workplace to promote the safety of construction work, and to make the crossing of a car or a pedestrian convenient and quick. It is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pedestrians. As the rising part is made of stairs, it is impossible to use the vehicle, and it is made of a structure for pedestrians. In the shape of an arch Since the part constituted by the crossing was necessary to design a robust structurally reinforce and maintain a non-economic problem of the inconvenience and high cost of production because the production expenditure In view of this, especially when the lighting productio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인도(人道)에 설치공간을 점유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보행자나 운송수단물이 도로를 횡단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좁은 도로나 인도의 폭이 좁은 설치환경에서도 설치가 용이한 도로용 횡단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pedestrian or a vehicle to easily cross a road without occupying an installation space in a sidewalk, and at the same tim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ross-section for roads that is easy to install even in narrow installations in India.

제1도는 종래 도로용 횡단구조물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며,1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road cross-section,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이며,2 is a side view of FIG. 1,

제3도는 본 고안의 도로용 횡단구조물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며,3 is a plan view of one embodiment of a road cross-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제3도의 측면도이며,4 is a side view of FIG.

제5도 내지 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5 to 9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횡단구조물 2 : 도로1: cross-section 2: road

10 : 상승부 11 : 경사면10: rising portion 11: inclined surface

20 : 횡단부 21 : 평탄부20: cross section 21: flat part

30 : 계단구조물30: stairs structure

상기의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지면이 닿는 양단으로부터 중앙으로 서서히 상승하는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를 연결하고 도로를 횡단할 수 있게 배치하는 횡단부로 구비되는 횡단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을 맞대어 구비되는 횡단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횡단부와 상승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도로용 횡단구조물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provided with a pair of rising portions having an inclined surface gradually rising from the opposite ends of the ground to the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ross section arranged to connect the rising portions and traverse the road, It is achieved by the cross-section structure for the road consisting of the cross section and the rise uni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provided against the inclined surface.

또한, 상기 도로용 횡단구조물의 양측 상승부를 횡단부를 기준으로 일측을 배제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 T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both sides of the rising portion of the cross-section for the road is formed in a T-shape when viewed in a plane except one side based on the cross section.

또한 상기 도로용 횡단구조물은 양측 상송부가 횡단부를 기준으로 일측이 배제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횡단부가 L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 structure for the road is preferably a cross-section is formed in an L-shape when viewed from the plane, one side is excluded on the basis of the cross section on both sides.

또한 상기 횡단구조물은 횡단부에서 직각방향을 연장하여 구비되는 상승부가 도로를 기준으로 상, 하부에 각각 일측을 배제하여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by removing the one side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n the basis of the road extending from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여기서 상기 횡단구조물은 상승부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일정각도로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is preferably formed to spread out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riser.

또한 상기 횡단구조물의 횡단부 양측은 경사부가 구비되며 경사부와 별도로 횡단부중심부상에 계단구조물을 설치하여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ross-section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by installing a step structure on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separate from the inclined portion.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로용 횡단구조물의 일실시예의 평면도로서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일례를 나타낸다.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plan view of one embodiment of a road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상기 횡단구조물(1)을 측면에서 본다면은 제4도에서와 같이 도로 (2)의 중앙에 위치하는 최대상승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일정경사를 갖는 경사면(11)을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1) is viewed from the side as shown in Figure 4 to form a slope 11 having a predetermined slope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maximum rising porti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oad (2).

이러한 경사면(11)은 보행자나 손수레 등의 운송수단 또는 자전거 및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가 도로를 횡단할 수 있는 도로횡단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The inclined surface 11 provides a road crossing environment through which a vehicle such as a pedestrian or a cart or a two-wheeled vehicle such as a bicycle or a motorcycle can cross the road.

상기 경사면(11)은 도로(2)의 폭이나 도로(2)의 주위환경에 대응하여 여러각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그 경사각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clined surface 11 may be set at various angle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oad 2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road 2, and the inclination angle is not limited.

또한 본 고안의 횡단구조물(1)은 지면에 임시적으로 고정되는 구조물로서 하나의 단일화된 구조물을 이루어 필요에 따라 이동이 가능한 구조무 이루어 진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is temporarily fixed to the ground to form a single unitary structure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move as needed.

한편 제5도 내지 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제5도는 도로(2)의 한 쪽 인도(人道)측으로만 상승부(10)를 갖고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부(20)는 상승부(10)의 중심을 최대상승부로 이루면서 경사면(11)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Meanwhile, FIGS. 5 to 9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FIG. 5 is a cross section 20 crossing the road with the rising part 10 only on one side of the road 2. ) Has a structure having an inclined surface 11 while forming the center of the rising portion 10 as the maximum rising portion.

즉, 평면에서 본다면은 T자형의 구조물을 이루며 도로(2)의 일측 인도(人道)의 점유공간을 배제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viewed from the plane forms a T-shaped structure to exclude the occupied space of one side of the road (人道).

제6도는 전술한 T자형의 횡단구조물(1)에서 일측의 상승부(10)중 하측면이 배제되어 전체적으로 L자형의 구조물을 이루는 형태를 갖는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도로용 횡단구조물(1)의 설치시 인도측에 점유되는 설치공간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는 구조적 여건을 제공하게 된다.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raised portion 10 of one side of the above-described T-shaped cross-section 1 is formed to form an L-shaped structure as a whole, which is a road cross-section 1. It will provide a structural condition that can exclude the installation space occupied by the side of India when installing.

제7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로(2)를 횡단하는 평단부(21)의 양측에 직각방향으로 대향되는 상승부(10)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형태의 평면 구조를 갖는 형태를 이룬다.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ving a planar structure having a shape as a whole by forming rising portions 10 oppos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on both sides of the flat end portion 21 crossing the road 2. To achieve.

또한 제8도내지 제9도는 본원출원인의 상기 선출원한 기본적인 횡단구조물(1)에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승부(10)를 일정경사를 갖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평탄부(21)의 양측으로 계단구조물(30)을 설치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FIGS. 8 to 9 form the rising part 10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n plan view in the above-mentioned basic filing structure 1 of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or the stepped structure 30 to both sides of the flat part 21. ) Can be installed in the form.

이상과 같이 이루어지는 여러 예의 도로용 횡단구조물(1)은 그 구조가 인도 측의 설치공간을 점유하는 상승부(10)를 최대한 배제하는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상승부(10)에 의한 인도의 점유를 최대한 배제할 수 있고, 또한 도로용 횡단구조물(1)의 설치가 용이하며 주행중인 차량을 정지시키지 않고서도 보행자나 소형운송수단물이 도로를 횡단할 수 있는 도로횡단환경을 제공한다.The road cross-section structure 1 of the various examples made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excludes the rising part 10 occupying the installation space on the side of the side of the road as much as possible, thus maximizing the occupation of the side by the rising part 10 It is possible to exclude, and also easy to install the road cross-section structure (1) and to provide a road crossing environment in which pedestrians or small transportation means can cross the road without stopping the running vehicle.

이는 특히 경운기나 손수레등의 사용이 많은 국도변의 농촌지역에서 보행자나 소형운송수단물이 용이하게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갖는다.This has the convenience of allowing pedestrians or small vehicles to easily cross the road, especially in rural areas near the national road where cultivators or carts are used.

또한 기존의 도로용 횡단구조물(1)에서 차량의 높이를 감안하여야 시설비용이 많이들어가게 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상승부(10)를 배제하여 횡단부(20)가 일체로 상승부(10)를 이루거나 상승부(10)의 일부를 배제하여 여러형태의 T, L형의 평면구조를 이루어 제작비 및 시실비를 절감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the cost of the facility is increased by consider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in the existing road cross-section (1),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 20 is integrally formed to the rise 10 by excluding the rise 10. By removing a part of the rising part 10, a planar structure having various types of T and L forms a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cost.

본 고안은 인도(人道)에 설치공간을 점유하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간단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게 하면서도 간편하게 보행자나 운송수단물이 도로를 횡단할 수 있게 한 실용적인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ractical design that allows a pedestrian or a vehicle to easily cross a road while being able to manufacture a simple structure at a low cost without occupying an installation space in a sidewalk.

Claims (6)

지면이 닿는 양단으로부터 중앙으로 서서히 상승하는 경사면을 갖는 한쌍의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를 연결하고 도로를 횡단할 수 있게 배치하는 횡단부로 구비되는 횡단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을 맞대어 구비되는 횡단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횡단부와 상승부가 일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횡단구조물.I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provided with a pair of rising portions having an inclined surface which gradually rises from both ends of the ground contact to the center, and a cross section that connects the rising portions and arranged to traverse the road,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provided against the inclined surface Cross section for the road,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and the rise is made integr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용 횡단구조물의 양측 상승부를 횡단부를 기준으로 일측을 배제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 T형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횡단구조물.The road cross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side elevations of the road crossing structure are formed in a T-shape when viewed from a plane with one side excluded from the cross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용 횡단구조물은 양측 상승부가 횡단부를 기준으로 일측이 배제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횡단부가 L자형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횡단구조물.According to claim 1, The road cross-section is a cross-section for road,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is L-shaped when viewed from the plane, one side is excluded on both sides relative to the cross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횡단구조물은 횡단부에서 직각방향을 연장하여 구비되는 상승부가 도로를 기준으로 상, 하부에 각각 일측을 배제하여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횡단구조물.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section is a rising portion provided to extend at right angles in the cross-section based on the road to exclude one side, respectively, upper and lower Road cross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구조물은 상승부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일정각도로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횡단구조물.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section is a cross-section for the roadway,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pread out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viewed in the plan vi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구조물의 횡단부 양측은 경사부가 구비되며 경사부와 별도로 횡단부중심부상에 계단구조물을 설치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횡단구조물.The cross section of claim 1, wherein both side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ross-section are provided with a slope and are provided by installing a step structure on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separately from the slope.
KR2019970000583U 1997-01-17 1997-01-17 Via duct KR20015689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583U KR200156898Y1 (en) 1997-01-17 1997-01-17 Via 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583U KR200156898Y1 (en) 1997-01-17 1997-01-17 Via 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913U KR970051913U (en) 1997-09-08
KR200156898Y1 true KR200156898Y1 (en) 1999-09-01

Family

ID=1949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583U KR200156898Y1 (en) 1997-01-17 1997-01-17 Via 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898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913U (en)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2367B (en) SYSTEM FOER PREFABRICERADE BETONGELEMENT
KR20100064404A (en) Non stop traffic system by half cloverleaf and application method
KR100960725B1 (en) Road for bicycle and walker constructing on the slope of road
JPH04336102A (en) Intersection structure separating sidewalk and driveway above and under
CN104963252A (en) Urban multilayer roundabout viaduct
KR200156898Y1 (en) Via duct
KR100512408B1 (en) crossroad system
CN202440730U (en) Crossroad building structure requiring no traffic light
CN101250844A (en) Road traffic engineering system method and corresponding establishment
CN101024933A (en) Simple fly-over T-shape crossing
KR20110116478A (en) The structure of the interchange without traffic lights
CN201010845Y (en) Simple vertical crossing T-shaped intersection
CN2633939Y (en) Obstacle-free anti-slip curb block
CN1908304A (en) Crossroad access bridge
KR200245941Y1 (en) Crosswalk with safe-block
CN215210482U (en) Pedestrian overpass and canopy structure attached to vehicle travelling bridge
US5467493A (en) Support plates for bridges and ramps
KR20110096947A (en) High-level road for bicycles
KR200378157Y1 (en) Car road boundary block with fabrication type
CN210238253U (en) Double-layer annular overpass structure of urban bidirectional four-lane road
NL2028281B1 (en) Shaped block for separating traffic routes of different road users
KR0122486Y1 (en) Pedestrian's crossing system
CN217362524U (en) Pipeline arrangement structure of road central dividing strip
JP3916071B2 (en) Street connection block
CN213417450U (en) Cross section arrangement pattern based on expressway city rapid trans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